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속의 그림, 그림 속의 시 - 문인화 2 보림한국미술관 11
김현권 지음 / 보림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지난해 간송미술관에서 언제 다시 일반인에게 공개할 지 모르는 많은 그림들을 전시한다는 글을 읽고 가야하나 말아야하나를 고민했었다. 사실 이렇게 고민을 한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진짜 문화의 가치를 모르는 사람이 하는 짓일테지만 워낙 거리도 멀고 한창 바쁘기도 한 때라 어쩔 수 없었다. 결국 차일피일 미루다가 못 가고 말았다. 언제 다시 그 작품들을 보게 될지 모르는데... 만약 내가 시, 서, 화에 대해서 그러니까 간송미술관에서 전시되는 작품들을 보는 안목이 갖추어져 있었다면 어떻게든 가지 않았을까. 멀어서 못 간다느니 시간이 없었다느니 하는 것은 핑계였을 것이다. 진짜 가기를 두려워했던 것은 전시된 작품에 대해 아는 것이 없다는 점이었을 것이다.

그렇다. 현대미술을 보는 안목도 물론 없지만 옛그림들은 너무 모른다. 기껏해야 누구나가 아는 김홍도, 정선, 신윤복... 등이다. 그것도 이름을 안다는 것이지 그들의 작품을 '볼 줄 안다'는 것은 아니다. 이번에 보림에서 나온 한국미술관 시리즈에는 그러한 그림을 보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다. 붓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무슨 느낌을 주려고 했는지 등 기본적인 것들을 쉽게 설명해주고 있어서 나처럼 그림에 전혀 지식이 없는 사람이 봐도 고개를 끄덕일 정도다. 물론 설명하는 글을 읽고 나서야 모든 것이 눈에 들어오긴 했지만 말이다. 하긴 처음부터 눈에 들어왔다면 내 그림 보는 실력이 형편없다고 고백하지 않아도 되는 수준이었겠지...

이번 책은 문인화를 다루고 있는 두 번째 책이다. 제목에서도 볼 수 있듯이 시와 그림이 일치되어야 한다는 서화일치를 기본생각으로 한 선비들의 그림이 펼쳐진다. 그리고 그림을 자세하게 해설해 주고 있어서 마치 그림을 보며 도슨트에게 설명을 듣는 것 같다. 부벽준, 피마준, 지두화 기법 등 생소하거나 가물가물한 단어들도 알게 되었다. 특히 옥순봉을 그린 윤제홍이란 선비는 지두화라는, 손으로 그리는 기법을 사용했다고 한다. 글씨도 손으로 쓴 지두서라는데 그냥 봐서는 도저히 구별을 못하겠다. 지난 가을에 단양에 갔을 때 돌아본 곳이었는데 이렇게 책에서 그 이름을 보니 새롭고 반갑다. 잠시 옆길로 샜네...

처음에 고사관수도를 시작으로 그림과 시가 있는 문인화가 소개되는데 모두 관지와 제발이 있다. 관지란 화가의 호나 성명, 그린 장소, 이유 등을 적거나 도장을 찍은 것이고 제발은 그림과 관련된 시나 글을 적은 부분이라고 한다. 제발에는 그림을 감상한 사람의 시나 글도 해당된다고 한다. 옛그림에는 당연히 글이나 제목이 있고 도장 즉 낙관이 있는 것인 줄 알았는데 이처럼 그런 형식에 따로 이름이 붙었나보다. 사진에도 그곳에서의 추억을 적어 놓으면 나중에 그 느낌이 되살아 나는 경우가 있는데 옛 사람들도 그처럼 사용했나보다. 선비들의 자연에 대한 동경과 곧은 의지, 그리고 그들의 노력을 읽을 수 있었다. 아~~, 이 시리즈 책은 언제봐도 좋다. 그나저나 이 시리즈는 계속된다는데 걱정이다. 그 비용을 다 무슨 수로 감당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