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1
한강2
한강3
한강4
한강5
한강6
한강7
한강8
한강9
한강10
-
-
한강 세트 - 전10권 - 양장본 ㅣ 조정래 대하소설
조정래 지음 / 해냄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중2인 아들 녀석에게 읽으라고 했더니, 6학년인 민경이가 "나도 읽어도 돼?" 묻더니만 먼저 휘리릭 읽어버렸다. 이제 대학가는 큰딸은 너무 독서수준이 높으면 친구들과 대화가 안 된다며 극구 말렸다. 자기는 중2때 읽었는데도 친구들과 많은 거리감을 느낀다며...... 하지만, 우리 막내는 거의 문자중독 수준이라 읽는 걸 금할 순 없다. 게다가 만화 박정희, 전두환을 봤기에 충분히 이해할만 하다 싶어 엄마는 말리지 않았다. 간간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 있는가만 물었을 뿐이다. 학교에서 사회를 배우니까 그것도 한몫은 한 거 같다. 중학생이 읽으면 좋을 책이지만, 초등 6학년도 중학교 입학을 앞두고 있다면 큰 무리는 없다고 생각한다. 곧 중학교에 입학할 민경이가 '한강'을 읽고 남긴 글이다.
'한강'을 읽고 -6학년 선민경-
한강은 1960년, 6.25가 끝나고 전라도에서 유일민, 유일표 형제가 서울로 상경하면서 시작된다. 지금은 어딜가나 아파트에 주택, 자가용이 도로에 굴러다니는데 그 때의 서울은 정말 가난했다. 무허가 판잣집이라도 있으면 꽤 있는 집이었으니까 50년만에 이렇게 된 게 정말 대단하다. 한강에는 유일민, 유일표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나오는데, 그들 대부분이 가난한 밑바닥 계층의 사람들이었다. 화려한 경제성장의 뒤에서 그만큼 고통 받아야 했던 사람들의 모습이다. 공장에서 일했던 전묘숙, 나윤자, 공장에서 일하다가 술집으로 옮겼던 박보금, 깡패 일을 했던 서동철, 막일을 전전하던 천두만 같은 사람들 등등. 이들의 이야기는 그야말로 눈물겨웠다. 기계에 손가락이 4개나 잘리고도 치료비밖에 받지 못 한 사람, 회사 사장들이 집을 수십채나 가지고 비싼 술을 마실 때 먼지로 인해 기도가 막히고 폐암에 걸린 여공원들. 노조를 만들려고 하면 순식간에 눈치 채 해고시키고, 사장들끼리 일치단결해서 더 이상 취직도 불가능하게 만들어버린다.
읽다 보니까 낯익은 사건들이 많이 나왔다. 4.19와 박정희의 집권, 광주에서 일어났던 5.18, 월남 파병과 중동 등등... 아는 일들이 나오니까 더 흥미가 생겼다. 그리고 알았지만 잘은 몰랐던 사실들을 자세히 알게 되었다. 고등학생, 대학생, 대학교 선생님들이 뭉쳐 부당한 정권에 대해 한마음 한 몸으로 싸웠던 4.19는 정말 하나 된 군중의 힘이 얼마나 무서운지 깨닫게 해 주었다. 또한 지식인들은 정말 깨어있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했다. 나조차도 4.19의 열기를 느낄 정도였다. 하지만 가족이 정치 쪽과 관련이 있던 사람과 피치 못할 사정이 있던 사람들은 데모에 참가하지 못 해 정말 괴로웠을 것이다. 아버지가 국회의원이던 강숙자와 월북한 아버지 때문에 무슨 일이 있어도 공부만 해야 했던 유일민 같이 말이다.
그렇게 무능한 이승만 정권이 무너지고, 군인인 박정희가 정권을 차지한다. 그리고 오랜 시간이 걸쳐 점점 경제성장이 되고 살만해 진다. 그러나 잘 살게 됐다곤 해도 서민들은 그다지 잘 살지 못했다. 여전히 있는 사람은 잘 살고 없는 사람은 못 산다. 잔인한 현실에 굴복해 비리에 무릎 끓은 4.19세대도 있었다. 참, 돈 없다는 게 뭔지... 돈을 벌기 위해 월남과 중동에 일하러 가고, 서독으로 광부와 간호사로 갔다가 병을 얻어 돌아오는 사람들도 있었다. 어쨌든 모두가 노력해서 정말 잘살아 보기 위해 노력한다.
부정부패가 판치고 돈 없고 빽 없는 사람은 살지도 못하며 근로기준법이 있는 지도 몰랐던 그런 시절은 알게 모르게 뒤에서 노력했던 사람들에 의해 사라졌다. 그러나 아직도 잘 사는 사람과 못 사는 사람은 천국과 지옥정도로 극명하게 갈린다. 이제 불행했던 과거를 지나 힘차게 비상하는 대한민국이 되야 하지 않을까.
*아들녀석은 이제 3권을 끝내고 4권을 읽는 중이다. 녀석은 자기 서재에 1,2편을 올렸다. 하루에 하나씩 올린다. 아들녀석만 읽으면 이 책 사들인지 5년만에 우리 다섯식구가 다 보는거랍니다. (이 뿌듯함, 아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