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좌표 - 돈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생각의 주인으로 사는 법
홍세화 지음 / 한겨레출판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생각은 내가 자라는 동안 꾸역꾸역 들어온다. 나에게 다가오는 생각들이 내 삶을 위해 좋은 것 

인지 나쁜 것인지 또는 나에게 내 삶의 주인이 되게 하는 것인지 지배세력에 자발적으로  

복종하게 하는 것인지 판단 할 수 없을 동안에도 내안에 스며들어왔다.............. 

따라서 내안에 생각을 집어 넣는 주체인 사회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안목을 갖춰 나가면서  

기존에 형성된 생각들을 끊임없이 수정하여 나의 주체성을 확장하지 않으면 진정한 자유인도 내 

삶의 진정한 주인도 되기 어렵다.  

 

내 머리속에 들어앉은 생각은 언제 어떻게 내 머리속의 주인이 되었을까 

신문을 보고 티비를 보면서 책을 보면서 강의를 듣고 대화를 하면서 내 속에 내가 가장 편안하 

게 받아들일 수 있는 체제와 사상과 내가 인정할 수 있는 것들이 모여서 나를 이루었을것이다 

그 과정에서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쇠뇌되어온 것도 있을 것이고 나의 내가 아직은 말랑말랑 

했을 적에 강하게 인지 되어진 사고가 굳어져서 굳이 어떠한 회의나 의심없이 자리 잡은 것들 

도 있을 것이다. 

나는 아이를 가지면서 늘 생각했었던 것이 말 잘듣는 아이 착한 아이가 아니고 당돌할만큼 

자기 주장이 있고 말대꾸를 하고 저항하는 아이를 갖고 싶었다. 그렇게 용감하게 세상에 질문 

을 하고 자기의견을 묻고 드러낼 줄 아는 사람 그러면서 조금씩 깍이기도 하고 받아들이기도  

하면서 자기의 그릇을 크게 만드는 아이를 가지고 싶었다. 

어쩌면 이런 생각조차 나는 특별한 자식을 갖고 싶다는 은밀한 욕심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지금 그 아이가 자라서 사춘기가 되고 나에게 반항하고 말대꾸를 하고 화를 내기 시작하면ㅅ 

기분이 묘해진다. 내가 하는 말을 그냥 좀 따라주면 안되나? 꼭 그렇게 온몸으로 싫다고 하고 

일일이 대꾸하고 토를 달아야 하나... 그렇게 아이랑 부딪치면서 자꾸 내 생각을 강요하고  

주입하고 반항하면 화내고 혼내고 나무란다. 

그런 다툼을 보던 남편이 아이에게 큰소리로 " 어른이 뭐라고 하면 네 알겠습니다.. 해야지  

왜 자꾸 시끄럽게 만드느냐..." 뭐 이런 요지로 윽박지르면 갑자기 정신이 번쩍 든다. 

네 알겠습니다... 

이건 내가 제일 싫어하는 답이다. 나의 성격과 취향과 의견따위는 전혀 안중에 없이  

남에게 나를 맞추어서 네네.. 하는 것.. 그것이 설령 입에 달린 말대답일뿐일지라도 그건 나도  

참 듣기 싫은 말이었다. 하지만 그 순간은 내가 아이를 혼내거나 화내는 입장이라 그렇게 대꾸하지 

도 못했다. 

나는 나도 모르게 기성세대의 낡고 오래되어 편한 생각에 물들어가고 이제는 도리어 아이에게 강 

요하고 있다.  

세상을 의심하고 거꾸로 보고.. 다름 과 틀림은 정말 관계없는 것이라는 걸 인정할 줄 아는 것 틀린 

것은 고치고 바꾸더라도 나랑 다른 것은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는 없어도 그냥 내버려 둘 줄 아른 

배려를 배운다. 성적 소수자  여자 장애인 아이들 이주 노동자.. 등등 우리가 항상 반듯하고 중산' 

층에 정상적인 신체를 가지고 대한민국 순수혈통이나 백인만을 만날 수는 없는 일 아닌가. 

아이의 반항이 그저 한때의 반항 일탈이라고 귀막고 입막고 있을 게 아니라 함께 소통하면서 

내가 세상과 소통하고 관심갖는 연습을 해야하겠다. 

책을 읽으면서 알면서도 모른 척 했던 것들 이미 그게 정의이고 보편적인 상식인것을  

제도에 지배이념의 편리성에 물들어서 모른다고 여겼던 것들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참 쉽게 잘 쓴 글... 나중에 아이에게도 읽히고 싶은 구절이 몇몇 보인다. 

잡초를 없앨 수는 없지만 잡초를 뽑기는 해야할게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