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민주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도 이 교실 구성원의 일원이라는 것이다. 다만, 교사는 이 교실에서 벌어지는 일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기 때문에 학생들로부터 그의
해결에 대한 권한을 위임받을 필요가 있다.
하지만 아직 학생들은 이 교실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에 대한 충분한 사례를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교사는 이에 대한 사례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학생들에게 사전 동의를 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치는 학생들의 학습권 및 휴식권을 빼앗지 않을 정도로 최소한이어야한다고 생각한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정말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그러나 의무가 발생한 까닭이 ‘권리 보장, 인권 존중‘을 위한 것임을 잊은 채, ‘준법’, 규칙 준수‘, ‘질서 유지‘ 그 자체에 매몰되어 있는 교실을 발견할 때마다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이후로 교실민주주의에서 의무와 책임을 권리 보장‘의 측면에서 강조할 것임을 미리 밝혀 둔다.

"학생들이 엉뚱한 결정을 했을 때 난감합니다." "학생들이 민주적으로 결정했으니 교사는 무조건 따라야 하는 게 아닌가요?" "그래서 애들은 강하게 통제해야 해요." "그래서 이 방법(교실 민주주의)은 안 될 거 같아요."
(중략) 교사도 교실 민주주의의 중요한 일원이기 때문이다. - P61
그러나 의무가 발생한 까닭이 ‘권리 보장, 인권 존중‘을 위한 것임을 잊은 채, ‘준법’, 규칙 준수‘, ‘질서 유지‘ 그 자체에 매몰되어 있는 교실을 발견할 때마다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이후로 교실민주주의에서 의무와 책임을 권리 보장‘의 측면에서 강조할 것임을 미리 밝혀 둔다. - P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