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쓰기의 말들 - 안 쓰는 사람이 쓰는 사람이 되는 기적을 위하여 ㅣ 문장 시리즈
은유 지음 / 유유 / 2016년 8월
평점 :
《쓰기의 말들》
: 안 쓰는 사람이 쓰는 사람이 되는 기적을 위하여
은유 지음 | [유유]
‘자기 삶의 맥락 만들기’로서의 읽기와 쓰기
이번에 《쓰기의 말들》을 통해 은유 작가의 글을 처음 읽게 되었다. 그의 글은 어딘지 모르게 나를 불편하게 했다. 글 자체가 내게 불쾌감을 주어서가 아니라, 무의식적으로 당연하게 여겨왔던 것들을 들춰놓고, 내 안의 어딘가를 쿡쿡 찌르는 경험을 주기 때문이었다. 항상 결핍에만 주목하던 내가 ‘그럼에도 많은 것들을 지니고 누려온 사람’임을 지속적으로 일깨워주었다.
저자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바로 ‘글 쓰는 노동자’로서 경력을 시작했다. 삶의 현장에서 글을 쓰며 사유의 근력을 키워온 작가였다. 어쩌면 무의미한 반복에 가까워 보이는 글쓰기 노동자로 일하며 유의미한 사유를 캐냈던 사람이었다. 저자는 “지금까지 살아왔다는 것은 누구나 글감이 있다는 것”(49)이라고 언급하며 각자 자신이 발 디디고 있는 삶을 끌어와 한 줄씩 써보라고 조언한다.
《쓰기의 말들》은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구조에 따라 쓰인 글쓰기 책이 아니다. 오히려 삶에서 길어낸 깨달음을 차곡차곡 모아둔 글쓰기 도움말 상자 같다. 혹은 작가의 ‘영업 비밀’과도 같은 말들을 모아 펼쳐 놓은 책에 가깝다.
그동안 나의 글쓰기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무엇보다 개인적인 감정을 노출하는 것이 부끄러워 항상 마음에 걸렸던 것 같다. 그러다보니 대개는 솔직함에 한계가 보이는 글들을 쓰지 않았나 싶다. 자신을 들여다보기보다 대상이나 주제를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데만 노력을 기울였던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나는 글을 쓰면서 내 삶과 다소간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자 의도했던 모양이다. 그럼 삶과 긴밀하게 맞닿아 있는 글쓰기란 어떤 것일까. 그것이 삶에서 느끼는 고통과 울분을 과감 없이 다 드러내야 한다는 말이 아님을 막연하게나마 짐작해본다. 대신 저자는 줄곧 ‘자기 삶의 맥락을 만드는 글쓰기’를 이야기하고 있었다. 그에게 읽기와 쓰기는 삶의 맥락 만들기로서의 공부였다.
따라서 작가가 글쓰기를 할 때면 끊임없이 자아와 세계가 서로 충돌할 수밖에 없었을 테다. 이 과정에서 글을 쓰는 사람은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타인의 생각을 들여다보며 이해하고자하는 시도로 나아간다. 이 때 저자는 자신의 지각과 감성이 흔들리기 시작하고 ‘나 뿐이던 세상에 남이 들어오게 된다’(221)고 일러주었다.
작가의 글이 그의 몸에서 나와 내게 스며든 느낌이다. 《쓰기의 말들》은 얇지만 읽는 내내 작가가 삶에서 끌어 올려 팔딱팔딱 뛰고 생동감 넘치는 문장들을 만날 수 있었다. 내가 당연하게 여겨왔던 것, 머리 아프게 고민하기를 피해왔던 문제들을 저자는 독자의 사유를 갱신하는 글로 바꾸어 놓았다. 그의 이야기를 듣고 나면 나도 어느덧 현명해진 느낌이 들었다. 지식을 많이 습득해서가 아니라 나와 타인을, 그리고 세상을 좀 더 이해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작가가 말하는 글쓰기는 쓰는 사람을 더 나은 사람이 되도록 해주는 비결인지도 모른다.
[1] "남을 부러워하지 말고 자기가 발 디딘 삶에 근거해서 한 줄씩 쓰면 된다. 지금까지 살아왔다는 것은 누구나 글감이 있다는 것."(49)
[2] "쓰는 고통이 크면 안 쓴다. 안 쓰는 고통이 더 큰 사람은 쓴다." (75)
[3] "둔필승총(鈍筆勝聰): 둔필의 기록이 총명한 기억보다 낫다는 말"(90) - 정약용이 언급한 표현
[4] "공부는 독서의 양 늘리기가 아니라 자기 삶의 맥락 만들기다. 세상과 부딪치면서 마주한 자기 한계들, 남을 이해하려고 애쓰면서 얻은 생각들, 세상은 어떤 것이고 사람은 무엇이다라는 정의를 내리고 수정해가며 다진 의식들. 그러한 자기 삶의 맥락이 있을 때 글쓰기로서의 공부가 는다." (109)
[5] "흔들리지 않는 게 아니라 흔들리는 상태를 인식하는 것. 글이 주는 선물 같다." (167)
[6] "하고 싶은 일이면 문제를 해결할 궁리를 하고, 하고 싶은 일이 아니면 문제를 핑계 삼아 그만둘 명분을 만든다." (181)
[7] "묵독이 아닌 낭독은 어조, 억양, 공명, 논점에 주의를 집중시킨다. 내가 나를 벗 삼는 것, 글이 느는 지름길이다."(187)
[8] "굳어버린 지각과 감성이 아니라 흔들리는 감정과 울분이 사유를 갱신하는 글을 낳는다."(211)
[9] "글쓰기는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타인의 처지를 고려하는 작업이다. 나뿐이던 세상에 남이 들어오는 일이다." (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