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봉암과 진보당 - 한 민주사회주의자의 삶과 투쟁 커리큘럼 현대사 3
정태영 지음 / 후마니타스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조봉암은 사형당하기 직전 옥중 성명을 통해 "우리 동지들은 현실의 포로가 되지 말고 우리의 이념을 살리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근본적으로 진보 세력은 인간의 이성적 노력이 만들어낼 수 있는 미래를 꿈꾸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현실의 포로가 된다는 것은 진보가 아니라는 말과 같다. 그러나 현실의 포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서문, p14)  
   

진보세력을 정당으로 결집시키는 일은 어찌보면 진보를 자처하는 사람들의 숙원이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민주주의의 꽃이 정당정치라고 한다면, 우리나라에서 이렇다할 정당정치의 이상을 구현해본 기회가 지난했던 일이 첫번째이며, 그 와중에 대화와 타협의 정신을 담당할 진보적 축이 없었던 것이 두번째의 이유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책을 쓴 저자가 언급하다시피,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미국처럼 보수적인 정당이 보수적 프레임 안에서 대화와 타협을 해나가는 정당구조를 가져왔기 때문에 여러가지 진보적 정책이 선보일 기회가 없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근년에 이르러서야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이 진보적 색채를 띄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엄밀하게 그들이 진보적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에 대한 판단은 이 책 [조봉암과 진보당]을 읽으면서 가지게 되었습니다. 특히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울산에서 이루어지는 '현실포로적' 행태를 보면서 더욱더 그런 생각을 가지게 됩니다.  
 
 
저자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습니다.      

   
  (50년대 활동하던 구세대 진보 세력은) 대다수가 정치 경험이 비교적 적은 '지사형' 지도자들이었다. 이들은 또한 작품에 있어 남과의 타협이나 조화에 익숙하지 못한 완고한 편집증 활동가들이었다. 동일한 조직에서 활동해본 일이 없던 이들은 (4.19 직후 1960년의) 7.29선거에 참패한 뒤 쉽게 분해되어 자멸했다. 오늘의 민주노동당은 이들의 실패로부터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인가? (p261)
 
   

오랜 망명생활을 거쳐 [나는 파리의 택시 운전사]를 썼던 홍세화 氏가 자신의 책에서 이야기했던 '관용'의 정신이 지금의 진보정치판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자신의 진보성에 무한한 자부심을 느끼는 활동가들이 한세대 앞을 내다보지 못한 채 한 알의 밀알이 되어 썩어지지 못한 채 지금처럼 끊임없이 백가쟁명한다면, 우리나라에서 진보의 정치는 요원할 것입니다.  
 
모든 혁명은 이름도 빛도 없이 스러져간 이들에게 기댄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진보당보다는, 1956년의 제 3대 대통령 선거에서 200만표를 득표하여 23%의 득표율을 기록했던 죽산 조봉암 선생 - 23%라는 득표율 이상을 기록했던 대통령 후보자는 지금까지 대통령에 당선되었던 이승만, 박정희,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대통령 이외에, 이회창 후보와 정동영 후보 이외에는 없습니다 - 에게 조금 더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상태에서 독서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조봉암 선생에게는 따뜻한 애정이 담긴 - 그래서 냉정하거나 객관적이지는 못한 - 서술이 이루어져있고, 진보당에 대해서는 진보당의 역사를 (문서적으로) 복원하며 분석하려는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행간언에서 조봉암 선생의 여러 약점들을 읽을 수- 인간적이랄까... 혹은 행정적인 면보다는 지사적인 면이 강하달까... 혹은 (자칫 잘못하면) 기회적이라고도 읽을 수도 있겠고, 외톨이라고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반면에 유연한 정치적 움직임과 중도를 추구하는 자세는, 양보를 죽음으로 아는 지금의 세태에 한 번 쯤은 되새겨 볼만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제1공화국 당시 자유당과 민주당의 보수적이며 정권 지향적인 정치 프레임 속에서, 짧지만 큰 자취를 남겼음에 분명한 진보당과 조봉암 선생에 대하여, 저자의 바램대로 정당한 평가의 기회가 주어지기를 이 책을 읽어가면서 저도 바라게 되었습니다.  
 
 
아에드 인 마이오렘 델 글로인 
 
보수적 프레임이 (거의) 전부인 이 시대에서 사회적 민주주의 (혹은 민주적 사회주의)라는 말이 어떻게 인지될지 궁금합니다. 실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제 프레임 자체도 이미 보수로 굳어진 것인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