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팅 클럽
강영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모녀가 있다. 참 찌질하고 못나고 어처구니 없어 보이는 모녀다. 한번도 등단하지도 못한 엄마는  

김작가라고 불리고 그의 크고 못생긴 딸은 그런 엄마를 경멸하고 엄마를 하찮게 여긴다. 

그러나 두 모녀의 공통점은 끊임없이 글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등단도 못하고 써도 좋은 소리 못듣고 완성조차 하지 못하는 글을 끌어안고 살면서  

서로에게 무심하고 상처주고 서로를 쓰레기같다고 여기면서도 지치지 않고 글을 쓴다. 

아니 글을 쓴다는 일을 사랑하고 있다. 

제대로 풀리는 일은 하나도 없고 남에게 사기를 당하고 대학도 떨어지고 사랑하는 사람도  

못만나도 이렇게 저렇게 매사가 안좋게만 풀려가도 모녀는 글쓰기를 멈추지 않는다, 

아니 글을 쓴다기 보다는 쓰야한다는 사명감에 똘똘 뭉쳐져 있다.  

인터넷이 퍼지면서 세상사람들은 모두가 작가가 되었고 너나할것 없이 글 한줄 못 쓰는 사람이 없다 블로거나 재인자비 출판 인터넷 언론등등 이름만 달고 사이트만 개설하면  

누구나 작가가 되고 기자가 되고 평론가가 된다. 

골방에 쳐박혀서 몇날 며칠을 라면으로 끼니를 때우고 읽었던 책을 읽고 또 읽어서 밑줄로 그은 

선들이 까맣게 묻어나오고 손때가 묻어 저절로 책이 벌어져 두터워지는 그런 지리멸렬하고  

궁상맞은 짓들을 하지않아도 컴퓨터만 있어면 여기저기서 정보들을 모으고 짜집고 그럴듯하게 

그림과 사진까지 덧붙여서 작가가 되고 독자를 가질 수 있다. 

그런 상황에 이 모녀는 정말이지 궁상맞고 찌질하게 짝이 없다. 

이렇게 치열하게 글을 생각하고 글만 바라보고 쓰기만을 숭상하는 사람들이라니.. 

글쓰기란게 그런거다. 

어디 눈돌릴 수도 없고  내 다시는 너를 보지 않겠다고 침을 퉤퉤 뱉고 가고 다시 뒷목을 잡아 끄 

는 알 수 없는 유혹이다. 폴오스터의 말이 아니더라도 작가라는 것은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가 아니면 살 수 없는 사람들일지도 모르겠다. 

엄마는 계동 글쓰는 여자들의 모임을 만들면서 글을 쓰기 시작하고  

딸은 그런 엄마와 모임을 쓰레기라고 비웃으면서 치열하게 매달리지만 매번 끝이 좋지 않다. 

글쓴다는거 치열하게 매달린다고 다 되는 것도 아니고  달리기처럼 죽자사자 뛰어오는 순서대로  

되는 게 아니라는 게 정말 짜증스럽다. 그러면서도 그만 둘 수도 없는 막막하고 끈적거리는 것이다 

죽음의 문턱을 넘고 모든 걸 포기하는 순간을 넘기면서 둘은 다시 힘을 얻는다.  

딸은 30년을 내내 쓰레기니 별볼일 없는 것들이니 하고 무시했던 그 글모임에서 힘을 얻고  위안을  

얻는다... 그리고 다시 글을 쓴다. 

어쩌면 결국 그러다 말지도 모르지만.. 무언가를 끝까지 놓지 않고 끌고 간다는 것 

그것이 아무것도 아닌 빈주먹일지라도 내가 매달려 인생을 걸만한 게 있다는 게 삶에 참 큰  

힘이 되고 위로가 된다.  

글쓰기가 고시보다 더 중독이 심한거라는 말 이 책에서 실감한다. 

딸이 참 잘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나의 글도 돈이 되고 힘이 되고 위안이 되면 좋겠다고 소심하게 중얼거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