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의 첫날이 되어 새로운 마음으로 이달의 첫 글을 올려봅니다.

오늘은 (읽지도 않은) 책에 대한 소개를 겸합니다.

제가 주목하게된 도서는 
국민대 김재준 교수의 <벤야민 번역하기>입니다.




 1월 중순, 그러니까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소식이 나오기 시작할 즈음에 같이 출간되어 더 주목을 받고 있지 못하게 된 책이기도 합니다.

(마스크를 구하듯 줄을 서서 책을 사려는 독서인들의 모습을 상상하며^^)
 
 책소개를 보면 이 책의 정체는 모호합니다. 
 역사책 같기도하고, 평론집 비슷하면서, 우리 삶의 다양한 지점을 
 관통하고 있는 생각 모음집인듯 보입니다. 
 (아직 않읽어 봤으므로, 기대평만...^^)
  발터 벤야민의 전방위적인 생각과 글쓰기의 방식과 닮았을까요.
 
  분명해보이는 것은, 
  저자의 글쓰기가 바로 자신의 모습을 들여다보는 거울 같다는 
  생각입니다.

  저자의 특이한 이력과 다양한 독서(곧 다양한 관심)이 모여 하나의 큰 덩어리를 이룬 유기체 같다는 인상을 받습니다. 묵직하지만, 언젠간 도전해보고 싶은 책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2004년에 저자 김재준이 '여성동아' 기자와 인터뷰한 기사가 있으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국민대 김재준 교수의 ‘창의적인 영재 교육법’
   
  이 기사는 다분히 자녀가 있는 부모의 시선에서 관심을 가질만한 '교육법'을 화두로 삼고 기획한 기사가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제게는 '우리의 독서 현실과 독서 방법, 그리고 글쓰기의 중요성'으로 다가옵니다.
 
  우리 사회에서 '영재'란 단어가 같은 의미는 다분히 '엘리트 양성'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에 이 단어 사용에 조심스럽네요.  
  기사를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아무리 좋은 학교 교육 제도라고 해도,
  한계는 있다고 봐야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입시를 위한 학원 없는 사회', '타인에게 공감하고 자신을 발견하는 공부'를 아이들이 접할 수 있게 할 수는 없을까 하는 데에 관심이 생깁니다. 

(상대방에 대한 이해 또는 그러한 노력도 없이) 남자-여자를 대립구도로만 보거나, 타인을 경쟁의 대상으로 바라보기 쉬운 현실입니다. 
교육제도 또한 그렇습니다.

학교제도에 순응하기만 하는 '자신의 생각이 부족한' 아이들이 많아지고 있지는 않은지, 스스로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생각의 힘을 기르게 할 수 없을까하는 고민을 하게 됩니다.   기성세대는 아이들에게 필요한 무언가를 자의대로 빼앗고 있지는 않을까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신문기사 하나에도 생각이 많아 지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