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은 어떻게 문명을 만들었는가 - 인간의 문명과 역사를 이끈 놀라운 수학에 관하여
마이클 브룩스 지음, 고유경 옮김 / 브론스테인 / 2022년 9월
평점 :
수학이 우리 생활에, 혹은 문명에 끼친 영향에 대해 나열하는 책은 꽤 많지만, 이 책은 그 책들 중에서도 더 성공적인 듯 싶다.
많은 책들이 다루는 이야기들을 딛고, 이 책은 한 걸음 씩 더 나아가고 있고, 그리고 그 한 걸음은 조금 더 통찰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사실, 이런 류의 책은 너무 많다. 피타고라스니 탈레스니 뉴턴과 라이프니츠 중 누가 먼저니 가우스니 페르마니 등등등. 그리고 이야기들도 거의 대동소이한 편이다. 그래서 항상 읽으면 결국 같은 이야기인데 왜 읽었나 싶기도 하고, 그랬는데 이 책은 꼭 한 발자국씩 더 나아가서 좋았다. 로그(지수)와 허수에 대해 한 걸음 더 나아간 것도 좋았고, RSA에 대해 조금 더 서술한 부분도 좋았다. 아니, (비록 번역을 거쳤지만) 이런저런 설명을 세련된 문장으로 하는 부분도 좋았다. 군더더기 없다는 느낌.
그렇다. 이 책의 제목은 수학이 문명에 기여한 것에 대한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오히려 영어 제목이 더 나아보인다. The Art of More.
결어 부분은 곱씹어볼만 하다. 우리는 수학의 '신비'에 대해 말하려고 하지만, 수학은 신비로운 학문이 아니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수학은 우리 일상에 밀접하게 붙어 있으면서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그런 학문이다. 즉,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니, 골드바흐의 추측이지, 완전수니, 이런 것들이 수학적 신비가 아닌, 그 자신의 신비로움으로 여겨질 때, 수학은 조금 더 모두에게 다가설 수 있는 셈이라고 저자는 여기는 듯 하다. 자꾸 수학에 금박칠을 하면서 알지 못하는 무언가를 상징하는 놀라운 힘으로 서술하는 이들이 있는데, 결국 저자의 표현대로 '엘리트주의적이고 신비주의적인 수학적 사고를 상대'하기 위해 '모두를 위해 존재'하는 수학으로의 가치와 역할을 누구나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수학의 다양한 영역을 챕터 제목으로 하여 수학사에 기반하여 스토리를 토대로 각각의 영역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한 발자국 씩 더 나아간 저자의 통찰을 보여주어 마음에 들었다. 이런저런 수학사 관련 책들보다 핵심적인 내용들을 잘 담고 있어서 이를 잘 읽어내면 많은 쓸모가 있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