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재인의 운명 (반양장)
문재인 지음 / 가교(가교출판)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언제부터인가, 예의, 의리, 이런 단어들을 좋아하기 시작했습니다. 몸담고 있는 여러 모임/단체들에서 일어나는 사람 사이의 여러 가지 복잡다단한 일들을 겪다보면서, 무례하고 의리없는 다양한 행태들에, 저는 그러지 말아야겠다, 라는 굳은 다짐을 여러 차례 하다보니 그런가봅니다.
그런 다짐을 한 여러 일 중에, 지난 참여정부 때 노무현 대통령을 '버리고' 간 사람들이 보여준 일도 한 몫 합니다. 생각이 다를 수도 있고, 이건 아니다, 라고 의심할 수도 있지만, 일백가지 일 중에 하나만 틀어져도 관계를 끊어버리는 그런 모양은... 도무지 그렇게 해서는 부부끼리도 헤어질 수 밖에 없잖은가, 라는 생각을 갖게 할 정도로 매정한 모양새로 밖에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거기에 자신의 이해타산을 따져가면서 노무현 대통령과 거리를 둔 이들... 저는 그런 이들이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 때 봉하마을에서 어떤 대접을 받았는지 잘 기억하고 있습니다.
제가 유시민 대표를 굉장히 좋아하는 이유가 거기에 있습니다. 유시민 대표 같이 자기 주관 강한 이가, 노무현 대통령의 모든 주장에 다 동의하지 않았겠지만, 일단 대통령께서 결정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접어두고 대통령 편을 든 것... 한미FTA나 대연정, 이라크파병 등, 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여러 일들에 대해서, 유시민 대표는 보통의 헛똑똑이들과는 달리 자신의 의견을 접고 대통령의 의견에 자신을 맞춥니다.
그리고 또 한 사람, 문재인 전 비서실장이 있습니다.
누가 봐도 굳은 심지를 가진 모습에, 한결같이 노무현 대통령의 곁을 지켜온, 마치 사시사철 푸르고 올곧은 소나무의 풍모를 지녔다고 할 수 있는 분입니다.
그런 문재인 실장이, 이번에 자서전이라고 보기는 좀 어렵지만, 자신의 인생 역정에, 노무현 대통령과의 관계를 엮어 한 권의 책을 펴낸 것이 이 책, [문재인의 운명] 입니다.
책은 시종 담담합니다.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를 첫머리로 하여, 노무현 대통령과의 인연, 자신의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의 생각, 노무현 대통령의 정치 인생 중에서 함께 보내온 시절, 참여정부의 여러 정책에 대한, 약간은 의식적인 평가를 담아,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 이후의 기대어린 전망을 담아, 누가 읽어도 담담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을 쓰셨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이 많은 이들에게 이슈가 되었던 것은, 바로 문재인 실장의 알려지지 않았던 여러 사건들 때문일 것입니다. 아이러니하게 전두환 여단장과 장세동 대대장 휘하의 공수부대에서 군생활을 한 일화부터, 경찰서 유치장에서 미결수 신세로 사법고시 합격의 기쁨을 맛본 일, 그리고 연수원 차석 졸업에 판사 임용을 받지 못한 일까지. 그러면서 부산/경남의 인권변호사로서, 사실 변호사가 국민의 인권을 편드는 것이 당연하다는 언급을 통해 모든 변호사는 인권변호사 일 수 밖에 없다는 상식적인 이야기까지.
자신을 드러내기 바쁘고 자신을 빛내는 일에 전심전력을 다하는 근간의 세태에, 묵묵하게 자신의 해야할 마땅한 일을 하면서 지금까지 있어야 할 자리에 있어온 분이, 마침내 빛이 나는 그런 일을 보면서 느끼는 소소한 기쁨이 있는 책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책을 통해 한 가지 크게 공감하는 것은, 많은 진보세력에게 지탄받아온 참여정부의 정책 중에 이라크 파병에 대한 문재인 실장의 변호였습니다.
물론 이라크 전쟁은 정의롭지 못한 전쟁이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파병하지 않을 수 있었다면 좋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더 큰 국익을 위해 필요하면 파병할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국가경영입니다. 진보/개혁진영이 집권을 위해선 그런 판단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70쪽)
문재인 실장은, 이라크 파병을 통해 미국의 네오콘 세력의 목소리를 낮추고 부시 정권으로 하여금 대북관계를 평화적으로 가져가도록 주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당시 북한 폭격 이야기도 네오콘 세력으로부터 흘러나오던 시기에, 이라크에 비전투병 3천명을 파병하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를 통해 6자회담에서 일정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경제원조같은 것을 얻기 위한 파병이나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하는데 도움을 얻기 위한 파병보다는, 그래도 받아들이기 쉬운 파병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진보/개혁진영이 수권진영으로서 자리매김을 하려면 조금 더 실제적인 문제에 있어서 준비를 해야할 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집권을 준비하면서 다양한 사안에 대한 로드맵을 논의해야 할 때라고 여겨집니다. 2012년, 진보/개혁진영이 집권하게 되었을 때, 그러나 미국에서는 공화당이 집권하게 되어 강경한 대북정책을 펼치고 있을 때, 진보/개혁진영은 두 정의롭지 못한 상황에서 어떤 지혜를 발휘할 것입니까? 참여정부가 보여준 불가피성에 대한 냉철하고 섬세한 판단과 평가가 필요한 때라는 생각을 이 책을 읽으면서 해 볼 수 있었습니다.
결국, 문재인 실장은 정치를 하시지는 않겠구나, 라는 생각을 또한 이 책을 읽으면서 해보게 되었습니다. 유시민 대표의 근저 [국가란 무엇인가]나 공저 [미래의 진보]를 읽어보면, 유시민 대표가 가지고 있는 국가 통치의 기본적 방향에 대한 뚜렷한 생각을 엿볼 수 있습니다. 마치 '출사표' 같다고나 할까요? 그러나 문재인 실장의 이 책은, 그런 부분이 없습니다. 당위에 대한 선언들만 있을 뿐입니다. 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문재인 실장은 이 책을 통해서 확실히 자신은 선수로 뛸 용의가 없다는 것을 밝히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다만... 노무현 대통령을 정치적 타살로 몰아넣은 이들에 대한 생각은 확고한 듯 합니다. 그네들에 대하여 자신이 어떻게 맞서야할지에 대한 다짐이자 현실적 인식이, 책의 말미에 담겼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이제 운명에서 해방됐지만, 나는 당신이 남긴 숙제에서 꼼짝하지 못하게 됐다. (467쪽)
문재인 실장은, 아마 사람사는 세상을 만들어 가는 일에 자신의 앞날을 투신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에드 인 마이오렘 델 글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