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4차 산업혁명 어쩌구로 시작하는 책은 의문하게 된다. 세상에 자기 분야가 4차 산업혁명 시대와 관련 없다고 이야기하는 분야가 어디에 있는가. 그런데, 4차 산업혁명이 도대체 뭐길래. 뭘 위한 것이길래. 다들 4차 산업혁명을 운운할까.
그 모호함은 뒤로 하고, 이 책은 21세기 주목하는 능력으로 ‘질문하는 능력’ 을 꼽고 있다. 그런데 누가, 왜 질문하는 능력을 21세기의 능력으로 꼽았는지는 알 수 없으며, 심지어 언급한 이는 19세기 말의 기린아였던 니체이다. 차라리, 온고이지신을 앞세우는 것이 더 나았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책의 내용에 기대하는 바이지만, 이런 시작은 좋지 않다. 화려한 미사여구보다, 차라리 담백하게 시작하였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이 책을 찾는 이들이라면, 독서의 중요성, 교실 독서에 관심있는 이들일텐데, 이런 접근은 독서에 대한 기대감을 낮출 뿐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핵심역량
(전략)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미래사회에 필요한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으로(중략) 의사소통 능역, 협업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 창의력 (중략) 과거의 학교교육이 이해력, 독해력, 수학적 능력에 집중했던 것과는 다르게 인간의 사고와 내면적인 부분에 더 초점을 맞추고 (중략) 누가 더 올바른 정보를 찾고,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지가 중요 (중략) 철학자 니체는 『즐거운 학문』에서 무비판적이었던 당시 사회를 비판하면서 (중략)
‘현존재의 경이로운 불확실성과 애매성 한가운데에 머물며 물음을 던지지 않는 것 (중략)’
21세기 교육에서 가장 주목하고 있는 능력은 질문하는 능력‘이다. - P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