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 고전예술 편 (반양장) - 미학의 눈으로 보는 고전예술의 세계 ㅣ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교대 1학년 때, 한창 미술에 관련된 책들을 읽던 그 때, 진중권 씨의 책 [서양미술사 1]을 샀더랬습니다. 그리고, 이제서야 책을 읽을 기회를 가지게 되었네요.
이 책을 쓴 진중권 교수는 미학자이지만, 실제로는 미학자로서의 존재감보다는 사회평론가로서의 존재감이 더 커 보인다는 생각을 가지게하는 인물입니다. 정치, 사회적으로 미묘하게 갈리는 부분에서 진보적인 방향에 서서 파쇼적인 주장과 행동에 대해서 분연히 발언하는 그런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엄혹했던 이명박 정부의 시절동안, 100이 아니면 0이라는 그 강력했던 입장을 조금은 완화시켜나가기도 했지만, 여하튼 아직도 '싸움닭'이라는 이미지가 굉장히 강하게 남아있는 인물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미학자로서, 진중권 씨의 책은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정치, 사회적인 문제에서는 원칙의 편에 서서 촌철살인하는 언어를 마구 쏘아대지만, 미학자로서 작품과 작품 외적인 평론에 있어서는 절제된 언어와 표현을 통해 정확하게 이야기하려는 바를 드러낸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합니다.
이 책 [서양미술사 1]은 고대 그리스 시대 이후로부터 19세기 신고전주의까지의 유파를 정리한 책으로써, 세간의 진중권 씨에 대한 평가를 잘 확인할 수 있는 책이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이 책의 독특한 부분은, 그리스, 로마 시대의 미술부터 중세 시대를 거쳐서, 르네상스의 고전주의와 바로크/로코코 시대를 거쳐서 신고전주의까지, 유명한 평론가의 평론을 배경으로 하여 당시를 설명하고 있다는 부분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평론가란, 제 생각에는, 자신이 가진 생각이 다른 사람에게 얼마나 설득력있게 다가갈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을 해결한 사람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사실 우리 모두는 평론가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어떤 그림이나 책, 작품을 보던지간에 우리는 그것에 대해 사유하고 평가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평범한 독자로서 머물수 밖에 없는 까닭은, 우리는 그러한 우리의 사유를 다른 사람에게 공명하게 할 능력이, 혹은 통찰이, 또는 마음이 없기 때문이겠지요. 그런 능력 또는 통찰, 혹은 마음이라도 가지고 있다면 우리는 그런 이를 평론가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미학자로서, 저자는 자신의 평론가적 통찰을 보여주는 것보다는, 앞서서 평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던 이들의 통찰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 어디에서 왔는지를 알려주는 것 정도로 만족하고 있는 모습을 책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저자가 보통이 아니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사실 진중권 씨 자신의 목소리로 고대 그리스부터 신고전주의까지를 훑어 내려갔어도 무방하리라 생각합니다. 저같은 미술의 문외한은 누가 이야기를 하더라도 수용할 만반의 준비가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저자는 그리하지 않고, 자신보다 (어찌보면) 더 권위있는, 먼저 통찰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평가함으로써, 문외한들이 조금은 더 관심을 가지고 작품을 쳐다볼 수 있도록 해주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어쨌든, 고전주의니, 바로코/로코코니, 신고전주의니, 모던이니 하는 다양한 미술 유파들에 대한 생각은, 이미 당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능력있는 평론가들에 의해서 샅샅이 살펴진 바 있습니다. 저자가 글을 쓴다고 하더라도 그런 먼저 지나간 이들의 목소리를 빌어서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었을텐데, 차라리 먼저 통찰한 글들을 베이스삼아 자신의 생각을 양념처럼 뿌려둔 글들이 저같은 이들이 차후에 다른 견해와도 조금은 쉽게 비교/대조해 볼 수 있도록 해주지 않았나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책은 조금 어렵습니다. 러시아의 역원근법에 관련된 이야기는 도무지 어려워서 두어번 다시 읽은 듯 하고, 이해해내었지만, 며칠 지나니 '무슨 이야기였던가'라는 상실감이 오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많은 도화를 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조금은 친절하게, 고전주의와 바로크/로코코, 신고전주의 등을 잘 비교해 줌으로써, 낭만주의가 등장하는 시점부터 복잡다단하게 등장하는 유파를 조금은 잘 받아들일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를 가지게 해 준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은, 조금 재미없기도 합니다.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의 많은 조형물들은 작품 수가 작아 그 이야기가 뻔한 구석이 있고, 중세시대에는 형이상학적이라 피상 이상으로 들어서기를 망설이게 합니다. 원래 그 시대들이 그랬나봅니다. 조금 더 다이나믹한 시대에 관한 책이었다면 어땠을까 생각하기도 하네요. 그래서 결국 [서양미술사 2]도 사고야 말았습니다. 신고전주의의 이후부터 다룬다는, 2008년 초판과는 표지가 달라진 - 구성은 그대로겠죠? - 두 번째 권도 기대를 가지고 읽어볼 요량입니다.
아에드 인 마이오렘 델 글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