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작과 졸작 사이
김이산 지음 / 반니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부터 벌써 관심을 확 끈다.

졸작이야 누구나 봐도 금방 시시하다고 느낄 수 있지만, 걸작은 왜 높은 평가를 받고 훌륭한지 말로 정확히 표현하기 힘들다.

평론가가 훌륭하다고 말하면 그런가 보다 같이 고개를 끄덕이는 것 말고, 순수하게 감상자의 입장에서 내가 받는 감동을 말로 정확하게 표현하고 싶다는 욕구에서 관심이 가는 책이었다.

직접 미술을 하는 분이라 그런지 일반적인 이론가들과는 좀 다른, 보다 직접적이고 공격적인 집필 태도가 인상적이었다.

얼마 전에 읽은 터너상 수상자인 그레이슨 페리의 책에서 느껴진 현장감이 이 책에도 보인다.

르네상스 대가들이 회화적으로 얼마나 위대한가를 밝힌 점도 좋지만, 무엇보다 현대미술의 관념성을 비판하는 대목이 인상적이다.

평론가가 아닌 실제 현장에서 그림을 그리는 예술가의 목소리라 더 공감이 가는 바다.

직관적으로 미술을 감상할 수 있는 수준은 딱 인상파까지인 느낌이다.

그 이후로는 책에서 비판한 바대로 설명이 있어야 비로소 감상이 가능한데 문제는 아무리 설명을 열심히 들어도 실제적인 감동이 안 온다는 점이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는 심정으로 현대 미술의 실체를 폭로했다고 할까?

미술가와 평론가의 설명을 열심히 듣고 억지로 그 뜻을 작품에 끼워 맞춰 감상해야 하는 개념미술이 과연 독자에게 감동을 줄 수 있을까?

미술의 본질은 언어가 아닌 시각임을 주장하는 부분에서 공감이 간다.

내가 좋아하는 화가 뒤러에 대해 너무 가혹하게 평가해 아쉬운 점도 있었다.

뒤러의 훌륭한 작품들도 많은데 수준이 떨어지는 작품들 위주로 혹평을 가하는지가 약간 불만이다.

생각해 보면 내가 감동하는 화가들은 티치아노, 루벤스, 벨라스케스, 마네, 피카소 같은 강렬한 색채감을 구사하는 화가들이다.

다 빈치나 라파엘로 같은 성스럽고 이상적인 아름다움 보다는, 티치아노나 루벤스의 역동적이고 실제적인 색채감이 훨씬 더 감동적으로 다가온다.

르누아르의 따뜻한 색감보다는 벨라스케스나 마네의 어두우면서도 강렬한 평면감이 훨씬 마음을 끈다.

무엇이 걸작이고 졸작인가 그 평가 기준에 대해서는 솔직히 다 이해할 수 없었지만 전체적으로 책의 내용에 공감이 가고 예술의 보편성과 그것을 구현해 내는 예술가들의 놀라운 솜씨에 대해 감동한 좋은 시간이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막시무스 2021-09-12 09: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뒤러 좋아하는데 아쉬운 마음 공감합니다. 티치아노, 마네의 진한 감동은 정말 좋죠!ㅎ 즐건 하루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