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털도둑》
커크 월리스 존슨 지음
| 박선영 옮김 | [흐름출판]
소설인 줄 알고 읽기 시작했으나 실화를 바탕으로 나온 책이라고 한다. 이라크 난민이 재정착을 할 수 있게 돕는 일을 하던 커크 월리스 존슨은 골치 아픈 문제를 잠시라도 잊기 위해 플라잉 낚시를 하곤 했다. 어느 날 저자는 플라이 낚시 가이드로부터 해괴한 ‘깃털도둑’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는 곧바로 이 사건에 집착하게 되어 이 사건을 조사하기 시작한다. 영국 왕립음악원의 유학생이자 장래가 촉망받던 플루티스트가 희귀한 조류 가죽 299점을 훔쳐 달아날 수 있으리라고는 생각도 하지 못했을 것이다. 아니 한 점이라도 훔치려고 해도 어떻게 가능했을까 의문을 가졌을 텐데말이다. 이 책을 통해 영화에서 본 플라이 낚시 외에 플라이 낚시에 대해 알지도 못하는 내가 송어와 연어를 잡는데 다른 플라이를 써야 한다는 사실도처음 알게 되었다. 새로 알게 된 이들의 세계는 정말이지 상상 그 이상의 세계였다.
문제는 플라이 낚시 그 자체가 아니었다. 연어나 송어의 습성과 생태까지도 면밀하게 고려한 미끼, 그러니까 화려한 색의 깃털을 사용한 플라이 제작이 하나의 오타쿠 세계를 이루고 있었다. 정작 문제는 이 플라이를 만드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깃털이 문제였던 것이다. 실제 새들 중에서도 깃털 색이 아주 화려한 극락조, 집까마귀, 케찰 등의 새들이 욕망의 대상이 된 것은 어쩌면 당연했다. 집까마귀의 경우는 가슴팍에 조금 있는 빨간 깃털을 플라이 제작에 사용하기 위해 많은 집까마귀가 필요하다. 20세기로 넘어오면서 여인들의 모자에 박제 처리된 극락조 한 마리를 통째로 올려 놓은 패션마져 등장한 것을 보면 오싹하게 전율이 느껴지기까지 한다.
《깃털도둑》의 이야기는 인류가 이성으로 대표되는 자신감의 극단적인 사례, 예컨대 인간이 자연을 정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같이 인간의 독단이 얼마나 강력하고 끊임없이 되풀이 되는지를 상기시켜주는 일화이기도 하다. 영화 <늑대와 함께 춤을>에 보면 미국인들이 수많은 들소들을 학살하는 장면이 나온다. 저자가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19세기 말에 미국 들소는 6억 마리에서 300마리까지 줄었다고 한다. 길게 잡아 19세기 후반부 50년 동안 이루어진 일이라고 계산해도 50년 간 매일 3만 마리가 넘는 들소를 죽여야 나올 수 있는 수치이다. 이것은 기차를 타고 가던 개척민들이 심심풀이로 들소들을 쏘아죽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 수십억 마리였던 여행비둘기는 1901년경 거의 멸종될 정도로 총질을 당했는데, 1914년 마지막 여행비둘기가 동물원에서 죽었다고 한다. 여행비둘기는 이제 멸종하고 없는 것이다. 인간이 저지른 이런 일들의 맥락은 중단되거나 의식이 개선되는 것이 아니었다. 역사가 되풀이 된다고 말하듯, 인간의 과오, 아니 인간의 오만한 독단은 되풀이 되어 역사에 등장할 뿐이었다. 극락조 한 마리를 모자 장식으로 죽이게 된 것, 그리고 이 책에서 등장하는 플라이 제작에 희귀한 깃털을 사용하는 것 등의 사례는 여행비둘기나 들소에게 심심풀이로 총질을 해대던 인간의 빗나간 인간중심주의, 독단이 다소 다듬어진 사례에 불과하다고 보인다.
《깃털도둑》은 흥미로운 소재와 스토리텔링을 전달하는 논픽션이다. 실제 사건을 통해 희귀한 깃털에 대한 집착과 욕망, 그리고 오래된 (혹은 이미 멸종되었을지도 모르는) 동물들의 가죽을 보관하는 일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무지와 오해가 더해져서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몇 가지 부분은 다소 아쉬운 것도 사실이다. 영화처럼 초반에 사건이 벌어지고, 저자가 이 책의 이야기를 듣게 되는 부분이 나온 뒤에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나 로스차일드 경의 박물관에 대한 배경 설명이 다소 장황한 인상을 주기도 한다. 아울러 저자가 조사하여 제시한 여러 배경 지식이나 사건을 재구성하여 연결함에 있어서 글 사이에 좀 더 유기적인 연결점이 존재했으면 어땠을까 생각해보기도 한다. 글이 장마다 따로 존재한다는 느낌이랄까. 그리고 훔친 새들이 사람들에게로 팔려나간 후 저자가 이를 다시 추적하는 과정이 나온다. 하지만 이미 팔려 어디론가 사라졌기에 되돌릴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고 해도 이 작업의 마무리 혹은 결론을 보다 분명하게 정리해주었더라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했다. 인간은 앞으로도 인간의 갈망을 채우기 위해 어느 동물을 멸종의 위기로 몰아넣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우리의 모습을 거울에서 확인하듯 그릇된 욕망을 품고 있는 인간의 단면을 비추어 주며,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