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 볼 높은 학년 동화 34
이현 지음, 최민호 그림 / 한겨레아이들 / 201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과연 미래의 삶을 위해, 어린이의 현재에 어디까지 개입해야 할까?

야구를 좋아하기에, 야구선수로써 살아가는 동구를 보면서, 모든 야구선수가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면서 사는 것은 아닌데... 번뜩여 보이지는 않는 동구의 모습을 보면서, 언젠가 야구선수로 더 이상 스스로의 빛을 내지 못하는 시점에서 새로운 인생을 탐색해야 할 때, 힘들지는 않을까, 후회하진 않을까 걱정스러운 마음이 들었다. 꼭 동구의 아빠처럼. 그러나 문득 들었던 생각. 무언가에 깊이 몰두하며 살아갔다면, 아마 새롭게 달려가기 시작할 때 누구보다 잘 달릴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즉, 아빠로서 해야할 것은, 내 아이들의 미래에 대한 섣부른 예측과 걱정 - 간섭 - 이 아니라, 내 아이들의 현재를 응원하고 격려하면서, 한 사람으로써 내 삶을 잘 살아가는 모습을 가지는 것일테다.

결국, 이 책은 어른의 동화이다.

어린이가 읽기에는 ‘너무 쓸데없는’ 정보가 많다. 작가가 야구에 가진 애정이 크게 드러나지만, 그것이 과연 어린이들에게는 어떻게 가 닿을지 모르겠다. 그리고 내러티브에 불필요한 요소가 많기도 하다. 아빠와 엄마가 따로 살지 않아도 충분히 이야기는 흘러갈텐데. 민구가 도벽이 없어도, 영민이가 엉덩이를 실룩거리지 않아도, 감독님이 야구의 재미를 승패로만 짓지 않아도. 동구는 충분히 푸른이와 서로 다른 길 위에서 서로 같은 곳을 바라볼 수 있을텐데.

이 책을 읽는 어린이들이 동구의 꾸는 꿈을 과연 알아차릴 수 있을까? 솔직한 생각으론... 작가도 모를 듯 하다. 사실, 동구는 삶의 결론을 유예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해보인다. 카르페디엠. 어른의 태도이다.

이 책은, 어린이가 주인공인, 어른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