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이켜 보아야 보이는 것들이 있다.

내가 그 시간속에 함께 있을 때는 보이지 않았던 것들, 몰랐던 것들이 한참  시간이 지난 후 알게 되는 것들이다.

어쩌면 시간이라는 것들에 푹 빠져서 깊이 깊이 숙성이 된 다음에야 맛이 드는 것처럼 그제사 비로소 보이는 것들이다.  사람들은 그걸 후회라고도 한다. 깨달음이라고도 하고

 

그땐 내 마음도 몰랐다. 내가 그를 사랑하는 건지 미워하는 건지 아니면 애써 쿨한척 하는 오락가락하는 마음이었던 건지

누군가를 미워했다고 믿었는데 사실은 그게 아니라 내가 미움 받을까 위악을 떤 것이었다고 나중에 알게 되기도 한다.

그땐 다 이해했다고 니 마음 내가 알고 니 아픔 내가 공감한다고 두 손 잡고 함께 울었고 술잔에 취해 주절주절 떠들었는데 돌아보면 내가 뒤통수 맞은 일이었따거나 내가 아주 오해하며 그 사물을 혹은 사람을 사건을  한단면만 바라보았구나 하는 가슴치는 한탄이 따르게 되는 경우도 있다.

 

세상에 정리되고 통제되는 숫자와 건조한 문장들로 그 모든 감정을 다 살릴 수 없다.

몇년에 태어나고 몇년에 죽고   언제 어느때 몇시에 사고가 발생하고 피해자가 몇명이고 피해액수가 얼마이고 그로 인한 손실이나 복구비가 얼마가 든다든가

누군가가  언제 태어나고 언제 취학통지서를 받고 입영문서를 받아 군대를 가고 몇년에 결혼을 하고 언제 사망했는가 하는 기록들은  마치 마른  곤들래 같아서.. 그걸 시간이라는 물속에 푹 담궈놓고 한참을 잊고 나서야 아차.. 내가 곤드레를 담궜었는데 기억하고 다시 양푼이로 달려가도 그 곤드레는 그저 뻣뻣함이 가실뿐 아직 먹을 수 있는 상태는 아닌 것처럼.. 겨우 뭔가 기록과 숫자속에 숨겨진 이야기를 보여준다. 하지만 그게 전부이고 끝이 아니다. 곤드레처럼

 

오랜시간 미지근한 물속에 담겼던 곤드레처럼 푹 물러진 이야기는 이제 그 향을 드러내고 본래 모습을 드러내긴 하지만 어딘가 원래 모습과는 많이 다르다,

얼마나 물에 담궜는가.. 말리는 과정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가에 따라 곤드레의 모양이 다르듯이 이야기도  그걸 들여다 보는 사람의 마음과 상황 그리고 시간적 공간적인 것에 제한을 받을 것이다.

누가 어느방향에서 들여다 보는가. 얼마만큼의 애정을 가지고 들여다 보는가 에 따라 다른 무늬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다.

내가 발견하지 못한 뒷부분의 이야기는 여전히 끝없이 숨어있다. 태어나 처음 만진 코끼리의 다리가 전부라고 믿는 장님처럼 그 다리에 대해서만 뭉툭한 기둑같은 것 아래 있는 손바닥만한 발톱하나만 만져보고는 아... 여기 무언가가 숨어있다 이것이 본질이라고 외치는 어리석은 장님처럼 아마 내가 본것에만 집착해서 그게 전부라고 믿어버리고 의미를 부여하고 만족해한다.

허나.. 이야기는 아직 끝이 아니다.

 

그래서 더 오랜 시간이 흐르고 한번 더 끓여내고 밥과 함께 푹 익혀진 곤드래만 먹을 수 있다

그제사 아.. 곤드레가 이런 맛이구나 하고 아는 것처럼

이야기는 시간속에 더 푹 담겨서 고아졌다가 모든 것이 흐물흐물 형체도 없이 뭉개져서야 비로소 또 다른 면을 드러내고  나는 퍼즐을 맞추듯이 그때 이런 이런 상황이었음을 다시 깨달으면서 바보가 도통하듯이 아하! 하고 한탄한다,

 

그래도 그것이 모든 건 아니다,

 

 

 

 

 

 

 

단편을 읽는게 편했다

읽는 호흡이 짧아서 긴 글은 적응이 되질 않았다, 얼른 무언가 어설프도 끝이 났다는게 내겐 중요했는지도 모르겠다,

그냥 오징어를 씹고 난 뒤처럼 뭔가 오래오래 남아서 조금 찝찝하기도 하고  혹은 더 오래 여운을 가진다는 착각도 하면서 내 나름대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게 좋았던거 같다.

아무래도 장편은 작가의 의도가 그대로 드러나지만 단편은 독자가 읽고 판단함에 따라 여러가지의 결론이 나올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던거 같다.

그리고 단편은 읽었다고 만족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나면 이게 저거같고 저건 또 저기 있는 무언가와 닮은 느낌이란 혼란만 늘었다,

나이를 먹었으니까 뭔가 기록해두지 않으면 기억속에서 뒤섞이는 현상인지 아니며 단편들이 가지는 공통점 같은 건지도 모르겠다. 어떤 작가가 쓰든 단편들은 비슷해보였다

읽는 동안은 작가의 색채가 느껴지고 각각이 가지는 고유한 문장이라든가 쉼표들 혹은 묘사가 있지만 그 내용이 형식이 내 안으로 들어와서는 작가고유의 것들과 내것이 뒤섞인다,

내가 가졌던 경험들 내가 품었던 생각들이 작가의 그것들과 섞이고 반죽되고 삭혀지고 부풀어지면서 나이들면 비슷해지는 모양새처럼 그렇게 비슷비슷한 것들이 되어버렸다,

 

결국 남은 건 한 참 시간이 흐른 후 느끼는 되새김질이 주로 단편에 많구나 하는 생각이다,

그땐 미쳐 깨닫지 못했던 것들,, 너무 젊어서 너무 무지해서 혹은  사느라 바빠서 잊고 있던 것들이 잠자리에 누워 천정을 올려다보며 점점 말똥말똥해지는 정신으로 혹은 어떤 사고를 겪은 후 내 사고의 틀이 뒤바꾼 후 아니면 그저 시간이 흐르다 보니 그때의 일들이 문득 떠오르고 그때 그게 아니었구나 하고 무릎을 치거나 뒤늦게 후회되는 것 혹은 알아가는 것들이 단편속에 숨어있다,

 

장편은 나름의 긴 서사로 인해 고유의 생명을 오래오래 유지하게 되지만

단편은 그렇게 나와 뒤섞여서 또다른 이야기로 재 탄생되어버린다,

그게 단편의 매력인지 나의 무지인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적어도 내게는 장편보다 뭔가 고민할 거리를 더 많이 던져주고 이리저리 꿰어맞추고 이야기를 굴리다보면 또다른 모습으로 드러나기도 하는 것..

그것이 단편을 읽는 재미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