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I 지식 - 구글 검색부터 유튜브 추천, 파파고 번역과 내비게이션까지 일상을 움직이는 인공지능 이해하기
박상길 지음, 정진호 그림 / 반니 / 202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AI 관련 책을 틈틈이 읽는 까닭은, 올해 AI 선도학교 운영 업무를 맡았기 때문이다. 이런 것을 맡으면, 이런 것이 뭔지 제대로 알고 해야겠다, 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이것저것 닥치는대로 읽고 탐색하려 든다. 꼭 ‘비서 문제’ 같다. 어디까지 읽다가 탐색을 멈추고 고민하게 될까?

이 책은 엄밀하게 말하자면, 트렌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면서 약간의 수학 역량 - 그래도 고등학교 수학 정도는 대강 해결할 수 있는 - 을 지닌데다가 연관 용어 정도는 무슨 의미인지 알고 있는 비전공자가 이해할 수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

즉, 나는 대강 이해했고, 책이 괜찮다고 생각했으며, 하지만 아주 술술 읽힐 정도의 책은 아닌 정도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아무래도 알고리즘 이야기랑 계속 얽히는 모양새이다. 알고리즘 관련 책들 읽을 때 나왔던 이야기들이 중첩되는 느낌이고, 그러나 적절한 안내 - 텍스트 및 그림 - 가 이해를 명확하게 돕는 느낌이다.

이 책에서 특히 좋았던 부분은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알기 쉽게 설명해 준 부분이다. 결국 모든 것을 수치화하여 처리하는데, 이를 과연 ‘지능’이라고 말할 수 있겠냐는 튜링과 존 설의 시대를 건너 뛴 대립에 대해, 적절한 안내와 예시 덕택에 조금 더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덩달아 우리의 뇌가 하는 전기 작용을 ‘이해’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가에 대한 생각도 해 볼 수 있었다.

이 책은 작금의 트렌드 - 챗GPT 등 - 에 깊이 가 닿지는 못하지만 - 아무래도 출간일이… - 이에 대해 알 수 있는 정도의 서술은 제공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연관된 많은 중요한 이슈들을 꽤 세세하게 다루는 느낌.

같이 근무하는 학교 선생님들께도 한 번 읽어보시면 좋겠다 권해드렸다. 옆에 두고 열어보게되지 않을까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