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동주
안소영 지음 / 창비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토록 염치없는 시대

윤동주를 다시 읽는다는 것.

 

안도현 시인의 이 추천사만큼 이 책을 표현하는 말이 또 잇을까

책장을 덮으면서 생각한다,

 

한국인이면 누구나 알고 있고 누구나 좋아하고 있을 시인의 이야기가 한 권의 책으로 나왔다,

그의 일생을 담담하게 묘사하면서 어떤 감정의 굴곡을 보이고 있지 않지만 읽는 동안 몇번을 책장을 덮고 생각하게 한다,

소녀시절 그저 좋아서 배끼고 읽었던 그 시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지

그리고 왜 사람들이 이 시인을 좋아할 수 밖에 없는 것인지를 다시 생각해봤다,

 

가장 쉽고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씌어진 시어들과

스스로를 다그치고  늘 깨어있도록 해주는 쨍한 아침의 찬기운같은 것을 그의 삶에서 다시 본다,

나를 돌아보는 죄의식이나 반성 같은 어쩌면 부정적일 수도 있는 감정들이 나를 깨우게 하고 살아있는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것이었다,

 

용정에서 처음 조선땅을 밟았을 때

신촌의 연희전문 학생이 되어 대학생활을 누렸던 짧았던 찰라의 기록들

그리고 가장 미친듯이 휘몰아치던 일제 강점기 끝자락의 발악들 속에서 스스로 침잠해가던 그 시간들

일본 유학시절.. 캠퍼스가 소박하고 아름다웠던 도샤시 대학시절

그리고 감옥생활과 죽음

태어날 때부터 제나라를 잃은  조국의 젊은 이가 살다가 짦은 삶이 펼쳐지고 그 사이사이 그의 시들이 나타났다 사라진다,

소설 말미에 정지용의 말을 빌어 표현한 것처럼

 

그야말로 엄동설한에 핀 꽃과 같은 얼음 아래 한마리 잉어와도 같은 시였다, 선배로서 부끄러운 마음이 든다고도 했다, 조선의 이름 난 문인들이 부민관 귀빈실이나 반도 호텔 양식당에서 총동원의 신체제와 문학의 역할에 대해 떠들고 있을 때 이름 없는 청년 윤동주는 초라한 하숙방에서 묵묵히 시를 써왔다, 조선 문인들이  일본의 식민지 체제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거나 어쩔 수 없다며 애매한 시를 발표하거나 그러다가 자신처럼 아예 펜을 꺽고 문학을 포기했을 때 이 청년은 일본 땅에 건너가서도 우리말로 계속  시를 써온 것이다,

한편 한편 작품성도 뛰어났다, 깊은 성찰의 눈을 지니고 있으면서 시어를 다루는 감각이 빼어나 청량하고 소슬한 바람처럼 쉽게 다가오는 시였다, ................p307

 

더 이상 그의 시에 대해 뭐라고 말을 보탤 수 있을까

그의 삶에 대해 뭐라고 내가 감히 말 할 수 있을까

 

책은 우리에게 각인된 '시인 윤동주'가 아니라 '시인'이었고 '윤동주'인 한 인간을 보여주었다,

불안하게 서성이는 젊은이의 모습

기뻐하고 즐거워하며 치기어렸던 모습

벗들과 좋은 시간을 나누고 캠퍼스의 낭만을 누렸던 젊은 날의 모습

그리고 서늘한 성찰의 시간속에서 스스로 여위어간 시인의 모습을

담담하게 그려주었다,

그가 그저 우리에게 시인으로만  존재 하는 것이 아니라

한 인간이고 젊은이였고  어쩌면 2016년 지금의 젊은이들과 다름없이 장래가 불안하고 하고 싶은 일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가 없고 벗들과 있는 시간이 소중하면서도 안타까운 그리고 멀리 학자금을 내어주는 가난한 가족들에게 미안함과 고마움을 평생 지녀야 하는 숙명을 받아들이는 그런 한 인간으로 보여준다,

그 청년이 바로 시인이고 우리가 아는 윤동주라고 조근조근 말해준다,

 

학위 논문 한편이 나와도 이상할 것 없는 많은 참고문헌 목록을 보면서

그 이상의 가치를 문학이 소설이 해내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누구나 쉽게 윤동주를 이해하고 그의 시를 다시 기억내해고 알아가는 것이

어떤 대단한 논문이 해내는 것이 아니라 소설이 해낸다는 것이 대단하다,

이야기를 통해 그를 만나고 알아가면서 우리는 다시 우리가 알던 그 위대한 시인의 다른 얼굴을 본다, 그리고 친근하게 다가간다, 더불어  새삼 존경심을 가진다,

이야기의 힘을 여기서 새삼 느낀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