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작은 책은 언제나 나보다 크다
줌파 라히리 지음, 이승수 옮김 / 마음산책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운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새로운 세상을 만나는 일

그저 내 세계가 확장된다는 생각만 했다

그러나 그녀는 자기의 세계를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를 바꾸는 계기로 언어를 배운다

이탈리아어...

젊은 시절 여행했던 이탈리아에 대한 좋은 기억으로 이탈리아 언어를 배우고 언어를 몸으로 체감하기 위해 로마로 이주한다

작가가 자기가 쓰던 언어를 버리고 새로운 언어를 택한다는 건 모험이다.

어쩌면 작가로서의 생명을 걸고 할 수 있는 최고의 모험이다

그녀는 기꺼이 그걸 선택한다.

뒤에 역자의 말에도 있듯이 번역되어 읽기에도 이 에세이의 문장들은 단순하고 소박하다

그러나 대신 새로운 언어에 대한 절절한 애정이 묻어있다,

왜 이탈리아어냐고 묻지는 않겠다

무어라 이유를 댈 수 없는 연결이 있으리라

 

그녀는 인도인이다, 부모 세대에 미국으로 이주해서 뱅골어는 부모의 언어였고 그녀에게 생활의 생존의 언어는 영어였을 것이다, 부모와 통하기 위해 뱅골어를 말하지만 세상에 부끄럽지 않으려고 달라보이지 않으려고 영어를 더 많이 익히게 되고 더 익숙하게 된다, 중간에 뱅골어를 쓰고 영어를 못하리라 편견을 갖게 하는 부모의 외모에 부끄러움을 느끼고 또 그런 자신에게도 부끄러움을 느끼던 소녀는 자라서 이번엔 이탈리아 어로 바꾼다,

자기의 외모때문에 이탈리아어를 못하리라 편견을 갖는 사람들에게 자기보다 실력이 못한 남편의 언어에 찬사를 보내며 자신에게는 물어보지도 않고 못하는 사람으로 낙인을 찍는 이탈리아 인들을 보며 어릴 적 부모를 생각하고 절망하고 벽을 느낀다,

그런 수모를 겪으며 그녀는 이탈리아 어에서 무엇을 배웠을까

아니 무엇을 알고 경험했을까?

불완전하고  채 익지 않은 것이 주는 긴장감과 새로운 도전에 기꺼이 몸을 맡긴다,

이 낯선 언어로 쓴 소박하고 짧은 문장들에서도 그녀의 모습은 여과없이 드러난다,

익숙한 언어로 썼던 소설에서 느꼈던 삶의 불안 그럼에도 살아가려는 모습들이 이 얇은 책에서도 드러난다

언어의 문제가 아니긴 아닌가 보다

어떤 도구를 쓰든 문체에서 글과 글 사이에서 그녀가 느껴진다,

그래서 대단하다,

 

오래전에 사둔 저지대를 읽는 중이었다,

사 놓고 너무 두꺼워서 모셔만 두다가 왠지 여름에 읽으면 축축 처질거 같아서 또 미루었다가

이제 더 이상 미루면 안되겠다 싶어 책장을 폈다,

어쩌면 익숙한 관계 익숙한 인물설정 익숙한 사건 전개가 그려진다

뻔해.....

그런데 그 뻔한 것과 마주치는 것이 두려워서 책을 덮었다,

뻔해서라기 보다 그 뻔한 것임에도 내게 줄 어떤 감정의 파도를 미리 생각하고 지레 겁을 먹고

책을 미루는 중에 이 에세이를 발견했다,

일단 이것 부터 읽자....

낯선 언어로 쓰였을 이 얇은 책에서도 그녀는 쉽게 비춰진다,

언어의 경계에서 서성이고 외로워하면서도 계속 앞으로  나가고 있다

그것이 그녀의 힘이다,

이제 나도 다시 저지대를 펼쳐야 할 시간이다,

 

그리고 미루어둔 영어부터 공부를 다시 해야겠단 생각을 한다

영어로 소설을 못쓰겠지만 책은 읽어야겠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