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얼마든지 변화할 역량과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일을 하려면 에너지가 소모된다. 인간은 최소한의 에너지 소모를 통해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 본성이 아마도 유전자에 아로새겨져 있는지도 모르겠다. 딜레마이다. 고래로부터 뇌는 습관을 형성함으로써 최소한의 변화를 통해 생존의 가능성을 높이고 자신의 가능성은 억제하였지만, 작금의 시대는 습관이 일상이기엔 너무나도 다채롭게 변화하는 세계에 살면서 끊임없는 자극과 도전 앞에 놓여 있다.
유전자에 아로새겨진 고정과 현상 유지의 명령을 지워버리기 위한 끊임없는 ‘학습’이 필요한 시대가 성큼 다가온 모양새이다.

우리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우리의 신체예산에 영향을 끼치고 성인이 된 뇌를 재배선한다는 것일까? 우리 뇌는 새로운 경험을 한 뒤 배선을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우리가 뇌의 가소성이라고 부르는 그 프로세스 말이다. 우리 뇌에 들어 있는 신경세포들의 미세한 부분은 세부조정과 가지치기를 통해 매일 조금씩 변화한다. 예를 들어 나뭇가지처럼 뻗은 수상돌기는 더 무성한 가지를 갖게 되고, 신경 연결은 더 효율적이 된다. 이 리모델링 작업을 하려면 신체예산에서 에너지를 갖다 써야 하는데, 예측하는 뇌가 이렇게 많은 인출을 하려면 명분이 필요하다. 한 가지 좋은 명분은 주변 사람들을 상대하면서 이 연결들이 빈번하게 사용된다는 것이다.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할 때 우리 뇌는 조금씩 세부조정되고 가지치기된다. - P127
이것은 때때로 사람들이 자신과 달라 보이거나 다른 신념을 가진 사람들에게 왜 공감하지 못하는지, 그런 경우 공감을 시도하는 것이 왜 불편하게 느껴지는지에 대한 한 가지 이유가 될 수 있다. 뇌가 예측하기 어려운 일을 처리하려면 신진대사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사람들이 자기의 기존 믿음을 강화해주는 뉴스나 견해들로만 이루어진 이른바 반향실echochamber에 안주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렇게 하면 새로운 것을 배우는 데 따르는 불편함과 신진대사 비용이 줄어든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사람의 마음을 바꿀 수 있는 무언가를 배울 확률 역시 떨어뜨린다. - P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