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두교사 깊이 읽기, 종교학이 아닌 역사학으로
이광수 지음 / 푸른역사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밌으면서도 다소 어려웠다.

힌두교가 정확히 어떤 신을 숭배하고 어떤 종교관을 갖고 있는지 막연한 느낌은 들지만 분명하게 이해는 다 못했다.

그래도 힌두교의 시작부터 발전 과정을 인도 역사와 더불어 흥미롭게 설명하고 있어 마치 인도사 한 권을 읽은 기분이다.

기독교나 이슬람교 같은 유일신을 숭배하는 종교가 아니기 때문에 외국인이 이해하기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는 것 같다.

믿음은 들음에서 난다고 교회에서는 강조하는데 힌두교는 앎이 바로 보는 것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그래서 우리가 우상숭배로 보는 신상을 향해 절을 하지만, 사실은 그 안에 내제된 신의 뜻을 갈구하는 것이다.

힌두교라고 하면 잡다한 신을 섬기는 다신교라고 폄하했던 것도 무지의 소치였음을 새삼 깨달았다.

의례 행위가 곧 종교 그 자체라는 게 신기하다.

또 불교와 힌두교의 연관성도 신선했다.

사실 불교 교리에서 이해가 잘 안 되는 부분이 보살이었는데 이 보살의 존재가 힌두교의 여러 신들과 같은 의미라고 한다.

또 소승불교에 대한 오해를 풀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대승불교가 대중의 구원을 추구하는 반면, 소승은 자기 자신의 해탈만 원하는 약간은 이기적인 분파라고 알고 있었는데 왠걸, 책에 따르면 소승불교야 말로 부처가 처음에 추구했던 본질이라고 한다.

다른 사람에 공덕에 의해 깨달음을 얻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피나는 노력과 각성을 통해 열반에 이르러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승려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 세속을 떠나는 모양이다.

재가신자의 후원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는 대승불교는 오히려 힌두교와 매우 비슷하다고 본다.

불교와 힌두교 또 인도의 역사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정말 좋은 시간이었다.

힌두교가 단순히 갠지스강에서 영성을 찾는 다신교라 여겼던 게 얼마나 피상적인 생각이었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