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통영 진주 여행 일상이 고고학 시리즈 12
황윤 지음 / 책읽는고양이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벌써 시리즈의 12권이 나왔다는 것은 작가가 나름의 독자군을 형성하였다는 말이고, 이는 어느 정도 믿고 글을 읽어볼 만하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하필이면 12권부터 읽었는데, 개인적으로는 앞권들에 대한 기대가 생겼다. 보통 시리즈물은 진행될 수록 긴장감이 풀리는데, 12권의 내용은 생각 이상으로 괜찮았다는 생각이 든다.

우선 기행문의 형식을 띄면서 반 대화체를 구사하고 있는데, 혼잣말 느낌이라 조금 어색한 느낌은 들지만 그래도 그것이 현장감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저자가 들른 업소(!)에 대한 기술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거기에서 그쳤다면 많이 아쉬웠을 것인데, 이 책에서는 조금 더 전문적인 영역까지 나아가고 있다. 이 책의 주인공은 단연 이순신 장군인데, 특히 장군의 초상화와 관련하여 당대 복식의 특징을 기술하는 과정에서 관련 정보를 폭넓고 상세하게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이야기는 자칫 따로 떼어내어 기술할 경우 딱딱하고 가독성 떨어지는 정보글이 되기 십상인데, 기행문이라는 현실 위에 군데군데 넣으면서 저자의 발걸음을 따라 조금씩 폭넓고 깊게 벌려가며 딱딱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모양새이다. 비단 이순신 장군에 대한 이야기뿐만 아니라, 진주성에서는 진주대첩과 2차 진주성 싸움에 대한 이야기도 곁들이며, 때로는
건축가 단상으로, 때로는 해저터널에 얽힌 이야기로, 장소에 켜켜이 쌓인 이야기들을 너무 과하지 않게 꺼내어 올리고 있다.

개인적으로 시리즈의 첫 권을 읽었는데, 다른 시리즈에 대힌 기대감도 높아졌다. 아쉽다면, 아무래도 책 제목이 고고학이라 역사성을 지닌 장소만 훑을 수 밖에 없는 지점이다. 아무래도 진주와 통영이 한 권에 묶인 이유도, 진주는 국립진주박물관과 진주성 답사 이외의 장소 답사가 없는 이유도 그러할 터이다. 아무래도 기행문이 과거로만 향할 수 밖에 없다는 구성 자체의 아쉬움은, 결국 독자가 스스로 장소의 현재성을 밟아 올리는 것으로 메우지 않을 수 없을 듯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