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 있어서 책읽기는 현실도피의 의미가 컸다.

뭔가 현실에서 부딪치는 일들에 자신이 없어질때 누군가에게 뭐라고 맞받아치고 싶은데 말이 목구멍에서만 맴돌뿐 소리가 되어 나오지 않을때 세상을 향해 뭐라고 바락바락 대들고 싶은데 마땅히 표현할 말을 찾지 못할때. 그래서 나에 대한 오해가 쌓여가고 그게 내가 아닌데 엉뚱한 걸 두고 나라고 하는 사람들에게 뭐라고 하지도 못할때 나는 책을 읽는다

책에서는 누구도 내게 뭐라고 하지 않는다.

특히 이야기는 언제나 내편이었다.

진실을 이야기하는 사실을 현실을 눈앞에 들이미는 책들도 있다.

그 책들을 읽고 지식이 쌓이고 세상을 보는 눈이 넓어지는 건 부인할 수 없지만 그래도 그 책들은 나의 약한 부분을 긁어대고 그래서 너는 어떻게 할건데.. 하고 자꾸 다그치고 있다. 이런 현실을 너눈 외면할래? 이제 뭔가 행동이 필요한거 알지? 이제 책장을 덮으면 무얼 할거니?

그렇게 나를 다그치는 진실이 아니라 그저 달콤하고 씁쓸하고 때로는 시고 떫은 이야기들은 나를 그저 덮어지고 안아주고 가만히 지켜본다.

그래서 나는 점점 이야기에 빠지고 그 속에 길이 있을거라고 굳게 믿으면서 이야기를 찾아 읽는다.

때로는 이야기들이 더 큰 진실을 말하기도 한다.

아무렇지도 않은듯 능청스럽게 멀리 에둘러가면서 이야기를 시작하지만 그 중심은 아프고 쓰라린 경우도 있다. 어뗜 신문기사나 칼럼 르포보다 더 강하고 아프게 다가오는 이야기들도 있다. 내 주변의 진실들이 사실들이 이야기라는 껍데기를 쓰고 다가와서 어떤 선입견도 없는 내게 어떤 방어막도 치지 않은 내안으로 쑥 들어와서 소금을 뿌려대고 가는 경우도 있었다.

그렇게 이야기속에서 나와 닮은 누군가도 찾아내고 나를 위로해주는 누군가도 발견하고 내가 가만히 기대고 싶은 공간을 구절을 발견한다.그렇게 이야기는 내게 어떤 사람보다 위로가 되어준 적이 많았다.

막상 이야기를 덮고 현실로 나가면 변한건 하나도 없고 내가 해야할 일들은 쌓여만 가고 있지만 그래도 뭔가 할 수 있을거 같은 막연한 기대감같은 것을 가질 수 있었던 것도 그럼에도 아무것도 할 수 없지만 그렇게 하루하루를 벼텨가는 것도 이야기의 힘이었다.

책을 읽으며 대단한 성찰을 하고 성큼 성장하는 경우는 절대 없었지만 그래도 꼬물꼬물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힘은 얻을 수 있었고 그 비슷비슷하고 구질구질한 하루라도 차곡차곡 쌓여서 내가 되어가고 있었다,.

지어낸 이야기와 비교했을 때 진실이 우리에게 어떤 위안을 주던가요? 굴뚝 위에서 포효하는 곰처럼 바람이 거세게 몰아치는 밤. 진실이 도움이 되던가요? 침실 벽에 번개가 번쩍거리고 빗줄기가 그 긴 손가락으로 유리창을 두드릴 때는 또 어떤가요? 전혀 쓸모가 없지요 오싹한 두려움이 침대위에서 당신을 얼어붙게 만들 때 살점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아아한 뼈다귀같은 진실이 당신을 구하러 달려올 거라고 기대하진 않겠지요 그럴 때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포동포동하게 살이 오른 이야기의 위안이지요 거짓말이 주는 아늑함과 포근함 말이예요. .......p 14

 

이 부분만으로도 이책은 충분했다.

우리를.. 아니 적어도 나를 위로하는 건 거짓말일지라도 이야기였으니까 그건 내가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거니까.

 

 

내용이 진부하다고 해도 책 속에는 항상 나를 감동시키는 무언가가 있었다. 어쨌건 지금은 이 세상에 없는 누군가에게 그것은 책으로 쓸만큼 심각한 내용이었을 것이다.

인간은 죽음과 함께 사라진다. 그들의 목소리 그들의 웃음 숨결과 온기 살과 뼈도 함께 사라진다. 살아있는 그들의 기억도 거기에서 멈춘다. 슬프지만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그러한 소멸에는 예의가 있다. 그들이 남겨놓은 책 속에서 그들은 영원히 존재한다. 우리는 책을 통해 그들의 존재를 다시 발견할 수 있다 그들의 유머 문체 기분까지도 그들은 책을 통해 독자를 화나게 할 수도 있고 행복하게 할 수도 있다. 위안을 줄 수도  있다. 당황하게 할 수도 있다.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다. 세상을 떠났지만 그렇게 많은 일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호박속 파리처럼 얼음 속에 묻힌 시신처럼 자연의 섭리에 따라 사라졌어야 마땅할 것들이 종이 위에 적힌 잉크의 기적으로 보존된 것이다. 그것은 하나의 기적이다.  p 30

 

세상에는 쓸모없는 이야기는 없다.쓸데없는 소설나부랭이만 읽는다고 하는 사람들은 정말 뭘 모르는 사람들이다. 소설같은 이야기라거나 그런 소설 쓰지 말라거나  소설쓰고 있네,, 하는 말들은 이야기를 무시해도 너무 무시하는 말들이다. 세상에 하찮은 이야기는 없다, 누군가에게는 절절한 바램이 있었을 것이고 심각한 무엇이었을 것을 아무 상관없는 타인이 뭐라고 폄하하는 건 안될 일이다. 그것이 비록 한때 누구의 관심도 끌지 못하고 사라져버릴 신세라고 하더라고 이야기 그자체는 진실되고 심각하고 중요하다.

 

마가렛은 이야기속으로 숨어버린 인물이라면 비다 윈터는 이야기의 힘을 알고 있는 인물이다.

둘다 이야기를 좋아하고 그 힘을 알고 있었다.

비다는 유명하지 않은 마가렛의 저서를 통해 이야기의 힘을 알고 있는 마가렛을 알아보았고 그를 선택했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이야기를 그녀에게 남긴다.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은 자신의 진실을 이야기라는 것으로 그녀에게 남긴다. 그것이 진실인지 혹은 그녀가 만든 이야기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마지막 반전이 나오지만 그것이 진실의 힘인지 이야기의 힘인지도 알 수 없다. 진실이든 이야기이든 비다윈터는 그녀속에 있는 모든 걸 털어내고 편안하게 눈을 감았다.

제 3의 소녀로 누구에게도 눈에 띄지 않고 유령처럼 살았던 소녀는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많이 가지고 있었다. 늘 그림자처럼 유령처럼 사람들 사이를 서성이며 들었던 것들 보았던 것들이 그녀의 속에 차곡차곡 이야기로 쌓여갔다. 그 많은 이야기를 누구에게도 할 수 없던 그녀가 작가가 된건 당연한 일이었다. 끝없이 펼쳐나오는 그녀의 이야기는 그동안 누구에게도 털어놓을 수 없는 진실 스스로도 마주보기 두려운 진실을 이야기로 풀어놓은 것이다.

그녀가 자신이 이야기하는 동안 차례대로 나오는 이야기를 하는 동안 어떤 질문도 받지 않겠다고 하는 것은 그 이야기 사이에 진실이 얼굴을 내밀까 두려워했던것이 아니었을까 진실을 진실이 아닌것처럼 이야기로 풀어내야하는 것이 그녀의 마지막 과제였을것이다.

마가렛은 그녀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그 이야기가  진실인지 헷갈려 한다. 누구에게나 진실인것처럼 이야기를 풀어냈던 그녀가 자신에게 과연 진실을 말하는 것인지.. 하지만 마가렛은 비다의 이야기를 마주하면서 한편으로는 자신의 진실을 마주할 수 있게 된다.

어쩌면 진실을 알기가 두려워 무의식적으로 엄마를 멀리하고 미워했던 그녀가 자신의 진실을 마주할 용기를 비다를 통해 얻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그렇게 비다는 매혹적인 이야기를 끊임없이 풀어놓고 마가렛은 그 이야기 속의 진실들을 하나씩 찾아낸다. 이야기가 진실이고 진실자체도 매혹적인 아름다운 이야기였다

책속으로만 파고 들면서 현실을 두려워했던 마가렛도 이제 자기의 반쪽 영혼을 받아들이고 현실을 이해하고 엄마를 이해하게 될것이다. 그리고 여전히 아름답고 매혹적인 이야기의 힘을 믿을 것이고 그녀의 독서취향도 조금 더 넓어졌을 것이다.

 

 

우리 두사람은 한가지에 대해서만은 완전히 의견이 일치했다. 그것은 바로 한 번뿐인 인생에서 다 읽어내기에는 이 세상에 책이 너무 많기 때문에 어디에서건 선을 그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었다.

                           p 47

 

세상에 있는 모든 책들 내가 읽지 못한 모든 책들은 모두 유혹적이다.

내가 미처 알지 못했던 무언가를 들려줄 준비를 마치고도 모른 척 시치미를 떼고 있다.

어떤 책을 선택해서 어떤 이야기를 듣게 될지 어떤 진실을 알게 될지는 모두 내 선택에 달려있다.

 

 

 

여기 또 다른 이야기에 빠진 소녀가 있다. 이비읍

아빠없이 엄마랑 단둘이 대도시 변두리에 사는 소녀는 엄마의 흥얼거리는 노랫소리덕분에 삐삐를 알게 되고 그 영화가 원래는 이야기였고 책이었다는 걸 알게 되고 책으로 빠지고 린드그렌 선생님에게 빠지고 위로를 받는다.

어쩌면 이야기에 빠져서 위로받고 성장하는 가장 좋은 예가 되는  동화이기도 하다.

나의 외로움과 쓸쓸함을 위로해주는 무언가가 꼭 사람일 필요는 없다는 것 그것이 사람이 아니었고 살아있어 마주할 수 있는 건 아니지만 그 위로의 대상이 되어준 이야기가 나의 세상을 다시 넓혀주는 건 정말  감동적이었다.

마가렛이 비고의 이야기에 빠져서 진실에 다가가고 세상을 넓혀가고 소통을 시작했듯이 비읍이도 린드그렌 선생님을 알게 되고 이야기를 모으고  이야기에 위로받으며 그러게 언니를 알게된다, 그리고 이미 가지고 있던 관게망(지혜와 엄마)마저 더 넓게 확장한다.

이야기는 그런게 아닐까

좋은 이야기만 그렇다고 하지만 어쩌면 내게 위로를 해주었기에 그게 좋은 이야기일 수도 있는 것이다. 무서운 이야기 아이들을 충동하게 하는 이야기들도 그 이야기의 존재이유가 있다는 걸 책에서는 잘 보여준다. 가출하는 이야기 아픈 이야기 무서운 현실을 보면서  내가 직접하지 않아도 알게 되는 간접경험 그리고 세상을 바라보고 옳고 그름을 알게 하는 힘을 주는 건 어떤 도덕교과서보다도 이야기의 힘을 더 필요로 할테니까

 

오늘도 나는 아름다운 이야기를 찾는다.

내가 위안을 받을 수 있고 잠시라도 현실을 잊을 수 있는 이야기 하지만  비록 바뀌지 않은 현실로 다시 돌아가더라도 힘을 얻을 수 있는 이야기들

이야기를 통해 조금 더 진실로 다가가려는 용기를 얻을 수 있고 세상을 바라보면서

내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재촉하지 않고 보여주는 이야기

그 이야기를 나는 아직도 몹시 사랑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