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클리어 2 ㅣ 옥스퍼드 시간 여행 시리즈
코니 윌리스 지음, 최용준 옮김 / 아작 / 2019년 2월
평점 :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책이 재미있어서 주말 새벽을 반납하며 단숨에 읽어갔다.
전작인 [블랙아웃]과 연결되는 책인 바, [블랙아웃] 두 권과 [올클리어] 두 권 도합 네 권은 하나의 시리즈라고 생각해도 무방할 듯 하다. 따라서 [올클리어] 부터 읽으면 스토리를 따라갈 수 없다. 책을 왜 이렇게 썼는지 모르겠지만.
책은 타임머신 패러독스의 중핵을 뚫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진행하고 있고, 그게 꽤나 성공적이라는 생각 - 어쨌든, 결말을 보기 위해 책을 동틀녘까지 읽을 수 밖에 없었으니 - 을 하게 된다.
이야기는 줄곧, 과거의 문을 두드리는 옥스포드의 역사학자들이 과연 역사의 복잡계에 흠집을 내는지, 역사의 복잡계는 이를 만회(혹은, 복원)하기 위해 자정작용(!)을 펼치는 것인지에 대한 대립 사이로 흘러가고 있다.
물론, 지금까지의 물리학적 기술로는 타임머신이 불가능하지만, 그래도 이론상으로는 과거를 엿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한가닥 작은 소망 - 사실 인간이 빛의 속도를 넘어선다면 시간을 거스르게 될 것이라는 예측은 선형적 사고로부터 기인하는 것이며, 세상은 선형적이고 단일한 시간계로 구성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는 예측도 있다 - 을 가지고 있으며, 이 때문에 타임머신 담론은 계속 인간 상상력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기도 하다.
이 이야기도 그런 상상력의 나래를 이루는 타임머신 패러독스에 대한 것이며, 미래에서 찾아든 역사학자들이 과거의 인물들에게 미치는 소소한 영향이, 마치 나비의 날갯짓이 되어 복잡계를 뒤흔들고 붕괴할 수 있는가를 바탕으로 짜임새 있게 네 권의 이야기 - 약 2천 페이지 - 를 구성하고 있다.
*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겠지만, [블랙아웃]과 [올클리어]의 결말은, 타임머신 패러독스 중 주목할만한 영화인 [12 몽키즈]의 이야기 구조와 동일한 방식의 결말을 취하고 있다. 미래를 바꾸기 위해 과거로 찾아든 주인공의 행동 때문에 그 미래가 나왔다는 순환 역설. 이 책도 결국은 과거로 찾아든 역사학자의 행위가 있었기 때문에 미래가 지금처럼 흘러가게 되었다는 순환 역설로 이야기를 마치고 있다.
결국, 미래를 알고 있기에, 과거가 결정되어 버린다. 이렇게 보면, 우리가 과거로부터 미래로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가만히 있으면서 시간의 물줄기가 미래로부터 과거로 거슬러 가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이는 이영도의 [퓨처 워커]의 이야기 구조와 같다. 시간이 과거로 거슬러 흐르지 않는 바람에, 과거와 현재가 조우하는 [퓨처 워커]의 패러독스도 참 마음에 들었더랬는데... 어쨌든.
코니 윌리스는 옥스포드 시간여행 시리즈를 통하여, SF적 상상력에 기반한, 독자로 하여금 홀딱 빠져들어 몰입할 수 있는 매력적인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있다.
[블랙아웃]과 [올클리어] 시리즈는 주요 등장인물들의 시공간적 시점에 따라 이야기를 들쑥날쑥하게 제시하면서 이야기의 모든 얼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지 않고 있으며, 그 때문에 마치 추리소설을 읽는 것처럼 계속 생각하게 만드는 이야기 구조를 취하고 있다. 덕택에 복잡하기도 하고, 정신도 없지만, 마지막에는 모든 이야기가 한 줄기로 연결되면서 궁금함을 명쾌하게 풀어내고 있다.
다만... 이상하게도, 코니 윌리스의 문장에는 집중이 좀 어렵다. 번역의 문제는 아닌 것 같고. 그냥 문장을 좀 복잡하고 정신없이 쓰는 바람에, 간혹 무언가를 놓친게 있는 것 같은 찝찝함이 남기도 한다. 그래도 코니 윌리스의 이야기는, 사람을 끌어당기는 무언가가 있다는 것이 일개독자의 결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