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찍는 게 세상에서 제일 무서워 - 사진과 카메라 개화기 조선에 몰아닥친 신문물 이야기 1
서지원 지음, 조현숙 그림 / 꿈꾸는사람들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제목을 보니 어떤 책이 생각났다. 가만, 어떤 책이었더라. 그래, <경성, 사진에 박히다>구나. 그 책을 읽으며 지금은 사진 찍는 걸 너무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생각하지만 카메라가 처음 들어왔을 때만해도 굉장한 사건이었다는 사실을 잊었더랬다. 하긴 모든 것이 처음 도입될 때는 혼란이 있기 마련이다. 그러나 지금처럼 다양한 문화를 맛볼 수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게 들어오면 시험의 대상이자 관심의 대상이지만, 조선 말기와 같은 상황에서는 두려움의 대상이었을 것이다. 특히 유교적 사상에 젖어 있던 우리네 사회에서는 더욱 더. 그러기에 사진을 보고 영혼이 들어있다느니 팔다리가 잘린 사진은 마치 실제에서도 그런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착각을 하는 것이다. 

<경성, 사진에 박히다>를 읽으며(여기서는 참고 문헌 목록에 <한성, 사진에 박히다>로 되어 있다. 오타인 듯.) 미처 생각지 못했던 부분을 말해주고 있어 새롭다고 여겼는데 어린이 책으로도 비슷한 주제를 이야기하는 책이 있다니, 이제 역사가 단순히 지식의 차원에서 벗어나 문화의 차원으로 넓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어린이 책에서 거시적인 관점으로 다루던 것에서 이처럼 미시적인 부분을 다루고 있으니 말이다. 사실 사진을 누가 어떻게 처음 도입했는지는 일반인에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당시 우리 생활모습이 어땠고 왜 그럴 수밖에 없었는지는 중요하다. 그게 바로 역사니까. 

여기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사진관을 열었다는 황철을 등장시켜 당시 모습을 보여준다. 주인공은 삼식이지만 등장 인물들이 워낙 쟁쟁한 실존인물이 많아서 허구의 인물인 삼식이는 기억에 남지 않을 정도다. 그러니까 당시 시대상황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그리며 허구적인 요소와 결부시켰다는 얘기다.  

쌍둥이인 삼식이는 동생 계봉이와 청계천에서 거지로 지내다가 병이 든 동생이 먹고 싶어하는 만두를 훔치고 만다. 매를 맞으면서도 품에서 놓지 않은 만두를 가지고 와 보니 동생이 없다. 당시는 어린이를 유괴해서 사진 찍는데 사용한다는 해괴한 소문이 돌던 때라 동생을 찾는데 혈안이 된다. 그러다 찾아간 곳이 바로 황철 집이다. 그 후로 그곳에서 생활하며 사진을 배운다. 이 즈음에서 동생의 역할은 사라져버렸다. 사라진 동생이 느닷없이 나타나는 것도 우습지만 이처럼 이야기에서 슬그머니 사라지는 것도 석연찮다. 처음에는 삼식이에게 굉장히 비중있는 인물로 나오는데 나중에는 흐지부지 사라졌으니까. 그 점만 제외한다면 색다른 방향의 책이라는데 주저하지 않고 한 표 던지겠다. 역사를 동화로 풀어주는 책은 대개 역사적 사실보다 동화적 요소에 초점을 더 많이 두는데 이 책은 그 둘을 아주 적절히 혼합해서 재미와 지식을 함께 얻을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