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카레니나> 느릿 느릿 읽기 [1]

 

 

 

 

 

 

 

 

 

 

   앞으로 몇 달이 걸릴지 모르겠다. 하지만 아주 천천히 읽어 나가면서 밑줄 그은 부분을 옮겨 적고 삼천포로 빠지기도 하고 그 때 그 때 나에게 든 생각들을 옮겨 놓는 지극히 개인적인 독서 일기가 될 것 같다. 이 독서 일기는 박형규 교수가 번역한 문학 동네의 <안나 카레니나> 3부작에 기반하여 읽어 나갈 것이다. 대학을 졸업한지도 한 참 지난 내가 아마도 제작년 부터 문학 책을 들여다보다가 결국 이름만 들어왔던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를 만나게 되었다. 책의 뒤 편에 나온 유명 소설가들의 <안나 카레니나>에대한 짦막한 서평만이 아니더라도 가깝게는 <책은 도끼다>를 쓴 박웅현 선생이 <안나 카레니나>를 읽으면 최소한 길을 잃지는 않을거에요.라고 한 언급이 이 책에 대해 더욱 흥미를 갖도록 했다. 번역본으로 해설을 제외하고 순수하게 소설 지면으로 1560페이지에 달하는 이 책을 나는 어떻게 읽어 나갈 것인가가 처음 이 책 세 권을 앞에 두고 들었던 생각이었다. 그래도 태어나서 한 번은 남들이 고전이라고 하는 책을 읽어볼 필요는 있지 않을까하는 막연한 사명감에 읽기 시작한 것이 작년 12월 초 였는데, 느릿 느릿(그려나 꽤 부지런히) 읽어나간 지 2달 남짓만에 다 읽어내어 후련하다. 나는 여기에서 나아가 천천히 읽으며 딴 생각으로 멈추기도 하고 메모도 해 둔 부분을 서재에 기록해두고 싶다. 그렇게 해서 나만의 <안나 카레니나> 다시 읽기 프로젝트를 생각해낸 것이고, 이렇게 하면 또 한 번 인상깊었던 부분들, 삼천포로 빠졌던 기억들을 다시금 그러 모을 수 있을 것같다. 지금 다시 생각해보니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고전을 통해 정답을 찾는 일이 아니라 오히려 내 삶에 질문을 던지는 일이었던 것 같다. 자 그럼 시작해보자!

 

 

 

   원수 갚는 것은 내가 할 일이니 내가 갚아주겠다.

   소설은 성서에 나온 이 알쏭달쏭한 표현으로 시작한다. 책의 뒷 표지에 언급된 것처럼 미국 작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안나 카레니나>세계문학사상 가장 위대한 연애소설의 하나라고 표현했는데, 이 성서의 표현은 처음 읽을 때 무심코 지나쳤던 문구이다. 지금 다시 책을 펼치고 눈에 들어온 이 문구를 다시 생각해보면 비극적인 소설의 결말과 관계된, 그리고 이 소설을 관통하는 삶과 신앙의 문제와 관련한 문구가 아닐까 하는 인상을 받았다. 당연히 작가가 아무런 의도 없이 소설의 첫 페이지를 이 문구로 시작하진 않았을 것이다. 다시 소설을 읽으며 생각해볼만한 꺼리가 생겼다. 처음 보는 것처럼 생소하면서도 무언가 중요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은 분명하니까.

   소설의 첫 부분은 소설의 성패를 좌우하는 결정적인 영역으로서 모든 소설가를 비롯한 작가들이 공을 들여야한다는 데에 이견이 없을 것이다. <안나 카레니나>의 첫 문장(1 11) 또한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로리타>와 마찬가지로 인상적인 소설의 첫 문장으로 빼놓지 않고 언급되는 문장이기도 하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고만고만하지만 무릇 불행한 가정은 나름나름으로 불행하다.

우리글로 표현한 이 문장은 나름 괜찮은 번역이라 생각했다. 특히 가족이라는 다소 좁게 느껴지는 표현보다 가정이라는 단어의 선택이 복잡한 현대의 삶을 좀더 유연하게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아울러 고만고만나름나름의 리듬감과 대칭적인 구조는 역자가 상당히 고민했다고 느껴지는 점이다. 나는 러시아어를 모르니 영역으로 번역(Richard Pevear & Larissa Volokhonsky 번역한 펭귄 북스 참조)한 문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ll happy families are alike; each unhappy family is unhappy in its own way.

   이 문장의 원래 의미가 어떻든 나는 이 문장이 참으로 많은 인생의 진실을 담고 있다고도 느꼈다. 부자든 가난한 이든 누가 더 행복한가를 가늠할 수 없다는 것, 그리고 행복해보이는 사람 누구든지 각자 나름의 고민을 안고 이 생을 살아가고 있다는 데에서 나만의 소심한 위로를 받기도 하는 것이다. 안정된 직장과 빚이 청산된 내 집을 갖고있고, 행복한 가족이 있다면 그야말로 행복할 것 같지만 그런 조건에 부합하는 사람들마저도 어김없이 말못할 아픔이나 고통, 고민거리는 늘 존재한다. 이것은 지금까지 내가 견지한 인생의 참모습이다. 곧 고민의 개별적인 대상은 다르더라도 고민 자체는 누구에게나 존재하는 것일게다. 그러므로 잘나가는 내 동창들의 모습에 배아파하지 말고 지금 이 순간을 살아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 같다.

   소설의 두 번째 문장(1 11), 오블론스키 집안은 모든 것이 어수선하게 들떠 있었다. 어수선함이라는 단어는 앞에서 말한 펭귄 북스에서 confusion이라는 단어로 나타나고 있는데, 나중에 더욱 자세히 나타나겠지만, 톨스토이가 이 <안나 카레니나>를 쓸 당시에 고민하던 신앙과 이에 무관한 듯 살아가는 러시아 민중의 현실적인 삶과의 괴리감 내지는 혼란스러움을 더 잘 함축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박형규 교수의 해설에도 잠깐 언급되지만 <안나 카레니나>를 집필 중이던 당시에 톨스토이는 민중의 삶과 인생의 의의, 그리고 선의 의미에대한 입장이 확고히 정리 되지 않았다고 말하는 대목이 나오는 것처럼 소설가로서의 인생에서 비교적 초기(<안나 카레니나> <전쟁과 평화>이후에 쓴 대작이다.)에 집필한 소설이기에 이러한 혼란스러움은 소설 전반의 전개 방식이나 주인공의 혼돈스러운 의식의 전개에서 곳곳에 반영되고 있는 듯하다. 

   어쨌든 <안나 카레니나>의 첫 부분은 행복한 가정보다는 불행한 가정에대한 암시를 전달하며 소설의 주인공 안나의 오빠인 스테판 아르카디이치 오블론스키가 프랑스인 가정교사와 바람이 나서 험악해진 분위기로부터 시작하고 있다.

   잠깐 소설에 나오는 인물들을 조금 소개하자면, 소설이 시작하는 시점에서 34세로 나오는 스테판(애칭은 스티바)은 모스크바에 거주하며 모스크바나 페테르부르크 지역에서 영향력있는 사람으로 나온다. 스테판의 부인 다리야 알렉산드로브나(애칭은 돌리, 여기서 알렉산드로브나middle name으로 보인다.)는 쉬체르바쓰키 공작 집안의 세 째 딸 중 큰 딸로 결혼 전 이름은 다리야 쉬체르바쓰카야 (애칭은 다쉐니카)이다. 둘 째딸은 나탈리 알렉산드로브나이며 나중에 외교관과 결혼하여 외국생활을 주로 하며 소설 전반에 큰 역할을 하지 않으며, 결혼 후 리보바 부인으로 불린다. 그리고 막내 딸 카테리나 쉬체르바쓰카야(애칭-키티, 레빈과 결혼 후 카테리나 알렉산드로브나 레비나 부인으로 불린다.)는 위에서 외도 사건으로 곤혹을 치르는 스테판의 처제인 셈이다. 소설의 시작 당시에는 18세의 앳된 숙녀로 등장하며, 가장 중요한 등장 인물인 레빈과 결혼하는 아가씨이다. 레빈은 원래의 이름이 콘스탄틴 드리트리치 레빈으로서 키티와 결혼하게 되는데, 키티의 큰 언니 돌리의 남편인 스테판과 오랜 친구이다(스테판은 레빈을 코스티야라는 애칭으로 부르곤 한다). 레빈은 대학시절 자연과학을 공부한 과학도로서 시골에서 살며 농사를 지으며 독서와 농업에 관한 저술작업도 하는 젊은이 이지만 사회적으로 아무런 경력이나 지위를 얻는데 무관심하다. 소설의 시작에서 32세의 청년으로 등장한다. 

   이처럼 소설에는 복잡한 이름들이 등장한다. 내가 <안나 카레니나>를 느릿 느릿 읽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일단 러시아 이름들이 수도 없이 나오는 이 장편 소설에서 인물들을 구분하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인물들은 앞으로 조금씩 소개를 하며 기회가 되면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때가 있을 것이다. 

   레빈은 키티에게 연모의 정을 품고 있으며 청혼을 하려고 기회를 엿보는 중이다. 하지만 시골에서 살던 레빈은 모스크바의 사교계에서도 영향력을 갖고있던 쉬체르바쓰키 공작 집안의 막내 딸 키티에게 다가가려고 하지만 번번이 자신감을 잃고 머뭇거리는 대목이 나온다.(1 53)

   상대방 부모의 눈으로 볼 때 자기는 아름다운 키티에게 도저히 어울리지 않으며 한참 처지는 배필이라는 것과, 키티 또한 그를 사랑할 수 없으리라고 여겼던 것에 있었다. 부모의 입장에서 볼 때, 서른두 살인 그와 동년배인 누구는 벌써 대령이나 시종무관이 되었는가 하면 누구는 교수, 누구는 은행장이나 철도청장이나 혹은 오블론스키처럼 관청장이 되어 있는데 그는 사회적으로 아무런 경력과 지위를 갖지 않은 사내였던 것이다. 그는 그저 (남의 눈에 비치는 자기의 모습을 그는 아주 잘 알고 있었다) 암소들을 치고 도요새를 쏘며 건축에 열을 올리고 있는 지주, 말하자면 무능하고 아무것도 기대할 수 없는 소심하고 전도도 없는, 세상 사람들의 눈으로 보자면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인간들이 하는 것과 똑같은 짓을 하고 있는 사람에 불과했다.

   이 대목은 키티에게 청혼을 주저하는 레빈의 내면을 보여주고 있다. <안나 카레니나>의 단행본이 출간된 해가 1878년이므로 무려 130년도 전에 레빈이라는 청년이 고만하던 것들을 나 자신도 고민한 적이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 묘한 안도감(?)마저 느꼈다. 지금 생각하면 공자의 말을 제자들이 정리한 <논어>에 등장하는 불혹이라는 나이가 의미하는 것이 바로 타인의 시선을 젊을 때처럼 의식은 하되 이전보다 타인의 시선이 중요하지 않게 되는 나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 소설의 첫 문장처럼 고민의 내용은 각자가 다르겠지만 누구나가 다 고만고만한 고민을 하며 살아가듯이 이런 보편성을 깨닫게되면 레빈의 고민을 더이상 하지 않게 되겠지만, 역시 레빈은 32세의 청년이었다. 32세라는 나이는 잘 나가는 동료와 친구가 한다리 건너 누구든 있을 법한 세상 살이에서 여전히 자신의 결핍이 더 크게 느껴지는 나이일 것이다. 그리고 특히나 타인에 대한 동질감이 안정감을 주고 큰 역할을 하는 우리 사회에서는 더욱 공감이 많이 되는 부분이라 생각한다.  

   레빈은 자연과학을 전공한사람 답게 당시에 상당히 논쟁적이었을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도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온다. 다만 소설을 통해 레빈의 사유가 전개하는 양상과 주석을 통해 톨스토이는 인생의 문제나 마음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주지 못하는 유물론적인 사고 방식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지극히 유물론적인 관점으로 보였을 진화론에 대해서도 레빈을 통해 잠깐 잠깐 소설 속에서 드러나는 점이 흥미롭다. 동물로서의 인류의 기원(1 56)에대한 언급은 나 스스로 대학시절 생태학 개론 수업을 들은 후 갖게된 인간관이기에 흥미로운 부분이 있었다. 나중에도 물론 생각해보겠지만, <안나 카레니나>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의 한 명인 레빈이 자연과학을 전공했다는 설정 또한 톨스토이의 치밀한 의도가 엿보이는 것 같다. 이 소설이 물론 몇 젊은이의 연애사건을 다루기는 했지만, 1800년대 중 후반 사회 변혁이 태동하던 러시아의 사회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항상 염두해 두어야할 것 같다. 따라서 연애사건을 중심으로 다양한 계급에 속한 사람들과 삶의 현실, 그리고 농노제해방 등의 사회상이 폭넓게 반영되고 있다는 점도 내가 감탄하게 되는 점이다. 특히 톨스토이는 신앙과 무신앙의 문제, 삶의 의미를 찾는 문제(삶과 죽음), 공적 신앙과 개인적 쾌락의 추구의 문제 등을 고민하는 대목을 등장 인물을 통해 표면화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이 소설은 또 다른 작가의 일기장이라는 생각도 해보게 되었다.

  

   오늘은 여기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