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과 황홀 - 성석제의 음식 이야기
성석제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정확한지 누가 한 말인지는 알 수 없지만... 내가 먹은 것이 바로 나다...

그 말이 책을 읽는 내내 떠올랐다.

내가 먹은 것들이 내 살과 뼈와 가죽을 만들기때문이기도 하지만 내가 먹은 것들이 주는 경험, 기억, 느낌 등등이 모여서 바로 내가 되기도 한다,

고기도 먹어 본 놈이 먹을 줄 안다고.. 어릴적 무엇을 먹었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성격이나 취향이 결정되기도 한다. 그래서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보다 다양하고 여러가지 음식을 먹여야 하지 않을까 고민하게도 된다.

사실 음식이라는 것이 문화에 따라  사는 곳에 따라 다양하게 나오는 것이라 어떤것이 좋고 나쁘다는 건 없다. 다만 그것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위생적인지.. 조금이라도 재료에 대한 예의를 가졌는지 하는 문제가 있을 뿐이다... 뭐 저런걸 다 먹나.. 하는 식은 개인이 가지는 선입견에 불과하다,. 환경에 따라서 상황에 따라서 음식문화가 다를 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런 면에서 다양하게 음식들을 접하고 조리과정에서 함께 참여하면서 성장한다면 적어도 먹거리 부분에서는 선입견이나 편견은 없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다.

내가 먹는 것이 귀한 만큼 남이 먹는 것 남이 주는 낯선 음식도 귀하게 여길 줄 알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각설하고.. 책은 참 맛갈스러웠다. 본인도 말했다시피 태평스럽고 건들거리고 대충하는 스타일이라고하지만 음식맛에 있어서 요리법에 있어서 그리고 그 음식에 대한 기억에 대해서는 철저한 사람인거같다. 전국을 그리고 유럽을 다니면서 먹었던 음식과 술들에 대한 기억들 .. 그 맛을 떠올리면 함께 떠오르는 기억과 추억 그리고 느낌까지 소소하게 풀어나간다. 사람이 정확하고 단정하지는 않은거같아서 어쩌면 더 인간적이고 (왠지 예전에 나왔던 인간적이다.. 라는 책의 표지에 있던 복부비만의 사내그림이 작가의 모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자꾸 들었다. 그 책을 읽고 난 다음에는...) 친근하다. 다만 다소 껄렁거리고 실없는 농담처럼 말을 뱉아내는 것이 글이아니라 함께 마주하고 말로 들었다면 조금은 거슬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확한 기억도 아니고 정확한 인용도 아니라는 말을 자주하면서도 그 말이 주는 정확한 의미 이상의 의미를 보여주는 글을 보면 그렇게 껄렁거리고 설렁설렁하면서도 예리한 더듬이를 세우고 있나보다 싶기도 하다.

경북 상주 출신처럼 조금으 보수적이고 고지식한 면도 보여주면서 음식에 대한 기억들을 풀어놓는다.

사람은 누구나 어렸을때 먹었던 음식에 대한 기억이 각별하다 그것이 성대한 만찬이 아니어도 낯선 시골마을에서 허름한 식당에서 먹었던 자장면 한그릇, 길거리에서 사먹던 인절미 한조각. 우울한 젊은 시절 역앞에서 서성이면 먹었던 뜨겁기만하고 맵기만 했던 국밥들이 어때의 정서와 분위기를 함께 몰고 오기도 한다.

어릴적에는 몰랐는데 커서 내가 한집에서 음식을 관장해야하는 입장에 이르러 생각을 해보면 어릴적 우리 엄마가 참 부지런했구나 하는 생각을 세삼하게 된다. 급식이 없던 시절이라 매일 도시락을 싸야하고 그것도 두개씩 싸면서도 매끼 다른 반찬이 들어가고 아침 점심 저녁을 다른 반찬으로 창을 차릴 수 있다는 것 자체가 감동이란건 알았다. 먹는 입장에서는 늘 그게 그거같고 뭔가 특별한 것을 원하지마나 매번 보통의 가정식 백반을 차려낸다는 것 자체가 정성이고 감동이라는 걸 다 늦게 알았다. 그렇게 먹었던 밥들 음식들이 내 몸에 쌇이고 혹은 빠져나갔지만 그것들이 주는 기억과 감정은 아직도 내 속에 남아 있다. 내 아이들이 내가 차린 밥을 함께 먹으면서 훗날 어떤 기억을 할까.. 하는 생각을 하면 한끼라도 허투루 상을 차릴 수는 없을 거 같았다. 지금 먹는 시금치 나물이 국 한그릇이 어떤 기억이 보태어져서 남게 될까.. 잔소리 듣고 야단 맞으면 꾸역꾸역 밀어넣는 미역국 말은 밥이 어쩌면 아이에게는 나중에 알게 모르게 미역국을 거부할 수도 있을 거고 놀다 끼니를 놓쳐서 대충 비벼 먹는 밥에서 아이는 건강식을 느끼기도 할 것이다.

 

좋은 칼로 잘 다듬어진 재료로 만든 요리는 그 무엇보다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황홀감을 주기까지 한다. 작가가 가지는 그런 기억들 감동들 황홀이 책이 꾸역꾸역 쌓여있어 간혹 공감하기도 하고 늦은 밤 책장을 넘기면서 침을 삼키기도 하면 읽었다. 사실 몇번을 나누어 읽었고 모든 이야기가 다 감동은 아니고 조금 지루하고 별루다 싶은 것들도 있었지만.. 음식에 대한 기억은 그것이 요리가 아니라 가정식 백반이고 그냥 평범한 음식들일때는..  한 사람의 정서나 사고를 모두 드러내는 게 아닐까 싶다.

 

누가 썼던 음식에 대한 이야기는 참 재미있다. 먹는 건 사람이 사는데 빠질 수 없는 구성이면서 즐거움이 아니던가..

때로는 키득거리면 땔도는 코끝이 찡한 느낌을 가지며 읽었다. 소박하지만 누군가가 정성껏 차린 한 상을 앞에 받은 그런 기분이랄까.. 모든 찬이 입에 맞지는 않아도 만든이의 마음은 느껴지는 그런 책이다.

책을 덮고 나니 시원한 맥주가 그렇게 땡길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