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 종말론적 환경주의는 어떻게 지구를 망치는가
마이클 셸런버거 지음, 노정태 옮김 / 부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주된 주장은, 예전 장하준 교수의 책 제목인 ‘사다리 걷어차기’와 그 궤를 같이하는 듯 하다.

개발도상국 및 저개발국에게 지구 환경 보존의 의무를 지우는 것은 오히려 지구 환경을 더 망치는 길이다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저개발국가도 지금의 선진국이 걸어온대로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공장을 돌리게하고, 생태계의 균형이 깨어지더라도 댐을 만들어 전기도 만들고 용수로도 쓸 수 있게 해야한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즉, 환경 보존을 위해 환경단체나 환경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것이 절대선이 될 수 없고, 비교형량하여 더 나은 것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이를 위해 저자의 생각에 다양한 도그마들을 끌어당기면서 전방위적으로 칼날을 휘두르고 있다. 채식주의, 신재생에너지 찬성론, 환경 종말론자 등등등. 그들이 이야기하는 것이 절대선이 될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가장 강력한 주장은, 원자력이 신재생에너지보다 훨씬 효과적이고 화석 연료보가 훨씬 친환경적이며, 그 위험성은 너무 과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후쿠시마나 체르노빌이 전 지구를 공포에 젖게 했지만, 피폭으로 인한 직접적 희생자는 생각보다 훨씬 적다는?

당장 지구가 환경 대재앙에 휩쓸려 멸망할리도 없거니와 오히려 그런 이야기를 하는 ‘진보주의자’들이 가난과 저개발에 멜서스적인 잔인함을 드러낸다는 이야기까지.

그래도 처음에는 환경론자들의 반대편에 서서 균형추를 잡는다고 생각되었지만, 마지막에 가서 환경론자들을 도그마주의자로 서술하는 쯤에서는 의아함이 들었다. 물론, 환경주의자들이 지구를 심하게 걱정하여 단호하게 주장하는 면이 있다고 하지만, 정치적이니 사이버네틱스니 종교니 하는 부분에서 균형추가 무너지는 느낌이 들었다. 아. 상대적이구나.

책 자체는 읽기 편하진 않다. 흐름 자체가 일목요연하지 않다. 사례와 사건이 이리저리 튀는 느낌이라 정신이 없다. 사람이 나쁘니 그 주장도 나쁘다, 같은 느낌을 주는 서술도 눈에 띈다. 이런 방식이 아니라 조금 더 정제하여 글을 썼다면 조금 더 고민하며 읽었을 듯 한데, 이런 식이면 저자의 말에도 퀘스천 마크를 둘 수 밖에 없다. 그게 가장 아쉬운 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