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수
미야모토 테루 지음, 송태욱 옮김 / 바다출판사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편지를 쓰면서 저는 당신에게서 받은 모든 편지를 다시 읽어보았습니다,

여러 가지 것들이 마음에 떠올랐습니다, 어느 것이나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저만의 마음의 무늬같은 것입니다, 하지만 딱 하나 글로 전할 수 있는게 있습니다, 자신의 목숨이라는 것을 본 당신은 그것에 의해 살아가는 것이 무서워졌다고 썼지요 하지만 사실은 짧다고 하면 짧다고 할 수 있고 또 길다고 하면 길다고 할 수 있는 이 인생을 살아가기 위한 가장 강력한 양식이 되는 것을 본 것이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당신에게 보내는 마지막 이 편지를 대체 어떻게 맺어야 좋을지 저는 펜을 쥔 채 어찌 할  바를 모르고 있습니다, 그건 그렇고 저는 왜 모짜르트의 음악에서 그런 말을 생각해낸 것일까요? 살아 있는 것과 죽은 것은 어쩌면 같은 일일지 모른다... 마치 어딘가에서 떨어져 솟아난 것 같은 뜻밖의 말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말을 편지에 툭 써넣은 일이 당신에게서 제가 몰랐던 많은 것을 배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결코 말하지 않았을 말 '모짜르트'의 주인이 마치 저에게서 들은 것으로만 착각했던 말 우주의 불가사의한 구조 생명의 불가사의한 구조라는 말이 지금 저에게 깊은 전율같은 감정을 느끼게 합니다,

나이프로 자신의 목을 찔러 죽은 세오 유카코씨  죽여 있는 자신을 바라모았으면서도 다시 살아돌아온 당신 나이 들어 한층 일에 집중하고 있는 쓸쓸한 아버지 또 하나의 숨겨진 가정을 갖고 그 여자와의 사이에 태어난 세 살짜리 여자아이의 아버지로서 고심하고 있을 가쓰누마 소이치로  당신이 고양이에게 먹히는 쥐를 봤던 바로 그 시각에 근처 달리아 화원의 벤치에 앉아 무한한 별들을 바라보던 저와 기요타카 우리의 생명이란 얼마나 불가사의한 볍칙과 구졸르 숨기고 있는 것일까요?

 

 

얼음이 소리없이 녹아내리는 모습

커다란 덩어리의 얼음을  상온에 꺼내놓고 잊고 있다가 무심하게 돌아보니 물이 흥건해져 있고 얼음이 녹고 있는 모습을 보는 기분?

소리없이 제 몸을 녹이는 얼음 그리고 흘러내리기 시작한 물을 바라보는 막연하고 조용한 순간

얼음은 소리없이 언제부턴가 녹고 있었고 그리고 아마 또 어느 순간 제몸을 녹여 아무 것도 남기지 않을 것이라는 걸 알면서  아무짓도 못하고 지켜보고 있는 기분

이 책을 읽는 느낌이 그렇다,

 

세상에 유기체가 아닌게 있을까?

모든 것은 생성되고 성장하고 갈등하고 그리고 소멸한다,

세상에 사라지지 않고 영원하다는 것은 그 형체가 존재하지 않은 추상적인 정의뿐이란 생각을 한다,

사랑 행복 이성 평화 자유 평등....

형태는 없지만 존재하는 그런 어떤 단어의 정의만이 영원할 뿐

그 단어들조차 인간사에 스며들면 스스로 만들어지고 성장하고 갈등을 격고 소멸할 뿐이다,

세상 모든 것들이 플라스틱처럼 썩지않고 계속 삶을 이어간다면 너무 징그럽지 않겠는가

목숨이 달린 것이든 어떤 추상적인 감정이든 심지어 사람들이 모인 어떤 집단도 그렇게 스스로 유기체처럼 만들어지고 성장하고 그리고 그렇게 사라져야 할 필요가 있다,

그 기간이 길든 짧든... 그게 이 세상의 변하지 않은 평등한 질서라고 생각하고 싶다,

 

이 소설은 그런 유기체같은 관계 감정에 대한 이야기다,

한 때 부부였으나 어떤 사건으로 남남이 된 아키와 아리마는 우연히 놋코누마로 오르는 케이블카에서 재회를 한다, 짧은 만남이지만 강렬했던 그 순간이후 두 사람은 편지를 주고받고

그리고  10년간 방치된 얼음이 상온으로 드러나 녹아내리는 것처럼 마음을 녹여나간다,

상대에 대한 배신감 상실 그리고 스스로에 대한 자책과 분노로 어긋난 삶을 살던 두 사람은 상대를 알아가게된다, 몰라서 비워놓았던 그 빈칸을 스스로 채워나가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렇게 녹아 형체가 사라진 얼음처럼 그들의 감정 그리고 관계도 그렇게  사라지게 두었다, 미련하게 붙잡을 이유가 없고 필요가 없다

만남이 있고 헤어짐이 있고 행복이 있고 불행이 오고 오해가 있고 이해가 있었다,

그것으로 되었다,

 

안다고 믿었던 상대에 대해 내가 너무나 많은 빈칸을 가지고 있었다는 깨달음

내가 몰랐고 알고 싶지 않다고 고집스럽게 믿었던 상대를 알아가면서 마음은 녹아간다,

이해하게 되고 빈칸이 채워지면서 둘은 이제  비로소 헤어져야 할 시간임을 알게 되고

내 삶에 있는 나의 빈칸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나를 이해하면서 누군가를 이해할 수도 있지만

누군가 타인을 알아가면서 그 방식을 나에게 적용할 수도 있다,

타인을 통해 나를 알아가는 것

서로의 삶에 나 있는 구멍을 메워나가게 되는 것

그 일들이 서술된 소설은 무척이나 아름답다,

그렇게 서로에 대한 이해가 비단에 아름답게 수놓아지듯이 두 사람의 서신으로 완성된다,

 

다 읽고 난후

이 책의 원서가 읽고 싶어졌다,

묘사가 아름답고 단어 하나하나가 아름답고 적확하다는 기분?

원작도 그런걸까?

아니면 번역자가 잘 번역을 한 걸까?

번역된 소설에서 우리 소설처럼 아름답고 맛갈나는 단어가 나오는게 신기하다

(어쩌면 내가 우리말에 무지한 탓인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다시 '환상의 빛'을 읽어봐야겠다,

아키와 아리마의 편지를 읽으며  내내 우미코가 그리워지기 시작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