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란 무엇인가 까치글방 133
E.H. 카 지음, 김택현 옮김 / 까치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인 E.H.카는 이 책을 통해 역사에 관심을 가지는 많은 이들에게 주목할만한 관점을 하나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는 말은, 이 책을 읽지 않았더라도 한 번 쯤은 들어보았을 말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자는 더 정확하게는, '역사는 과거의 사건과 현재의 역사가와의 대화'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실증주의 역사학의 아이디어와는 정반대되는 이야기입니다. 랑케가 실증주의 역사학을 주창한 이래로, 사실을 주욱 쌓아올려가다보면 사실들이 이야기 할 것이라는 믿음은 많은 이들의 공감을 얻어왔지만, 실제로 그것이 역사 연구의 본질은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현재를 살아가는 역사가가, 과거의 무수한 사건들 중에서 현재와 공명할 수 있는 사실을 뽑아내어 현재로 가지고 올 때, 비로소 과거의 사건은 현재에 유의미함을 전해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은 누구나 주관을 가지고 있는 법. E.H.카는 역사가의 주관성이 현재와 공명함으로써 객관을 획득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 듯 합니다. 즉, 역사가의 관점이 현재를 오롯이 설명할 수 있을 때, 그것은 역사가 개인의 관점이 아닌, 시대의 관점이 될 수 있으며, 객관성 획득의 담보가 된다는 것이죠. 

 

그런 현재에의 시의성을 획득했을 때, 역사가의 역사는 미래를 전망할 수 있는 단초가 됩니다. 즉, 역사가는 현재를 살면서 현재에 대한 통찰을 통해,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자는 결정론적인 역사 인식을 단호하게 반대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제시되는 것이 헤겔과 마르크스입니다. 헤겔의 절대정신과 마르크스의 프롤레타리아 공동체의 귀결은, 마치 역사가 걸어야 할 하나의 법칙으로 제시된 것이지만, 작금의 자연과학도 절대적인 하나의 법칙 대신에, 현상을 규명하는 이론에 대한 제시를 그 목적으로 한다고 저자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19세기만 하더라도 세상 전체에서 변하지 않는 하나의 법칙이 있어서 그것이 세상을 지배하여 간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지만, 실제로 과학에서도, 역사에서도 그런 법칙은 없다는 것이 E.H.카의 견해입니다. 다만... 미래를 향하여 달려가는 인류의 노정이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진행되어갈지 과거를 돌아보며 현재와 비교하는 것이 바로 역사가의 일이라는 것입니다. 그런 인류의 노정을 저자는 '진보'라고 규정하고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한편, 저자는 우연한 사건과 개인의 역할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도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합니다. 즉, 1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관련하여, 사라예보에서 페르디난드 대공이 암살당하지 않았다면, 같은 가정은 의미없다는 것입니다. 물론 그 암살 사건이 1차 세계대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그 사건 때문에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났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의미 없다는 말입니다. 역사적인 사건은 중요한 원인들이 반드시 존재하겠지만, 그것이 우연한 사건이나 한 사람의 인물은 아니라는 말입니다. 즉, 우리나라가 1960년대 이후로 고도의 경제 성장을 이룩한 것은 위대한 한 사람의 지도자가 제대로 된 방향을 제시했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E.H.카의 견해로는 침소봉대라고 보아도 무방하리라는 의미입니다. 

 

 

요즘 다양한 역사 관련 책을 읽고 있습니다. 꽤 긴 경제학 책이지만, 실은 역사책이라고 보아도 무방한 페르낭 브로델의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그리고 이기백 교수의 [한국사 신론]을 읽고 있습니다. 아니, 실은 여러 역사책을 두루두루 읽어가고 있는 중입니다. 

 

역사책을 읽어가다보면, 여러 사건들을 통한 견해를 갖기 보다는 사실 자체에 흥미를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역사를 통찰이 아닌 지식의 편린으로 받아들이는 것이죠. 디테일한 팩트에는 관심을 가지지만, 그 사건이 현재와 공명하는 양상에는 애써 눈을 돌리는 경우들이 많은 것이죠. 우리나라 역사 교과서부터 그렇지 않나 생각합니다. 실은, 이기백 교수의 [한국사 신론]을 지금 조선 시대 초입을 읽고 있는데도 그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사실은 많은데 역사가의 견해는 세세하지 못하고, 그나마도 현재와의 연관성을 갖는 역사가의 견해는 없는. 현대사에 관련된 책들은 저자의 의견들이 강력하게 표명되어 있는 경우들도 있지만... 그런 경우에는 저자 개인이 현재의 사회외 공명하고 있는지에 대한 판단의 어려움이 있는... 역사적 사실과 현재가 너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탓이겠지요. 

 

우리나라 사회 자체가 이데올로기에 관한 터부가 있다보니, 과거사를 현재에 비추는데 상당히 조심스러워하는 흐름이 넓게 퍼져있지 않나 조심스럽게 생각해봅니다. 하지만, 다양한 역사적 사건을 현재에 비추어 평가하고 비판할 수 있는 시도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강만길 교수의 [고쳐쓴 한국근대사], [고쳐쓴 한국현대사]가 그런 시도라고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그보다 더 이른 시대에 대해서도 공격적인 시도들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봅니다. 아니, 이미 그런 다양한 관점에의 책들이 많은데, 그것을 아직도 몰랐던 것이라면... 그것은 독자인 제가 반성해야 할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에드 인 마이오렘 델 글로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