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에게 자신을 소개한다고 생각해보자. ‘이성애자‘라고 소개하는 일은 드물 것이다. 남자와 여자가 사랑하고 맺어지는 일이 당연한 사회에서 ‘이성애’는 사랑이나 로맨스라는 이름으로 대체된다. 이성애라는 정체성은 언급될 필요가 없다. 당연하기에 굳이 말할 필요가 없다. 우리는 보편(적인 정체성)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그래서 보편의 또 다른 이름이 특권이라는 사실도 잊는다. - P9
성소수자의 노동을 취재하기 시작한 것은, 나 자신의 ‘여자 노동‘이 한창일 때였다. 여자가 더 잘할 것이라 기대되는 역할과 그에 부응해 연출해야 하는 이미지. 공식적인 업무 분장에는 없지만, 여자들이 다 하고 있는 그런 일. 그래서 자연스럽다고 여겨지는 노동에 숨이 막혔다. 호흡을 위협받는 순간까지 ‘여자로’ 생각하고 말하고 웃는 내가 있었다. 그럴 때마다 고개를 들어 책상 파티션 너머를 봤다. 수그린 동료들의 뒤통수가 보였다. ‘정상‘ 시민들 모르게 고개를 들어 서로를 확인할 마피아 동료가 필요했다. - P13
《젠더 무법자》에서 케이트 본스타인은 모욕에 대해 이렇게 언급했다. "모욕은 젠더 수호자가 쥔 채찍 중 하나다……. 우리는 모욕에 신경쓰라고 배운다." - P19
법학자이자 성소수자인 켄지 요시노는 저서 《커버링》에서 패싱을 "자신의 정체성을 받아들이되 타인에게 숨기고자하는 욕구"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벽장 속에 숨어 지내는 것이 아무리 나쁘다 해도 전기충격요법보다는 낫다고 말한다. 거짓말이 아무리 힘들어도 굶어 죽는 것보다 낫다. 무대의상을 입고 면접장으로 가야 한다. - P34
"애인 있습니까?" 단 여섯 글자로 이뤄진 질문이 이토록 힘을 갖는다. 질문 하나 받았을 뿐인데 누군가(남성)는 한 가정의 부양-책임자로서 책무를 되새긴다. 누군가(여성)는 출산과 육아라는 자신의 역할을 떠올린다. - P37
이들은 드러내지만 드러나지 않는다. 나를 표현하는 동시에 나 자신을 그대로 인정하지 못하는 세상을 앞에 두고 거짓을 말한다. 숨길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도 스스로를 인정하고 인정받고자 하는 그 욕구 때문에 성소수자들은 드러냄과 숨김 사이에서 줄타기 중이다. - P49
"나는 꽤 여러 가지 세일즈 일을 해봐서 어떻게 설득해야 구매하게 되는지 안다. 물론 남자로 일할 때 얘기다. 여성이 되어 일했을 때 고객들은 나의 ‘전문가 의견’을 들으려 하지 않았다. 결국 ‘어머나, 저보다 훨씬 더 잘 아시네요, 존슨 씨,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나요?‘라고 묻는 수밖에 없었다." - P97
초국적 기업이 개발도상국으로 진출할 때 고려하는 지점 중 하나가 여성차별 문화라는 이야기가 있다. 여성차별이 심하다는 것은 ‘여자가 있을 자리는 가정‘이라는 논리가 더 강하다는 뜻. 집 밖의 여성노동은 부차적으로 여겨진다. 바로 이때 가격 ‘후려치기‘가 가능하다. - P102
‘자본주의 체제가 사람들의 불안을 먹이 삼아 성장한다‘는 류의 이야기는 고용절벽 앞에서 정설로 자리 잡는 중이다. - P107
"보이지 않은 손이 닿지 않은 곳에 보이지 않은 성이 있었다." 기존 경제학을 여성의 관점으로 비튼 카트리네 마르살은 이렇게 묻는다.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을 집필하는 동안 식탁에 따뜻한 스프 접시를 놓는 손은 누구의 것이었냐고, 그의 어머니인 마거릿 더글러스, 즉 여성의 보이지 않는(보려 하지 않은) 노동이 있었다. - P117
‘우리에겐 페미니스트 선생님이 필요합니다‘ 해시태그운동이 일어났을 때 청소년 인권활동가 공현이 지적한 대로, 학교에 정말 필요한 것은 좋은 스승인 페미니스트 교사 한두명이 아니다. "페미니즘적 학교, 페미니즘적인 교육 환경, 페미니즘적인 교육제도" 이를 시스템으로 만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P1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