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팡질팡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
이기호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는 내내 키득거리고 헛웃음이 나왔다.

어쩌면 하나같이 이런 주인공들일까 싶어서 안쓰럽다가도 이제는 지친다 싶다.

일상에서 마주치면 왠지 피해가고 싶은 하지만 자꾸 뒷꼭지가 땡겨서 다시 돌아보게 될지도 모를 사람들... 나라고 저렇게 되지 말라는 법도 없다는 조금은 등골이 서늘해지는 기분을 느끼게 해주는 사람들이 내내 등장한다.

이렇게 웃다가 슬퍼졌다.

다들 웃기기만 한게 아니다. 웃기려고 작정한것도 아닌데 왜 자꾸 웃음이 나게 되는 건지를 곰곰히 생각하다보니 슬퍼졌다.

시봉이는 자해공갈단도 제대로 못하고 몸만 망가지거나 누군가에게 쪽파를 맞고 이젠 우유팩으로 맞을 순간이지만 그 이유조차 알지 못한다. 게다가 국기계양대에서 흘리는 눈물이라니..

국기를 뜯어내지도 못하고 내려가지도 못한 엉거주춤한 상태에서 국기계양기를 애인처럼 부여잡고 눈물을 흘릴 그를 생각하면 마냥 웃을 수만 없다.

게다가 수영씨는 또 어떤가. 시멘트로 발라버린 교보문고를 뚫기위해 곡괭이와 한몸이 되고 곡괭이에 의미를 부여하는 소설가라니....   폴 오스터가 그랬던가 작가는 작가가 되는 게 아니라 작가로 태어나는 거라고.. 작가로 선택되는 거라는 말이  엉뚱하게 떠올랐다.

작가가 된다는 것 그 중에서 소설을 쓴다는 것이 어쩌면 이렇게 온 몸을 쓰고 힘을 쓰고 노동에 가까운 것일게다. 어떤 희안한 작가처럼 내 땀이 피눈물이 스며든 원고를 힘겹게 채워가는 사람이 소설가인걸까? 세상의 어떤 이야기도 만만하게 볼 수많은 없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어떤 글이건 이야기건 숭고하고  아름답고 의미있다.

쉽게 읽고 버려지고 잊혀지더라도 이야기는  위대하다.

 

개인적으로는 가장 웃음기가 적은 "할머니 힘내세요" 가 좋았다.

이야기가 이런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누군가의 원을 드러내고 풀어내 주는 것 그 과정이 위로가 되고 카타르시스가 되는 것

하나의 원혼을 달래주는 굿처럼  조금은 극단적으로 누군가를 위로하고 달래주는 것 그것이 이야기의 또다른 힘이라고 생각한다.

누군가 오래동안 질기게 매달린 이야기는 아무리 하찮은 것이라도 힘이 쎄다. 그 이야기에 매달린 염뭔이 너무 크고 한이 크다는 건 어떤 화려한 문장으로도 당할 수 없을 것이다,. 사람들은 이런걸 진정성이라고 하는지 모르겠지만 ..

한바탕 살풀이처럼 혹은 진혼굿처럼 풀어낸 이야기가 마음을 울린다. 그리고 아니나 다를까 마지막의 작가의 유머아닌 유머까지도... 그럼 그렇지 ..

 

어쩌면 읽고 난 후 이 작가 골때리네... 웃기는 양반이야.. 하고 그저 그런 껄렁껄렁한 이야기로 치부될 수도 있을 만큼 톡톡 튀고 어이없다  싶기도 했다. 하지만  한심하다는 듯 건성으로 책장을 넘기다 보면 묘하게 빠지게 되고 중독되고 그가 몹시 궁금해진다. 도데체 어떤 사람이지?

박경리를 외할머니라 뻥 친 인물같을 거라고 생각하다가 맷집만 좋아서 우연으로 줄줄이 당하는 찌질한 소년같을 거라고 여기다가도 글에대한 진지한 성찰에 깜짝 놀라며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단숨에 읽고 다시 앞으로 돌아가 책장을 뒤적이게 하는 것도 작가의 힘이 아닐까..

다른 작품도 찾아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