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들과 아이들에 대한 원인이 다를 수 없어 보인다. 어른도 초방받던지, 아이들에게 다른 방식의 접근을 통한 문제 개선을 꾀하든지.

과연 어린이 ADHD 증상에 대한 접근은 어떠해야 하는가.



어쨌든, ADHD가 강력한 유전인자의 영향에 종속된다고 하더라도, 결국 이 유전인자를 발현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아이들을 얽어매는 강제와 강요.

생각해보면, 우리가 자유롭던 시절에는 이러한 문제가 크지
않았고, 자연스러운 성장과 발달의 노정에서 해결될 수 있는 것이었다. 지금은?



학생들의 집중력 저하 문제에 대해 많은 교사들이 진술하고 있다. 요즘은 애들의 집중력이 옛날 같지 않아… ADHD 증상을 보이는 학생들이 많아졌음에 대한 이야기들도 종종 나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처는 천편일률적이다. 조용히 시키고, 규칙을 적용하고, 약 처방 받게 하고… 말 그대로 대처만 있는 셈이다.

필요한 것은 원인의 고구이다. 떠내려오는 시체를 치우면서, 요즘은 시체가 너무 많이 떠 내려오네, 라고 말하는 것이 문제의 해결에 무슨 역할을 하는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성인의 집중력 문제에 관해 사람들은 보통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침략적인 기술의 증가, 스트레스, 수면부족 등)을 선뜻 인정한다. 그러나 아이들이 똑같은 문제를 겪을 때, 지난 20년간 우리는 지나치게 단순한 이야기에 이끌렸다. 바로 아이들의 집중력 문제가 주로 생물학적 장애의 결과라는 것이다. - P336

(전략) 수많은 의사가 주의력 문제를 겪는 자녀들의 부모에게 하는 말, 즉 집중력 장애는 생물학적 원인에서 비롯되므로 약물을 이용한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말을 하리라 (중략) "야생에서 이런 행동을 하는 말은 지금껏 본 사람이 없습니다. 이건 말들을 부자연스러운 상황에 가두는 ‘가축화‘의 문제예요. 말들이 마구간에 갇히지 않았더라면 초기에 그런 심리적 압박을 느끼지 않았을 것이고, 끙끙이를 하게 되지도 않았을 겁니다." - P343

그가 침울한 얼굴로 말했다. "이런 오래된 비유가 있습니다…어느 날 마을 사람들이 강가에 있다가 시체 한 구가 떠내려 오는 것을 목격합니다. 그래서 해야 할 일을 하죠. 사람들은 시체를 건져서 장례를 치러줍니다. 다음 날은 시체 두 구가 떠내려 옵니다. 사람들은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두 시체를 땅에 묻습니다. 한동안 똑같은 상황이 벌어지고, 마침내 사람들은 이렇게 묻기 시작합니다. 이 시체들은 어디에서 떠내려오는 걸까? 이 상황을 멈추기 위해 우리가 무언가를 해야 할까? 그래서 사람들은 그 답을 알아내려고 강을 거슬러 올라갑니다." - P3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