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같기도하고 아포리즘 같기도 한 장석주 시인의 산문집 <달과 물안개>를 우연히 중고서점에서 만났다. 게다가 초판 1쇄. 운수좋은 날.


 시인의 산문을 읽으며 문득 문득 떠오른 생각들. 게으른 필사. 딴 생각하던 짓의 흔적을 간단히 메모해둔다. 분명 다음 날 다시 읽으면 부끄러워 삭제할 수도 있겠지만, 시인이 어느 책에서 언급했던가. '졸렬한 글을 쓸 수 있는 용기'로 끄적여 보겠다.


산문집은 시인의 내밀한 속내와 삶을 너무나 솔직하게 폭로해낸다. 

'늘 탕기보다 먼저 타는' 가슴을 가진 시인.

지극히 인간적인 고뇌의 흔적을 밤새 따라가보았다.

'그건 순전히 당신 탓이다'라고 시인이 말한 후의 공백은 

시인의 삶의 고단함과 짧은 후회의 순간을 대변하는 듯하다.


(시인의 팔월)

시인은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달로 팔월을 꼽는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팔월의 새벽'을 제일로 치는 모양이다.

시인은 '팔월의 새벽'을 다음과 같이 고백한다.

"깨끗하게 빨아 말린 뒤 방금 다림질 한 면셔츠를 입었을 때처럼 기분이 좋다."(39면)라고 말이다.


이 좋은 계절, 좋은 시간에 시인은 자신이 좋아하는 소설을 읽고 또 읽는다. 폴 오스터의 <달의 궁전>, 카뮈의 <결혼 여름>, 카프카 단편선, 파스칼 키냐르의 <은밀한 생> 등이 그것이다.


시인의 팔월 예찬은 계속된다.

"팔월이 되면 나는 턱없이 낙관적이 되고 행복해진다."(45면)


또 시인은 '생'에 대한 예찬을 시작한다.

"무엇보다도 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은 내가 살아있다는 것."(46면)


이 뜨거운 팔월에 살아있음을 온몸으로 자각하면서 시인이 좋아하는 그 목록들을 떠올리고 좋아하는 일들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는 것이 시인에겐 무엇보다 큰 행복감을 주는 모양이다.



(시인의 어머니)

'비에 씻긴 말갛게 핀 앵두나무 꽃들' 앞을 지나간 시인의 어머니는 이제 '늙은 앵두나무'가 되어 그 나름의 원기왕성함으로 '아직 세상은 살만한 곳'이라고 말하며 어머니에 대한 안타까움과 애틋함을 드러낸다.(53면)



(고독)

"능소화가 소문없이 꽃봉오리를 연 저녁, 모깃불을 피우고 저녁을 준비한다. 고추장에 열무김치 얹어 비벼먹는 늦은 저녁, 양푼밥은 달고 오늘밤 잠도 잘 오겠다." (89면)


시골에서 보내는 시인의 생활은 겉보기와 달리 외롭고 단촐하다. 

불쑥 든 부끄러운 생각.

'나, 아직 모자라고 철들지 못해, 더 외롭고, 철든 후 다시 세상에 나아가야겠다. 나의 하루가 부끄럽다. 찌질한 내 인생.'


"내가 직면한 생의 단 하나의 어려움은 나 자신이 된다는 것. (...) 내 앞의 벼랑은 바로 나 자신이다."(117면)


시인은 수없이 자신을 마주한다. 바삐 살아가느라 백색의 노이즈에 파묻혀 인지하지 못했을 우리의 삶을 다시 고요히 들여다 본다면, 시인처럼 우리는 자기 자신을 시시각각 마주대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시인의 시쓰기는 거울을 통해 자신을 들여다보는 일과 같은지도 모르겠다.

 

'방심'할 수 있는 자유.

도시의 삶은 긴장의 삶이기에 시인처럼 홀로 방심한 채 소주병을 비울 여유가 없는 것일까.

 

"싸구려 조화 같은 진홍 영산홍 한 그루 보이지 않는 걸 보니 늦봄지나 초여름에 성큼 다가선 것이다."(125면)

 

우리가 이야기하는 '자연'이란 또 다른 '인공'일 뿐이다. 앞으로의 세대는 '인공자연' 속에서 살며, 자연의 시간성이 몸에 각인된 삶을 살기는 어렵지 않을까. 우리의 삶과 자연의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며 만들어낸 24절기만 해도 이제 우리는 달력을 통해서 '정보'로서만 인지한다. 어르신들이야 달력의 '절기'를 보고 '자연이란 참 신기하지? 어떻게 매년 이렇게 잘 맞아들어갈까?'라고 말하곤 하지만, 도시에서 태어나 평생 도시에서 살아가는 아파트 키드들에게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앞으로 아파트 난방비며 관리비만 비교하며 걱정하게 될 삶이 아닌가. 우리 인간은 우리 스스로를 부지런히 소외시킨다.

 

시인은 혼자 먹는 점심을 '일인분의 자유와 일인분의 고독으로 차려진 나의 정찬'이라 말한다. 혼자 밥을 먹는 것이 익숙했던 나의 삼십대를 떠올린다. 나이들어 한 쪽으로 굽은 척추를 안고 걸으시던 어머니를 생각하며 목이 메이고, 아버지가 돌아가시던 날 내무반에서 밤새 뒤척이던 나를 떠올린다. 삶이란 원래 이처럼 무뚝뚝하고 시시한 것이었을까.

 

"그가 먹던 빵을 내 얼굴로 집어던질 때 나는 웃어 보였다. 화내야 할 때 화를 못내는 것, 그게 비굴이야! 겸손이란 위장된 비굴에 지나지 않는다. 나를 욕되게 하는 것은 타자가 아니라 나 자신이다." (155면)

 

이 말이 나를 때렸다. 내 안에서 무언가 끓어오르다 다시 가라 앉았다. 무언가에 대한 기억이 내 안에서 맴돈다. 내 안 기억 속 깊은 어딘가를 건드렸을 것이다. 순간 먹먹하고, 가슴이 답답했다. 나는 이미 세상의 기대에, 무언의 규칙에 길들여져 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