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 아이가 욕을 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

그래서 아이에게 욕을 하면 안된다고 가르친다.

내 아이는 욕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아이의 반 친구들은 욕을 쓴다.

아이가 친구들에게 말한다. 욕은 나쁜거야 쓰면 안돼

친구들이 말한다 웃기네 잘난척은...

그리고 아이를 따돌린다.

이때 내가 해야할 행동은.....

 

어짜피 아이들이 밖에서 겪는 세상은 내가 통제할 수 없고 내가 모든 것을 알 수 없다.

그리고 아이들사이의 문화도 인정해야한다.

함께 어울리기 위해 함께 공감하고 은밀하게 주고받는 동료의식같은 것도 필요하다.

그래서 아이에게 말한다.

"너무 튀지마... 그냥 남들이 욕할때는 나서지 말고 모른척 해. 너는 욕하지 말고..."

 

이게 정답일까

 

오늘 모인 엄마들사이에 나온 주제 중 하나

그리고 그렇지 너무 튀어도 안되지 요새는 걸핏하면 왕따가 되니까

그냥 밖에서는 어찌하든 안에서는 하지 말라고 하는 수밖에.. 다른 애들도 다 하는데...

 

중요한건 결국 내 아이가 왕따가 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고 물론 그것도 중요하다

그런데 뭔가 찜찜했다.

너무 튀면 안되니까 그냥 눈감아라..

사실 욕하는 정도는  어쩌면 가장 단순한 문제일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제각각 존재하고 그럴 때마다 튀지 말고 나서지 말고 모른 척 나만 안전하게 있기를 바라는 것 그것이 바른 정답일까..

 

친구에게 찍혀서 돌아온 아이에게 나는 무어라고 할까

"니가 틀린게 아니야. 욕하는 건 나쁜 것이고 그렇게 하지 말라고 하는 건 당연해 하지만 친구들이 그렇게 반응해서 속상했겠구나.. 하지만 엄마는 니 행동이 자랑스럽다.  니가 잘 못하거나 잘난척하려고 한게 아니라는 걸 알아.. 친구들도 니 마음을 알아줬으면 좋겠는데..

다 같이 욕을 안쓰면 얼마나 좋을까..."
그냥 그렇게 아이 마음을 받아주는 것 이상 할게 없기도 하다.. 유감스럽게도

하지만 아이는 저절로  언젠가는 알게 될 것이다.

내가 잘못하는 건 아니지만 너무 튀거나 친구들과 다르게 행동하면 반감을 얻으리라는 것

그러니 행동이나 말을 조심할 필요는 있겠구나

엄마가 미리 나서서 그런 상처와 깨달음을 얻을 시간을 차단하지 말고 조금 놔둔다면 그렇게 알고 스스로 조금 비겁한 행동을 할 수도 있고 그러면서 양심에 가책을 느끼기도 하고 고민도 하면서 그렇게 자라는 기회를 얻게하는게 옳지 않나..... 조심스럽지만 그렇게 생각한다.

행여 문제가 부정적으로 확장되어 그런 일들이 쌓여서 나대는 아이 잘난척 하는 아이가 되어 왕따를 당하게 되는 경우도 있겠다만.. 그래도 나는 니가 옳다고 믿어준다는 부모가 있다면 그래도 그래도 견딜 힘은 가지지 않을까... 이것도 조심스럽다..

 

근데 모임에서 나는 이런 이야기도 하지 못했다.

그냥 나대지 않게 튀지 않게 그래서 왕따당하지 않게 모른척 하라고 해야겠단느 결론에 동조하는 것처럼 ... 가만 있었다

왜냐면 나도 조금 비겁한 편이니까...

 

학기초에 전학을 하면서 아이에게 이야기 했었다.

엄마 생각엔

왕따를 주동하는 친구도 물론 나쁘지만 정말 나쁜 건 그 앞에서 아무말도 하지않고 모른척하는 친구들이다라고.. 그런 나는 아무짓도 하지 않았으니 나쁜짓도 한게  아닌가 아닌거다

오히려 그런 다수의 침묵은 나쁜 짓에 동조하고 힘을 주는게 되고 고통받는 친구의 아픔위에 돌맹이 하나를 더 얹는 짓이 된다고

나서서 우리가 이렇게 하면 안된다고 할 수는 없더라도

아무렇지 않게 아픈 친구를 무심히 대해주고 말도 해주고 그러라고

뭔가 위로를 하고 편이 되주는 행동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그 친구가 보기에 너도 한편이구나 하는 행동은 하지 말아라. 그리고 조금씩이라고 주위 편한 친구들에게는 그러면 안되는거 아니냐고 주장도 해보라고...

이것도 적극적이지도 않고 자기만족적인 행동인지 몰라도 적어도 아닌건 아니라고 할 수는 있어야 하지 않는가 말해주었다.

왕따라든가 피해를 받는 친구에게 가장 힘든건 누군가 나서서 나를 괴롭히는 그 대상이 아니라

누구에게도 의지할 대상이 없다는 외로움이 아닐까 싶다.

한 놈 쎈 놈이 나를 괴롭히더라도 주위에서 아무렇지 않게 나를 대해주고 내가 기댈 수 있거나 적어도 이 야이들은 나를 미워하지 않는다는 믿음만 있어도 견디지 않을까

나를 괴롭히는 그 존재로 인한 절망에 마지막 한방울이 무심하고 무관심한 다수의 행동이 아닐까 하는 것이다. 그 한방울이 그 친구를 무너지게 하는게 아닐까

 

 

 

이 책을 읽으면서 내내 나는 쥐 템플턴에게 마음이 갔다. 지저분하고 교활한 쥐

자기의 이익을 위해 여기저기 붙고 돌아다니는 쥐

농장 동물돌도 모두 템플턴에 대해 그렇게 생각한다.

그리고 그건 어느정도 사실이다.

하지만 그런 템플턴도 윌버의 일에 샬롯의 부탁에 투덜댈지언정 거절하지 않고 자기 역활을 해낸다 그리고 동물들도 말로는 놀리고 뭐라고 하지만 아주 템플턴을 내치지 않는다.

그냥 그렇게 우리와는 좀 다른 친구, 정의롭지 않고 밉상이긴 하지만 그도 "우리"중의 하나일 뿐이다. "우리"와 다른 "저쪽"이 아니었다.

거미인 샬롯이나 쥐인 템플턴도 어쩌면 농장동물들 입장에서는 우리와 다른 저들이고 충분히 함께 하지 않아도 몰아내도 상관없는 존재이겠지만 그러질 않는다.

말로는 항상 투덜거리고 욕을 해도 항상 우리중 하나였다.

그래서 템플턴도 맘대로 농장 여기저기를 드나들며 동물들일에 간섭하기도 하는 것이다.

아무리 교활하고 약삭빠른들 모두가 자기를 따돌리고 무시한다면 템플턴도 견디기 힘들지 않았을까

그냥 나랑 좀 다를 뿐이고 나랑 안맞을 뿐이지 그런 이유로 우리가 아니고 우리속에 끼워넣을 수 없는 투명인간이 될 수는 없지 않은가

난 책을 읽으면서 윌버와 샬롯의 우정못지 않게 템플턴을 대하는 농장 동물들의 모습이 더 인상적이었다

 

나이를 먹어가면서 아닌건 아니라는 걸 알지만 나설 수 없고 눈감고 모른 척 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아닌건 아니라는 걸 알기는 안다.

(물론 모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살다보면 부대끼다보면 어쩔 수 없이  쌓이는 내 속의 비겁함과  좋은게 좋다는 식의 두리뭉실한 누구를 위하는지 알 수 없는 정의들 그걸 느끼고 경험하고 갈등하며 산다.

어쩔 수 없이 느끼는 것이지만

그걸 미리 아이에게 가르쳐 주고 싶지는 않다.

많이 다치고 깨지고 상처 입을 지언정 아닌건 아니라고 말 할 수 있고 옳은 것과 그른것을 판단할 수 있고 적어도 나 혼자라도 남의 눈 의식않고 실천할 수 있는 용기 혹은 무심함을 내 아이가 가졌으면 좋겠다.

 

잘났어 누가 그걸 몰라? 그러다 큰 일나면 누가 책임져주나 .. 어쩔 수 없는 거 아닌가

 

뭐 내 속에서도 이런 목소리가 불쑥 나오긴 하지만...

적어도 아이가 유치원에서 배웠던 질서, 정의, 사랑, 우정  그 단순하고 소박한 의미를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이면 좋겠다.

당연한 걸 당연하게 행할줄  아는 사람이면 좋겠다.

적어도 내가  내 아이가 그렇게 하길 바라는 사람이  조금씩 늘어나면 세상은 그래도 조금 덜 걱정스럽지 않을까 싶다.

 

세상의 때가 많이 묻어서 비겁하고 용렬한 내가 감히 주장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