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도르프학교 수학 수업 - 수학적 센스는 어떻게 자라는가 가르친다는 것 1
김진형 지음 / 천개의정원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서 다루지 못하는 지점이 있다면, 미리 사교육에서 방법과 유형을 연습하고 온 학생에게 어떻게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법을 알려주어야 할 것인가, 이다.

그러나, 실은 이 책 안에는 자연스레 이를 타개할 수 있는 방법을 암시하고 있다. 이 책은, 교실 수학 수업에서 ‘왜’를 시도하는 다양한 국면을 소개하고 있다.

이는 대안교육 뿐만 아니라 공교육에서도 반드시 필요한 철학이다. 자꾸 다음 과정, 다음 단계, 다음에 배울 내용을 염두에 두느라 완성시킬 생각에 골몰하는데, 수학의 완성은 문제의 풀이가 아니라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것, 그 자체이다.

특히 공교육에서, 초등학교 단계까지라도 문제 풀이의 교수-학습 과정은 지양되어야 한다. 하나의 문제 상황을 앞에 두고, ‘어떻게’에 ‘왜’를 짝지어주며 함께 고민하고 이야기 나누며 해결해가는 경험을 지속적으로 반복할 필요가 있다.

다행히, 공교육 교사로서, 우리 교실에서는 이런 철학을 가지고 배움을 엮어나가고 있지만, ‘모든 어린이들이 수학을 좋아하는 - 잘 하는 이전에’ 상태를 만들고자 함에는 아직도 모자람이 많다. 이 책은, 대안학교의 ‘대안’을 제시한다기보다는, 교육 자체의 방향성을 짚어본다는데에 의미가 있고, 이는 대안교육도 공교육도 다르지 않음을 공감할 수 있었다.

특히 아직까지 6학년 교사 경험 밖에 없는 처지여서, 비록 초중고 자녀를 두고 있지만, 다른 연령대의 배움을 이루어 가는 것에 대한 경험이 적은 찰나에, 발도로프학교의 종단적 배움의 일면을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어 좋은 계기가 되었다. 한 두 지점정도 궤가 다른 부분이 있지만, 이 책에 담긴 철학과 방향, 다양한 국면을 짚어보며 2022학년도의 우리 교실 배움을 준비해보고자 한다. 특히, 아직도 마지막 지점에서는 교사가 주도권을 쥘 수 밖에 없는 교육과정 운영을 해 왔는데, 올해는 최후까지 어린이들이 배움의 주도권을 쥐고 스스로 배움을 구성해 갈 수 있도록 조금 더 고민해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