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교통 신호가 바뀌기를 기다리던 한 남자의 눈이 갑자기 멀어버렸습니다. 마치 우유 속에 들어와 있는 것처럼, 백색의 세상만을 보게 된 그 남자. 그런데 그 남자가 만난 사람들이 하나씩 둘씩 눈이 멀기 시작합니다. 점차로 눈이 멀기 시작하는 사람이 늘어나기 시작하고, 전염을 걱정한 정부에서는 최초로 눈이 먼 사람들부터 폐허로 변해버린 정신병원에 이들을 차례차례 가두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한 사람, 볼 수 있는 사람이 있습니다. 서서히 세상을 볼 수 있는 사람이 늘어가는 가운데, 이 세상을 여전히 볼 수 있는 한 사람, 그는 바로 첫 눈 먼 사람이 찾아갔던 병원 의사의 아내였습니다. 


곧, 모두가 볼 수 없게 되어버린 세상. 그 곳에서 유일하게 세상을 볼 수 있는 존재인 한 여자. 이 책은 한 여자의 이야기입니다.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눈 먼 사람들끼리 모인 격리 공간 속에서, 총을 기반으로 한 권력이 생기고 그로 인한 착취가 발생하였던 부분이었습니다. 저는, 책을 너무 안일하게 읽어내려가고 있었습니다. 혹은, 세상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당연히, 눈 먼 사람들이 모인 곳에서, 서로가 어려운 처지 속에서, 서로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모습으로 살아가게 될 것이라고, 너무 안일하게 생각했습니다. 바깥 공간에서 전염을 걱정하며 총부리를 겨누는 군인들에 의해, 시민으로써의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한 채, 필요 이상의 부당한 대우를 받는 눈 먼 사람들. 당연히 그들은 서로를 의지하고 그 어려움을 헤쳐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총을 가진 한 사람이 병실 사람들을 규합하고, 집단을 이루어서, 배급을 통제하고, 성을 착취하는 부분에서, 제가 참 안일하게 세상을 긍정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찬찬히 생각해보면, 세상은 합리적인 모양새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모순이 모순을 덮어 더 큰 모순으로 돌아가는 사회. 일어나지 않으리라는 일들이 하루가 멀다하고 일어나는 바람에, 이제는 더 이상의 놀람도 사치스러운 사회. 실은 그런 사회를 이미 살아내고 있는데도, 우리는 그런 불합리와 부조리를 마치 눈 먼 사람처럼 보지 못하고 있는 모양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 가운데에서 눈을 뜨고 있는, 모든 것을 볼 수 있는 사람은 과연 행복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이 모든 불합리와 부조리를 두 눈 속에 똑똑히 담고 있는 사람에게, '장님 나라에서는 애꾸눈이 왕'이라는 말은 지나친 비아냥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혹은, 마치 세상의 모든 눈물을 마셔버리는 왕이 되어 죽음에 이르러야 할지도. (이영도, [눈물을 마시는 새])



그러나, 한 편으로, 눈에 담을 수 없다는 것은, 마음으로 담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얼마 전에 학교의 아이들에게, '10분 동안 눈을 감고 지낸 후 느낌 써보기'라는 글쓰기 주제를 내주었더랬습니다. 초등학교 6학년의 아이들에게는 10분간 눈을 감고 자신을 들여다보는 일이 힘들었나봅니다. 


눈을 감으면, 우리는 세상과 단절되는 큰 고통을 경험합니다. 들리지 않는 것, 냄새 없는 것보다는, 경험상 더 힘든 고통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 순간, 그렇게 세상과 단절되는 그 때에, 우리는 우리 자신을 들여다 볼 기회를 가지게 됩니다. 검은 색안경을 썼던 여인이, 잿빛 세상이 아닌 우윳빛깔의 세상을 보게 되었을 때, 그 여인은 자신을 보게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자신을 들여다보는 삶. 실은 생각보다 어렵고 슬픈 일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늘상 두리번거리면서 세상을 들여다보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자신을 들여다볼 용기가 없기 때문에. 그래서 어른이 된다는 것은, 눈을 감아도 자신을 향해서 시선을 두지 못한 채, 다음의 스케쥴을, 내일 할 일을, 오늘의 문제를, 다른 사람과의 관계로 도망가버리곤 합니다. 


자신을 들여다보는 용기를 발휘하였을 때, 비로소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용기도 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검은 색안경을 썼던 여인의, 검은 안대를 한 노인에 대한 용기는, 자신을 솔직하게 응시한 사람만이 누릴 수 있는 선물이라고 생각합니다. 



눈 먼 것 같은 우리, 우리들. 그렇게만 살아간다면 서글프니까. 그래서 우리는 모여서 어떻게든 살아내고 있습니다. 살다보면 언젠가는 모두 눈을 뜰 수 있게 되겠지요. 믿음을 잃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선한 마음을 잃지 않고 있다보면, 언젠가는 다시 볼 수 있게 되겠지요. 



그 동안 소설을 멀리하였습니다. 눈을 세상에만 두었지, 내 자신에게 눈을 두질 않아왔다는 생각이 듭니다. 소설을 읽는 이유는 분명합니다. 나를 들여다보기 위한 것. 소설을 다시 읽어내야 할 이유를 찾았습니다. 



아에드 인 마이오렘 델 글로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