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최강 문제아 - 푸른문학상 수상작가 동화집 미래의 고전 24
신지영 외 지음 / 푸른책들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좌충우돌 아이들의 이야기를 읽으면 한편으로는 걱정되는 경우도 있지만 재미있는 경우가 훨씬 많다. 얘네들은 이런 생각을 하는구나, 이런 아이들은 마음이 얼마나 아플까 등등 혼자 이 애가 되었다가 저 애가 되었다가 한다. 그러다 생각이 향하는 곳은 바로 '그럼 우리 아이는?'이다. 그래서 엄마에게 바락바락 대들고 엄마가 싫어할 일만 골라서 하는 준우의 행동을 보며 한심해 하거나 이 엄마 정말 속터지겠다 싶다가도 혹시 내가 이런 적은 없었나 하는데까지 생각이 미친다. 물론 속으로는 그런 생각을 한 적이 있겠지만 겉으로 그처럼 노골적으로 드러내서 남에게 상처를 주고 아이에게 선입견을 갖게 만든 적은 없었던가 자문하는 것이다. 내가 동화를 열심히 읽는 이유도 바로 이런 것이다. 책 속 인물을 통해 내 아이를 바라보고자 하는 것, 그리고 이해해야겠다고 결심하게 만드는 것 말이다. 그래서 처음에는 준우의 행동이 조금 심했다 싶다가도 상황을 알고 나서는 충분히 그럴 수 있겠다 싶다. 또한, 준우 엄마처럼 자신의 생각을 바꿀 수 있는 용기도 필요하리라 본다.

  그런가하면 아픈 딸의 병원비 때문에 밤이나 휴일에도 아르바이트를 해야하는 영찬이 아빠를 보고는 잠시 동화라는 것도 잊은 채 부모로서의 책임감에 가슴 뭉클해진다. 사실 이런 때는 슈퍼맨의 정체가 알고 보니 자신의 아빠여서 창피해하는 영찬이의 마음보다는 자식을 살리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아빠에게 더 마음이 간다. 만약 아이가 읽는다면 자신들도 엄마나 아빠를 창피해하거나 모르는 척하고 싶었던 기억을 떠올리며 영찬이에게 더 감정이입해서 읽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미 어른인 나는 영찬이를 이해하기 보다는 가족의 상황에 더 안타까워하게 된다. 그래서 때로는 어린이와 내가 바라보는 방향이 다르다는 점을 깨닫기도 한다. 하지만 어쨌든 이런 것은 모두 동화를 읽으며 느끼고 알게 된 사실이다.

  그런데 내가 그냥 글로써 읽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꺽정불의 비밀> 같은 무생물이 주인공일 때다. <팥죽 할머니와 호랑이>의 뒷 이야기쯤 되는 <보리밥 잔치>도 무생물이 주된 역할을 하지만 그것은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라 쉽게 공감이 가고 오히려 기발하다는 생각까지 드는데 <꺽정불의 비밀> 같은 이야기는 내겐 참 쉽지 않다. 물론 그 사이사이에 사람들을 비꼬거나 철학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한다지만 거기에 그닥 눈길이 가진 않는다. <달려라, 나의 고물 자전거> 같은 경우도 너무 흔한 이야기라 특별히 의미를 두고 읽게 되지는 않는다. '내가 이래서 동화를 읽는다니까'라는 말이 절로 나오는 이야기는 아니라는 얘기다. 물론 비슷한 상황을 겪었다면 쉽게 공감하고 이야기에 푹 빠질 수도 있겠지만 마지막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이야기라 감탄하지는 않았을 듯하다.

  때로는 기발한 소재에 감탄하고 때로는 특이한 서술 방식에 재미있어 하며 읽는 동화는 내게 아이를 이해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귀한 존재다. 그래서 무릎을 탁 칠 수밖에 없는 이야기를 만났을 때는 어찌나 기쁜지 모른다. 내가 언제까지 이렇게 동화를 즐기며 읽을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당분간은 그럴 것이다. 이 책에 있는 작가들이 다양한 이야기로 꾸준히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 재미있는 이야기를 만나는 일은 독자의 또 다른 기쁨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