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의 탄생 - 고대 올림피아부터 현대 올림픽까지
볼프강 베링거 지음, 강영옥 옮김 / 까치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00 페이지에 달하는 두께고 독일책이라 지루하면 어쩌나 긴장했다.

생각보다 흥미롭고 아주 유익했다.

서양에서 발간된 책들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것은 동아시아 사회와는 분명하게 구별되는 아주 다른 가치관을 가졌다는 점이다.

우리의 전통문화에는 육체에 대한 과시가 없기 때문에 자연스레 스포츠 문화도 없는 듯하다.

오늘날 우리가 열광하는 스포츠 문화도 결국은 서구 사회에서 비롯된 전통을 받아들인 셈이다.

올림픽이라는 전지구적인 행사에서 상상의 공동체 즉 국가의 역량을 뽐내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애국심에 호소한 것이 스포츠의 확산에 많이 기여했을 것이다.

2002년 월드컵 때도 축구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이 없어 왜 그렇게 사람들이 열광하는지 약간 이상하게 느껴졌다.

축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열광하는 것은 이해가 되는데 전 국민이 마치 전쟁에서 승리한 것처럼 미친 듯이 몰입하고 온 나라가 축구에 들떠 있는 게 약간 비정상적으로 보였다.

지금은 어떤 의미로든 국민들 하나로 모을 수 있는 축제의 장이고, 스포츠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좋은 계기라고 생각이 바뀌긴 했다.

무엇보다 그 당시에도 안 봤던 축구 경기를 10여 년이 지나 유튜브로 보다 보니 축구가 얼마나 매력적인 운동인지 확 빠져 버린 탓도 있다.

아마도 그 때는 국민적인 열광에 반감이 생겼던 것 같다.

솔직히 스포츠, 더 정확히는 몸을 움직이는 것에는 정말이지 1도 관심이 없지만 프로 선수들이 보여주는 인간 육체의 아름다움과 탁월함은 언제나 감동적이다.

책에서는 21세기의 스포츠가 거대한 쇼 비지니스라고 하지만, 근대 올림픽 창시자들이 추구했던 아마추어리즘으로는 최고의 기량을 선보이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고 보니 대중가수에 대한 편견도 최근에 깨지긴 했다.

전에는 단순히 연예인, 딴따라 정도로만 생각했는데 감동을 주는 가수들의 무대를 보면서 그들 역시 대중 예술가이고 아마추어와는 다른 기량을 가진 프로구나 인정하게 됐다

역시 엘리트 선수와 박수를 치는 관중은 구별이 될 수 밖에 없는 모양이다.

스포츠의 기원, 곧 육체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는 고대 그리스의 올림픽 제전부터 시작해 21세기 스포츠의 역사에 대해 아주 상세하고 흥미롭게 풀어 쓴 좋은 책이다.


<오류>

113p

1513년, 조반니 데 메디치 추기경이 교황(레오 10세)으로 선출되었고, 그의 조카 줄리오 데 메디치가 피렌체의 주교로 선출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추기경에 올랐다.

-> 줄리오 데 메디치, 즉 훗날의 클레멘스 7세는 레오 10세의 조카가 아니라 사촌 동생이다.

208p

카를 5세 황제가 영국을 방문한 이유는 그의 이모인 캐서린의 딸, 즉 당시 6세에 불과했던 조카 메리 튜더와의 약혼 때문이었다.

-> 카를 5세가 약혼한 이는 이모 캐서린의 딸인 훗날의 메리 여왕이 아니라, 헨리 7세의 딸이자 헨리 8세의 여동생인 메리 공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