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 수염 생쥐 미라이 보림문학선 9
창신강 지음, 전수정 옮김, 김규택 그림 / 보림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 이 책을 읽으며 다시 한번 절감했다. 중국 작가의 책을-이 작가의 책을 포함해서-몇 권 읽어보았지만 아주 재미있었다거나 의미있었다고 여겨진 책은 그다지 많지 않았다. 아무래도 우리와 같은 문화권이라서 신비한 맛이 덜하기 때문일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현재 중국의 모습이 보여지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내가 지금의 중국 모습을 안다고 확신할 수 없지만 적어도 권위적이고 가부장적인 모습은 여전하리라고 짐작한다. 우리도 많이 바뀌었다고 하지만 여전히 그 문화가 남아 있으니까.

 

  천 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생쥐 미라이가 인간의 언어를 배우고 그럼으로써 인간의 지식을 습득하여 인간과 자유자재로 이야기하고 심도 있는 토론을 한다는 이야기, 인간인 즈루이가 오히려 인간과는 교류를 하지 못하다가 시궁쥐인 미라이를 통해 위안을 삼고 딸까지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이야기지만 미라이 집안의 생쥐들을 통해 인간의 세속적이고 비열한 모습을 꼬집고 싶어하는 작가의 마음을 너무 쉽게 드러내고 말았다. 특히 미라이의 형인 미자자는 욕심많고 교활한 인간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아버지의 기력이 약해지는 것을 알고 후계자가 되기 위해 술수를 쓰는 모습이나 자신의 약점을 드러냈다가도 금방 가면 쓴 모습으로 돌아가는 등의 모습을 통해 직설적으로 그런 부류의 인간을 풍자하지만 솔직히 썩 마음에 들지는 않는다. 무기력해진 아버지가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집안의 질서가 잡히고 다른 가족을 통치하는 생쥐 가족의 모습을 보며, 만약 문화가 전혀 다른 곳에서 살았던 사람이 이야기했다면 어땠을까 궁금하다. 중국이니까 그런 모습으로 가족을 그리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는 얘기다. 진짜 생쥐들이 어떻게 군집생활을 하는지 모르지만, 어쨌든 내가 싫어하는 권위적이고 가부장적인 모습으로 형상화되는 바람에 다른 의미있는 이야기들이 가려지고 말았다. 작가가 미자자의 가족을 일부러 그런 모습으로 그렸다기보다 자연스럽게 그런 모습을 떠올릴 수밖에 없었던 사회적 환경 때문일 것이라는 생각이 더 들었기 때문에.

 

  자신이 손해를 보더라도 옳은 이야기를 하고 권모술수를 쓰지 않는 미라이를 보며 누구나 같은 생각을 할 것이다. 그래, 그렇게 살아야 해라고. 때로는 위험에 처하고 자신이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 부딪치더라도 원망하지 않고 묵묵히 그 길을 가는 삶은 마치 군자의 모습 같다. 미라이가 생쥐라서 그렇기도 하지만 다른 생쥐들과 다르게 사색을 즐기고 가치를 다른 곳에 두는 모습에서 레오 리오니의 <프레드릭>이 연상됐다. 어쨌든 이거 하나는 확실하다. 우리 작가의 동화가 훨씬 재미있고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도 세련되었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