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향하는 목표점은 높으나 스스로에게 부여하는 가치점은 낮다,

그래서 뭘하든 엄격할 수 밖에 없고 양에 찰 수도 없고 늘 스스로 잘하고 있다고 믿지 않는다,

나는 늘 부족한 존재이고 잘 하는 것이 없고 아직은 많이 부족한 순간이다,

그냥 저지른다는 건  삶에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무엇이 나를 그렇게 얽어매는 것인지 모르지만 자꾸자꾸 스스로에게 엄격해지고

내가 아는 것 할 줄 안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내가 못하는 것 모르는 것에 대한 안달이 심하다,

그러 주제에 무기력하고 게으르기까지 하다,

스스로가 몹시 마음에 들지 않지만 어쩔 수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가득한,,,,

그게 나다,

 

타인을 공감하고 이해하기 이전에 나를 먼저 이해하고 공감해줘야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내가 왜 목표점이 어이없이 놓은지 그 배후를 파고 들고 싶지 않다,

지금 이순간 내가 어떻다는 걸 알고 스스로에게 괜찮다고 말해주고 싶었다,

찬찬이 보면 잘하는 것도 많고 매력도 많고 꽤 괜찮은 편이라고...

더이상의 욕심을 부리지 않아도 스스로에게 늘 검열하고  엄격할 필요는 없다고 말하고 싶다,

머리를 불필요하게 많이 쓸 필요가 없다,

생각하고 또 생각하는 것보다 일단 저지르고 생각하는 일도 괜찮다,

이것저것 준비하지 않아도 상관없다고

모든 사람을 이해해 줄 필요도 없고

괜찮다고 괜찮다고 스스로에게 말해줄 필요도 없다,

나는 괜찮지 않고 짜증난다고 할 수도 잆고  이만하면 괜찮은거 아니냐고 뻣대도 뭐 상관없다,

의외로 타인은 나에게 관심이 없을 것이다, 내가 무엇을 하든....

나는 나를 다시 생각하기로 했고

책을 읽었다,

 

 

흔히 정신이 육체를 지배할 수 있다고 믿는다,

하면 된다,

불가능이란 없다

안 되면 되게 하라,,,

등등 말도 안되는 구호들이 가능한 이유는 정신력이면 뭐든 가능하다고 믿는 어리석음때문이다

조금 더 노력하라거나

정신력으로  버티라거나

정신상태가 글러먹었다는 등등....

그러고 보면 명수옹이 말이 현명하다

안되는 일은 안되는 것이고 애쓰다 보면 골병만 든다는 것....

 

결국 정신이 몸을 지배하는게 아니라 몸이 정신을 움직이는 게 아닐까

뭐가 뭐를 지배한다는 가당치도 않은 표현 말고 더 우선적으로 역동을 일으키는 것이 결국은 몸이고 그 몸이 건강하고 건전해야 정신도 함께 움직이는게 아닐까 하는 것이

나이먹고  드는 생각이다,

 

김중혁의 새로운 에세이는 몸에 대한 이야기이고 또는 영화에 대한 이야기이고 움직임에 대한 이야기이다,

삶은 명사 그것도 추상명사가 아니라 그냥 동사일 뿐이다,

정신이 가끔 개뿔이고 몸을 움직이고 흘러가고 가끔은 그대로 쓰러져 잠들고 싶을만큼 혹독하게 학대하기도 하고 마냥 늘어지기도 하는 그런 것들이 모여 삶이 된다,

그저 구석에 웅크리고 앉아서 머리만 굴리는 것이 삶이 아니라는 것

 

작가는 본다는 것 듣는다는 것 느끼는 것 움직이는 것들을 주제로 여러가지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나는 상실에 대해 직접 들려주는 이야기보다 상실을 상상하게 하는 이야기가 더 좋다, 무언가를 잃어버리고 있는 사람의 이야기보다 이미 많은 걸 잃어버린 사람의 이야기에 매혹된다, 잃어버린 게 무엇인지 정확하게 짚어주는 이야기보다 잃어버린 게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 수 없는 이야기더 마음에 든다, 이야기 속에 커다란 구멍이 있는 게 좋다,

 

인간들은 결국 시간 속에서 소멸해가는 스스로를 상실해가는 존재들이다, 우리의 몸은 소멸의 징후를 그대로 보여주는 좋은 전광판인 셈이다,

 

                                                             41

 

 

잃어버린 것을 애도하기 위해서는 잃어버린 것의 이름을 제대로 부를 수 있을 때까지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47

 

 

철학자 칼 포퍼는 ' 사람이 새로운 이해를 얻을 수 있는 가장 유용한 방법은 공감적인 직관 혹은 감정이입이다, 그것은 무 ㄴ제속으로 들어가서 그 문제의 일부가 되어버리는 것이다,'라고 했다, 나 들으라고 한 말 같은데 칼 포퍼 아저씨 이게 말처럼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구요 뭄이 이렇게 너덜너덜해지면서까지  타인의 감정에 이입해야만 하는 겁니까?

                                                                                                  56

 

 

예술의 작동원리와 가상현실 상자의 작동원릭 다르지 않다, 예술은 거울이 되어 현실을 되비쳐준다, 우리가 잊고 있던 것들, 고통스러워 잊으려고 했던 것들, 정체를 알 수 없지만 늘 거기에 숨어 있던 것들을 보여준다, 진통제나 마약으로 통증을 이겨낼 수 없다, 우리가 통증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거기에 뭐가 있는지 두 눈으로 똑똑히 봐야한다,

                                                                                         65

 

 

인간은 시각적인 동물이다, 눈에 보이는 걸 믿는다,   114

 

 

상대방의 재능을 부러워하면서 결핍을 눈여겨보지 않을 때 불필요한 질투가 생겨나고 결핍을 비난하면서 재능을 애써 무시하려 할 때 무시무시한 편견이 시작된다, 누군가를 천재라고 부르는 순간 그의 결핍이 뒤에서 가려지는 것은 아닐까 우리는 그를 솔직하게 보고 있는 것일까 우리의 무언가를 감추기 위해서 , 우리를 합리화하기위해서 상대방의 특별한 이름을 호명하는 것은 아닐까 천재 바보 사이코  등신 장애인 그런 이름들로 뭔가를 슬쩍 가리는 것은 아닐까 ' 솔직히 말해서 '라고 말하면서 은근히 솔직하게 않은 말만 하는 것은 아닐까

솔직해지기 위해서 우리는 상대방의 재능과 결핍을 동시에 인정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그리고 자신의 재능과 결핍을 동시에 알아채는 법도 배워야 한다,

                                                                                           140

 

 

우리는 모두 누군가가 하늘 높이 던진 야구공 같은 존재들이다, 끝도 없이 높이 아주 높이 하늘로 올라가다 어느 순간 정점에서 잠시 머물곤 곧장 아래로 추락한다,

 

                                                                                        167

 

우리의 시간은 몇시 몇분 몇초로 표현할 수 없다, 우리는 조금씩 변화하지만 반복되는 숫자로는 우리의 삶을 표현하기 어렵다, 우리의 삶이 순환되는 24시간속에 들어있지 않을 것이다,

 

 

함께 공유하는 두 사람의 시간은 낯선 사람들이 이해하기는 어렵다, 시간의 개념은 완전히 달라져야한다, 우리가 상대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이 견뎌온 시간을 짐작해야한다, 어려운 일이다,

                                 190

 

여기저기 포스트잇을 붙이면서 책과 다른 결심을 한다,

그래 건강해져야겠다,

기력이 약하니 무기력하고 게을러지고 괜히 목표만 높게 잡아서 좌절만 해대는 거야,,

일단 건강하게 운동부터 해야지...

음...

이게 책이랑 무슨 상관인지 이 페이퍼랑 무슨 상관인지 몰라도 뜬금없이 건강론으로 맺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