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기 없는 일주일 창비청소년문학 67
정은숙 지음 / 창비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반 찌질이  왕따 용기가 교통사고가 났다,

점심시간 친구들의 빵 셔틀때문에 편의점으로 나갔다가 트럭에 치인 사건

있는지 없는지 존재감조차 희미한 그 녀석의 교통사고가 한 반 전체를 나중에는 학교 전체를 흔들어버린다,

용기없는 일주일

그건 우리반 찌질이 박용기군이 병원에 입원해서 없는 일주일을 의미하며

동시에 교실에 남은 우리들 모두 용기없음에 망설이고 부끄러워하고 의심하는 일주일이다,

 

용기의 사고를 전하며 담임선생님이 말했다,

"용기를 힘들게 했던 세녀석의 이름을 들을 수 있었다, 우리중에서 셋  딱 일주일 주겠다, 자수해라  더 이상 양심을 속이지 말고 자신이 했던 일을 고해해라 자꾸 돌러보지마, 쟤일 수도 있지만 너일 수도 있어, 넌 아닐거라고? 자신하지마 세명 중에 의외의 인물도 있어서 깜짝 놀랐으니까 "

 

두명은 용기를  대놓고 괴롭힌 허치승과 오재열 그리고 하나는?

모두가 그 하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내가 아닌게 분명하지만 나는 쟤보다는 덜한게 분명하지만 용기 그자식이 내 이름을 말했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 그렇다면 내가 혹시 그 하나?

선생님이 준 일주일동안 교실은 술렁거리고 사건들이 생긴다,

누군가가 학교 익명게시판에 누군가의 이름을 썼고

누군가들은 모여 도데체 그 한명이 누구인지 추리하기 시작한다,

모두 찜찜하다

용기를 놀릴때 말리지 않았고

용기가 사온 음료수를 마셨고

빵을 사오기를 원했고

찌질하다고 놀렸고 뒷담화를 했고

그걸 알고나 있으라고 정직하게 말해줬고

전화를 씹었고

용기가 아닌 누구라도 내게 거슬리면 미워하고 저주하고 욕을 했다

누구도 완전히 무죄라고 말하라 수 없는 상황에서 다만 일주일안에 누구라도 나서주기만을 기다리며 눈치게임에 들어갔다,

 

학교 왕따 이야기는 늘 아프고 무겁다,

용기없는 일주일도 편한 이야기는 아니지만 작가는 미스테리 형식으로 과연 용기가 언급한 세명이 누구인가에 맞춰 딱 15살 눈높이에서 사건을 풀어나간다,

누구나 타인을 미워할 이유가 있었다,

예전에 나를 놀려서

나를 우스꽝스럽게 표현해놓고 무시해서

공부 잘한다고 잘 난척을 해서

왠지 꼴보기 싫어서

나만 아니면 괜찮으니까

아이들은 서로 물로 물리는 관계로 권력체계를 만들어가고 그  계급단계에서 아이들은 순종한다

누가 누구의 위이고 아래인지 아이들 사이에서는 철저하다

평화중학교가 평화로 가장한 위태로운 하루하루를 이어가는 걸 보면

평화라는 것이 어쩌면 가장 폭력적이라는 생각도 든다,

그냥 선생님이 보기에 평화로우면 그만이고 학폭에만 안걸리면 그만이라고 암묵적으로 서로 쉬쉬하고 덮고 넘어간다,

선생님들은 그냥 모른 척 한다, 시끄럽지 않고 지금 이순간만 넘어가면 그만이다,

 

아이들은 천진하지 않다,

천진하다는 건 무지하다는 것과 비슷해서 무지해서 몰라서 누군가를 괴롭힌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기도 한다,

단순히 눈앞에 보이는 일만으로 시시비비를 가리고 눈앞에 불의를 응징하는 내 행동은 언제나 정의롭고 잘봇되지 않았다고 믿는다,

친구에게 욕을하고 못되게 구는 애한테는 똑같이 대하는 것이 정의라고 믿고

나쁜 애들한테는 나쁘게 대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모른 척 하고 집단으로 힘을 부라리는 일이 잘못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냥 왜 몇몇의 잘못된 애들 때문에 우리 전체가 벌을 받고 부당한 일을 당해야 하는지 억울해할 뿐이다,

공평하다는 것은 저마다의 기준이 있어서 저마다의 공평들이 모이면 그 이상 불공정이 없다는 걸 모른다, 사실 어른들도 모른다,

모두를 만족시키는 공평함이란 없다는 것이 세상의 유일한 공평함인지도 모르겠다

 

타인의 이면을 보지 못하는 것은 15살이나 46살이나 마찬가지다

내가 보는 것 내 눈에만 보이는 것을 보고 판단한다,

용기가 35억의 자산을 물려받을 프린스라는 것조차 아이들이 보고싶고 듣고 싶은 것만 모여 만들어진 허상이고 용기의 찌질함속에 숨은 마음은 아무도 모르고  용기를 괴롭힌다고 믿은 허치승의 마음속 상처도 아무도 모른다, 정의를 위해 행한 내 행동이 사실은 얼마나 치사하고 나만을 위한 일인지도 모른다,

타인을 이해하고 타인에게 공감하고 맞춰준다는 것이 얼마나 쉽지 않음을 우리도 나도 모른다,

그저 내 마음은 이런데 몰라준다고 타인을 탓하고 원망하고 힘들어 할 뿐이다,

 

책을 읽으며 교실속 왕따문제가 결국 타인에게 통하지 않고 공감하고 공감받지 못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다시 하게 된다,

누군가의 마음을 생각하고 그 생각을 움직여가는 것이 쉽지 않다,

용기에게 해드락을 걸고 키득거리는 일이 나쁘다는 걸 알면서도 용기가 뭐라고 하는게 아니니까 누가 다치겨나 더 극단적으로 몰리는 게 아니니까 심지어 용기는 돈이 많고  당해도 괜찮을 만큼 여유가 있으니까라는 저마다의 이유를 가지고 눈을 감고 외면하고 당연히 생각한다,

쟤보다는 내가 낫고 나는 저만큼은 나쁘지 않다는 나 중심의 믿음이 결국 용기없는 일주일을 만든다.

 

도데체 일이 어떻게 풀릴지 정말 그 3명이 누군지 궁금해서 책장을 넘기는 나도 속물이라고 생각되었다, 세명이라는 숫자에 집착해서 우리 모두의 일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누군가 나서서 십자가를 지어주길 바라는 마음이 내 속에도 잇었던 거 같다,

누군가 나서서 그냥 일을 해결해주길 바라는 마음

나는 그냥 넘어가길 바라는 마음을 읽는 동안 내 속에서도 발견한다,

일주일이 지나고도 아이들 마음에 남은 제 3의 인물이 주는 따끔거림이 오래가면 좋겠다,

그리고 나도 가끔은 따끔거림을 느끼면서 각성되면 좋겠다

 

에필로그를 다 읽고 별 거 아닌데 궁금한 생각이 떠나질 않는다

평화중학교 복도에 걸린 위인들의 사진은 어떤 순서로 걸어 놓은 걸까?

도무지 질서가 없는 그 조합의 의미가 뭘까 심히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