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 관계에서 상처받고 관계에서 위로받는다.

누군가가 나를 인정하고 존중하고 위로한다면  그건 살아가는 큰 힘이다.

 

아이가 엄마를 떠나 세상을 탐험할 수 있는 힘은 언제나 뒤에서 든든하게 자기를 기다리고  있을 엄마가 있다는 믿음이다. 세상을 돌아다니다 다시 돌아가면 언제나 그곳에 나를 안아줄 엄마가 있다는 건 큰 힘이다.  애착관계에서 안전기지는 중요하다.

내가 누군가에게 미움을 받고 싸우고 상처입고 돌아와도 쉴 수 있고 내가 다시 힘을 얻을 수 있는 안전기지는 아이 뿐 아니라 누구에게도 중요하다.

 

집단 상담을 경험한 적이 있었다. 그때 어떤 참가자가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자기는 남편과 아이들의 안전기지가 되어주고 싶다고 했었다. 참하고  따뜻한 인상의 그 참가자는 안전하고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가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걸 안다면서 가족에게 특히 남편에게 그런 안전기지가 되어주고 싶다고 했다. 참 좋은 사람이구나 생각했다.

그때 상담선생님이 격려를 해주면서 한마디 덧붙였다. 누군가에게 안전기지가 되어준다는 건 정말 중요하고 가치있는 일이다. 하지만 그 역할이 나를 소모하면서까지 희생적으로 할 필요는 없다. 누군가에게 안전기지가 되어준다는 건 중요하지만 상대가 성인일 경우 안전기지 기능을 넘어 그 대상의 대체 엄마 역할을 할 수는 없다고 했다. 그건 할 수도 없지만 해서도 안된다. 아이의 엄마는 될 수 있지만 남편의 엄마는 될 수 없다. 성인사이에서는 서로를 존중하는 관계여야 하니 한쭉이 일방적으로 품어주고  희생하는 관계는 오래가지 못한다.

 

어쩌면 부모와 아이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내 경험이다.

우리엄마는 희생적인 엄마다. 자식을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사람이었고 지금도 그렇다. 아이들도 안다 부모가 자신을 위해 희생한다는 걸 어느 나이가 되면 안다. 아주 못되먹은 아이나 문제가 있는 가정이 아니라면 아이들은 표현하지 않아도 부모의 희생을 고마워한다. 때로 당연하게 생각하기도 하지만 다시 고마워할 주로 아는 존재다. 표현하느냐 마느냐로 판단할 수 없다. 말투나 태도는 껄렁거리고 무심하더라도 그 희생을 절대 모를 수 없다.

나도 한때 엄마한테 싸가지 없이 굴기도 했을것이고 가슴에 대못을 쾅쾅 박기도 했었다.

그러나 지금 돌이켜 보면 내 속에는 항상 엄마를 걱정시키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이 있었다.

나 아니어도 엄마에게는 걱정이 한보따리고 나 말고도 신경써야 하고 돌봐야 할 식구가 더 있고 더 속썩이는 사람도 있다. 덜어주지는 못할 망정 거기에 돌을 하나 더 얹지는 말자라는 마음

내가 내키지 않아도 좋아요 괜찮아요 상관없여요 내가 하죠 뭐.. 이건 내가 가진 유일한 대사였다

물론 엄마에게 물어본다면 나로인해 속아 까맣게 타들어갔던 일 치사하게 상처받고 무시당하고 소외되었던 경험들이 차곡차곡 쌓여있겠지만 내 입장에서도 많이 저자세였다고 할 수 있다

나이를 먹어서일 수도 있지만 엄마가 얼마나 희생했고 고생했는지 아니까 사소한 건 그냥넘어가고 이건 아니지 싶지만 반박하지 않고 나는 늘 괜찮고 손이 가지 않고 혼자서 죽이 되든 밥이 되든 견뎌야 한다는 마음이 사실 나를 많이 외롭게 했다. 나 너무 속상해.. 하며 주저리 주저리 늘어놓는 일은 될수 있는대로 하지 않았다. 누가 그렇게 하라고 한 것도 아닌데 혼자 하지 못했으면서 나는 자꾸 주눅들었고 혼자 외로웠고 혼자 미웠다.

그래서이다. 그 희생의 강도가 심하면 심할 수록 그 희생이 아이에게 족쇄가 되기도 한다.

희생하는 상대에게 함부로 할 수는 없다. 내 부모가 내 엄마가 저렇게 희생하고 고생하는데 그런 엄마에게 "노"라고 할 수 없다. 왠만하면 "에"라고 할 수 밖에 없고 괜찮다고 하고 좋다고 하고 그냥 소소한 상처는 내가 받고 내가 견디고 만다.

그리고 희생이란  숭고한 것이 아니다.

사실 사람이라면 내가 감당하는 범위를 넘어가면 보상을 생각 할 수 밖에 없다.

물론 희생하는 순간은 순수했을 지라도 그 일이 자꾸 반복되면 왜 나만 참아야 할까 하는 마음 왜 내가 해주는 걸 알지 못하지 왜 나만 해야할까 내가 이만큼 해주면 나도 뭔가르 바래도 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이 생길 수 밖에 없다. 기대하는 댓가가 없으면 당연히 실망한다.

그런 것들이 쌓이고 쌓이면 희생은 더 이상 숭고하지 않은 부담이 되고 억압이 되고 관계가 왜곡된다.

내가 할 수 있는 만큼의 희생  내가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베품 그 적정선이 중요하다.

이기적인 것과 내 중심을 잡고 나를 존중하는 것은 다르다.

언젠가 자식은 부모 곁을 떠난다. 성장해야한다. 그게 정상이다.

나에게서 어떤 미련도 남기지 않고 자유롭게 원하는 걸 선택할 수 있게 손을 놓아줄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언제든 상처받고 실패해서 돌아오고 싶아면 기꺼이 받아들이면 된다. 쉬게하고 울게 하고  맛있게 먹고 편안하게 자게 해주면 된다. 조언할 수 있지만 강요할 수는 없다.. 다시 떠날 때가 되면 손을 흔들어 줄 뿐이다.

 

 

어떤 관계에서든 나를 먼저 알아야 한다.

사실 나를 나보다 더 잘 알고 있는 사람은 없다. 타인이 공감하고 이해하지만 그건 그의 입장에서이고 그가 베푸는 친절들도  싸가지 없이 말한다면 그가 생각하는 친절이고 그가 할 수 있는 친절이지 그게 꼭 나에게 맞는것도 아니고 상처가 되기도 한다. 누군가 타인의 친절에 감동했다면 우연히도 서로의 감정 주파수가 맞아 떨어진 행운일 뿐 그의 능력이 아니다. 그렇다고 그 친절이 가장이거나 위선이라는 건 아니다. 그건 충분한 진심이고 정성이지만 모든 정성이 다 가치를

발하지 않는다. 미안하지만.....

 

내가 할 수 없는 것은 거절한다.

내가 원치 않은 것도 거절한다.

내가 할 수 있다면 하고 싶다면 그 이후는 어찌 될지 생각하지 않는다.

원하는 걸 해주고 그냥 잊어버린다

그게 원망으로 돌아와도 그건 내탓이 아니다.

그가 원하는 걸 내가 몰랐던 건 내가 그가 아니니 당연하고 그가 싫어하는 그 무언가는 내가 아니다. 내가 행한것 내가 주었던 무엇일 뿐이다.

이기적이고 냉정하지만 그게 맞을 거다.

타인으로 인해 상처받지 않고 부담을 갖지도 주지도 않는것

그건 이기심이지만 동시에 내가 지탱하는 힘이고 타인에 대한 배려이다.

잘 늙어가는 것 노후 준비를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이 자식에게 할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이라고 말하는 세상이다. 내가 잘 살아가는 것 누구에게도 부담이 되지 않는 것 그것이 타인도 타인의 삶을 제대로 살게 하는 힘이 된다.

이기적이지만 내가 살아남는 방법이다. 유감이지만 내가 지치지 않게 지키는 하나의 갑옷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