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의 일요일들
은희경 지음 / 달 / 2011년 7월
평점 :
나란 사람은 몹시도 상투적이고 속물적이라서 소설을 읽으면서도 이게 작가의 경험담이 아닐까 모두는 아니라도 몇프로정도는 자신의 이야기가 들어가 있을거야 틀림없지.. 흥흥흥 거리면서 책을 읽는다. 소설이 그럴진대 에세이는 더 말할 필요가 뭐가 있으랴..
나는 은희경의 작품을 몇편을 읽었다. 그런데 그게 다 초기 새의 작품과 그 이후 주루룩 나온 소설들이라 최근작은 거의 읽지않았다. 몇편 읽고 아 이작가는 이렇게 쓰는 구나. 어느정도 소설의 흐름을 알겠구,... 어쩌구 하면서 잘난척 하면서 이젠 그만 읽어도 되겠네 하고 밀어둔...
그런데 간혹 글속에서 보면 참 자유분방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뭐랄까 방종하다는 느낌이 아니라 나 스스로에게 참 솔직하게 싫으면 싫고 좋으면 좋고 떠나고 싶으면 떠나고 그렇게 사는구나 하는 느낌.. 소설후기에선가 글을 쓸때마다 장소를 바꾸어 가면서 쓴다는 말에 그렇게 생각을 했던 거 같기도 하다.
작가 소개를 보면 결혼도 한듯 하고 자녀도 있어 보이는데.. 그나이의 여성 작가들이 그렇듯 드러내지 않아도 얼핏 보이는 가족이야기 자녀 이야기가 그녀의 글에서는 도통 보이지 않는다. 내가 잘못 알고 있었나? 노처녀인가 싶게 갸웃거려진다.
암튼 스스로 소설 아닌 글을 처음 쓴다는 에세이가 이번 생각의 일요일들이다.
소설을 읽다가 너무나 궁금하고 부럽기도 하고 살짝 질투도 나는 그녀라 얼른 구입해서 읽었다. 내가 속속히 너를 해부해보고 말리라.. 하는 비장한 결심까지 하면서.. 속물스런 호기심이 전혀 없다고도 할 수 없다. 부끄럽지만...
이번 글은 그녀가 "소년을 부탁해"라는 소설을 연재하는 시점에 함께 작업한 단편적인 생각들 ㄱ그때 그때의 느낌들이 조금은 즉흥적이고 유쾌하게 씌여져 있었다.
간혹 그래 맞아.. 하고 고개를 끄덕이기도 하고 몇편은 눈에 들어오지 않아서 넘기기도 하면서 쉽게 쉽게 읽었다. 역시나 여기서도 개인적인 이야기가 펼쳐지면서도 개인사는 전혀 보이지 않는 노련한 글들이 이어진다. 글을 읽으면서 매일 연재에 대한 부담감 작가가 어떻게 생각을 정리하고 글을 쓰는가 어디서 소재를 얻는가 하는 것들도 알 수 있었고 언젠가 나도 글을 쓰게 된다면 그래서 조금 이름이 알려진다면 나도 박경리 문학관의 한 귀퉁이에 방을 얻어서 글을 써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언제??? 도데체 언제??
소심하고 변덕스럽고 불안하고 엉뚱하게 진지해지는 성격.. 참 어디서 많이 본듯한데.. 하는 느낌 작가가 들으면 힁! 웃겠지만 나도 그런 면이 있다. 소심하면서 쿨한 척 상처 받지 않으려고 경계를 긋고 더 이상 다가가지도 다가오지도 않게 하는 면이 나도 있다. 누군가와 쉽게 친해지지만 그 이상은 가지 못하는 관계 그래서 관계가 끊어져도 양쪽이 전혀 어색하지조차 않은 관계유지 그게 내가 살아가는 방식인데.. 작가도 약간 그런듯.. (아니라면 죄송합니다)
그리고 한가지 참 부지런하다는 걸 느낀다. 가끔 작가들의 글쓰기 글들을 보면 의외로 밤샘 작업을 하거나 불규칙한 생활을 하는 것이 아니라 샐러리맨 못지않게 정해진 시간에 일어나 남들이 활동하는 시간에 글을 쓰는 사람이 많다는 걸 알았는데 이 작가 역시 그러하다. 연재가 밀린다고 징징거리지만 늘 보면 어쨌든 정해진 시간에 글을 마치고 원고를 보내고 커피콩을 간다는 말에 참 대단하구나 하는 걸 느낀다.
작가가 행복할때 글이 잘 써진다는 말.. 참 공감이 간다. 작가도 사람인지라 스스로 즐겁고 마음이 평안해야 잡념이 없고 일에 몰두할 수 있는게 아닐까... 격정적이고 어렵고 고난의 연속이 글감이 될 수는 있겠고 그런 어둡고 습한 경험이 좋은 글을 만들 수 있지만 그것이 푹 익고 곰삭은 시간이 지나 마음이 평화로울때 글이 나오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더불어 독자가 편해야 소설이 재미있어진다.는 말도 맞다.. 읽는 사람도 맘이 편해야 글속으로 술술 잘 들어가고 글을 잘 읽게 되는게 아닐까 나 역시 잡념이 많으면 그림책도 머리속에 안들어오는 걸..
'서로 행복하게 해주는 것 보다 각자의 행복이 서로를 행복하개 해준다 이런거.. (소년을 위로해줘 에서 화목해야 가족이 행복한게 아니라 자기 인생이 행복한 가족들이 화목하다고 썼죠) 중략.. 가장 가깝기 때문에 가장 자신의 이기심에 솔직해줄 수 있는 관계니까요 가족들끼리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대회를 한더나 의견을 모은다거나 하는 상처입히기 쉬운 정면 돌파 방법보다는 상대를 행복하고 기분 좋게 만들 수 있는 사소한 방법을 궁리하는 우회법을 택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 공감 백배
그리고 내가 겪은 기이한 일을 소설속에 기어이 우겨 넣으면서 설령 이상하더라도 이건 실제 있었던 일이야.. 가능한 일이라구.. 하고 아무리 똥고집 부려봐야 오히려 허구가 진실같고 진실이 오히려 붕 떤 화장처럼 떠서 가짜로 보일 수 있다는 말도.. 공감한다.오히려 전체를 위해 내가 아껴두었던 사실이나 경험을 변형하고 혹은 가감하게 삭제할 필요도 있다는 거...
글쓰기에 대해 살아가는 방법에 대해 그리고 무엇보다 스스로를 사랑하는 방법에 대해 많이 생각할 수 있는 책이었다. 그래고 또 하나 그녀의 에세이를 읽으면서 그녀의 소설을 다시 읽어야 겠다는 생각도 불쑥 들면서.. 오늘 교보에서 지름신이 올뻔 했다는 거... 조금은 마음을 다스리고.. 지금은 그렇게 돈을 마구마구 쓸 수 있는 상황이 아니므로..
지금 내 상황에 좋은 위로가 되어준 그리고 건강한 질투심도 키워준..그러나 그녀가 너무너무 궁금해지기도 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