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리소설 읽는 법 - 코넌 도일, 레이먼드 챈들러, 움베르토 에코, 미야베 미유키로 미스터리 입문
양자오 지음, 이경민 옮김 / 유유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이 질을 만들어내는 것

추리소설을 읽는 방식이다.

저자는 무협소설과 추리소설은 많이 읽어봄으로 더 잘 이해하고 알 수 있다고 한다.

맞는 말이다.

장르소설이라는 특징에 맞게 일정한 법칙과 긴장감이 있고 마지막에는 카타르시스같은 해결책이 나오는 것. 그리고 추리의 방법이 몇가지로 분류가 가능하고 대부분의 이야기는  그 분류안에서 다시 차용되고 변주된다.

 

차갑고 논리적인 홈즈부터  인간적이고 약점이 많은 챈들러의 말로 형사 그리고 똑똑하기가 재수없을 지경인 에코의 이야기를 지나 일본의 사회파 작가 미야베 미유키까지 이어진다.

나름 이 분야의 대표선수들이고 저마다 개성이 뚜렷한 캐릭터들이다.

 

추리소설에 흥미가 없던사람이라면 이 책을 통해 입문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이고

추리소설을 좋아했던 사람이라면한번 쯤 자기가 읽었던 책들을 되씹어 볼 수 있겠다.

저자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며 따라가다가

딱 한 군데 아가사 크리스티를 잠깐 언급한 곳에서 고개를 젓는다.

밀실사건, 완벽한 살인  마치 자로 잰듯한 사건들의 흐름이 너무 인위적이라는 말에는 동의할 수 없다.홈즈 못지 않게 추리물의 다양한 트릭을 만들어낸 작가이지만 동시에 홈즈보다는 인간적인 캐릭터들도 만들었다. 포와로와 미스 마플은 과학적이거나 냉철하진 않지만 인간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은 누구못지 않다 사람이 왜 살인을 하는지 어째서 죽을 수 밖에 없고 그렇게 복잡한 트릭을 만들어야만 하는지를 읽다보면 무릎을 치며 동의하게 된다. (아주 주관적인 주장이지만...)

그녀는 사건 못지 않게 사람에 관심을 가진 작가이다.

 

확실히 읽다 보면  내가 접하지 않았던 챈들러에 흥미가 갔고 미미여사의 모방범도 다시 읽고 싶어졌다.

그러나 무엇보다 무라카미 하루키가  내가 생각했던 것 보다 훨씬 더 괜찮은 작가구나 하는 게 가장 큰 수확이었고 다른 추리물 보다 그의 작품을 보고 싶어졌다.

(챈들러 부분을 보면 이해하리라 생각된다)

 

우리가 사는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타인을 이해하기 위해 소설이 필요하다

그중에서 추리소설은 사람이 가진 다양한 모습을  알아가는데 더 이상 좋을 수 없다.

사람은 한가지 모습이 아니라는 것

언제든 강해질 수 있고 더할 수 없이 약할 수 있다

순수한 얼굴 뒤에 악마의 모습을 숨기기도 하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그건 추리소설 이상 좋은 교재가 없다고 믿는다.

읽어 볼 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