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양이의 서재 - 어느 중국 책벌레의 읽는 삶, 쓰는 삶, 만드는 삶
장샤오위안 지음, 이경민 옮김 / 유유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전 세계 어디나 책 읽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는 모양이다.
중국의 책벌레 이야기라 흥미를 갖고 읽었다.
솔직히 말하면 활자중독자들에 관한 이야기는 언제나 흥미를 당기면서도 에세이로서 훌륭하다, 정말 재밌다, 이런 느낌을 받은 기억이 거의 없다.
수필은 가벼운 마음으로 누구나 쓸 수 있는 글쓰기 형식이라 생각하지만 주제가 명확하지 않는 만큼, 독자를 감동시키는 훌륭한 에세이를 쓴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걸 느낀다.
요즘 고양이를 키워서 그런지 책읽는 고양이가 친근하게 다가온다.
강아지와는 다르게 고양이는 사뿐사뿐 걷고 짖지도 않고 밖에 데리고 나갈 필요도 없고 무엇보다 사람 먹는 것에 전혀 관심이 없다.
사람에게 안기지도 않고 그냥 조용조용 자기 할 일만 하는 느낌이랄까?
어쩐지 책 읽기를 좋아할 것 같긴 하다.
저자가 고양이를 키우는 건 아니고 인터넷 필명이 고양이라고 한다.
중국 문화혁명 시대를 거친 사람이고 천문학을 전공했으며 과학사를 연구하는 교수이고 관련 책들을 50여 권이나 펴낸 작가이기도 하다.
일단 평범한 책벌레는 아니고 책을 직업으로 삼는 프로 독서가인 셈이다.
그러니 나처럼 퇴근 후 잠깐 책을 읽는 소비자로서 독서가와는 질적으로 다른 것 같다.
문화혁명 당시 학교를 다녔던 저자는, 학교 도서관 관리를 했던 어머니 덕분에 금서로 지정된 책들을 많이 읽고 친구들에게 빌려주기도 했다고 한다.
생각해 보면 출판된 책을 국가 권력이 금지시킨다는 것이 얼마나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폭력적인 정책인가 싶다.
과연 진시황의 분서갱유 나라답다는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책에 대한 갈망이 컸던 사람들은 어떻게 해서든 위험한 책들을 찾아 그것에 탐닉하고 그런 것들이 자양분이 되어 새로운 문화가 생겨난다.
서재에 책이 3만 여 권이나 된다고 하는데, 프로 독서가인 저자 역시 공간에 대한 문제로 고민한다.
죽고 나서 이 책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보인다.
다행히 저자는 딸이 물려 받기로 했다고 한다.
나 역시 아빠가 열심히 모은 DVD와 책들을 받을 생각이다.
남들이 들으면 어이없어 하겠지만, 내가 책을 못 사는 이유 중에 하나가, 내가 죽으면 이 책들을 어떻게 하나 이런 걱정도 있어서다.
책읽기와 글쓰기에 집중하면 건강이 그만큼 상한다는 말에 어느 정도 공감이 갔다.
나이가 들었다는 게 독서할 때도 확 느껴진다.
이 책 같은 에세이는 예전 같으면 금방 읽었을텐데 어제도 정말 힘들게 완독했다.
눈이 너무 아프고 피로한 느낌이 확 온다.
은퇴 후 본격적인 독서 계획은 아무래도 어려울 듯하고 지금부터라도 더욱 가열차게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인상깊은 구절>
83p
지금까지 독서는 나의 낙이었다. 내 인생의 정신적 지주였다. 나는 독서를 통해 나 자신을 지탱하고자 했다. 독서는 나 자신이 진실로 꽉 차 있다고 느끼게 해 주었고 허황되지 않았다. 다른 사람에게도 독서가 이런 의미인지 모르겠다. 적어도 내게는 그랬다.
183p
우리가 식량 부족으로 고구마가 없다면 당장 굶어 죽을 위기라면 앞에서 말한 정책이 아무대로 옳다(적어도 부득불 써야 한다). 그렇지만 학문 관리는 식량 공급과 다르며 학술 연구 결과가 좀 줄어든다고 '굶어 죽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저명한 소설가 첸중수는 "학문은 본래 황량한 강가, 거칠고 낡은 늙은이의 집에서 마음이 맑은 한두 사람이 함께 논의하는 일이다"라며 학문이 태생적으로 청정한 것이라는 의견을 표명했다. 학문에서 양이란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 것이 아니다. 하물며 생태계에는 한계가 있고, 지금 우리의 학술 생태계는 이미 '과열'되어 있어 학술 연구 결과가 조금만 적어져도 '굶어 죽기'는커녕 오히려 좋은 점이 생겨날 수 있다(최소한 멀리 내다봤을 때는 그러하다).
244p
요즘 내가 종종 중얼거리는 구절 두 가지는 이렇다.
'책 읽으면 부자, 일 없으면 신선'
'안온한 상태를 얻기가 가장 어려운 법'
<오류>
207p
신무대왕의 즉위 후 신하들은 궁파의 딸이 미천한 출신이라 왕비로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반대했고 그에 따라 신무대왕은 약속을 어겼다. 이에 원한을 품은 궁파가 병사를 끌고 반란을 일으키자
-> 신무왕은 즉위 해에 사망했고 그 아들 문성왕이 장보고와의 약속을 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