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둥치는 밤 읽기책 단행본 9
미셸 르미유 글 그림, 고영아 옮김 / 비룡소 / 200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무한의 끝은 어딜까?
다른 별에도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
우리는 어디에서 왔지?
도대체 누가 맨 처음 인간의 생김새를 생각해 냈을까?
우리가 만일 채소처럼 땅에서 솟아 자란다면..
나는 누굴까?
이 세상에 나는 오직 나 하나밖에 없을까?
만약에 우리가 몸을 서로 바꿀수 있다면...
아니면 우리 몸 가운데 우리가 싫어하는 부분이라도 감출 수 잇다면!
우리가 자기 마음에 드는 몸을 고를 수 있다면, 누군가가 내몸을 가지고 싶어할까?
내가 앞으로 어떻게 살게 될지는 처음부터 미리 정해져 있는 걸까?
아니면 정말 내 앞날을 나 혼자서 헤쳐 나가야 하는 걸까?
내가 언제나 옳은 결정을 내릴 수 있을까?
그런데 내가 결정한 것이 옳은지 아닌지 어떻게 알지?
나는 불행한 일을 겪지 않고 살 수 있을까?
운명- 그게 도대체 정확하게 뭘까?
그리고 우연은 뭐지? 누가 그걸 정하지?
내 머릿속에 있는 이 많은 생각들은 다 어디서 왔을까?
그리고 그것들이 내 머리를 떠날 때에는 어디로 가는 거지?
우리가 지금 사는 게 사실은 꿈이라면?
그리고 우리가 꾸는 꿈이 진짜라면?
이 세상의 끝이란게 있을까?
내가 언제 죽을지 미리 알 수 있을까?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영혼을 볼 수 있을까?
도대체 무한은 어디에서 끝나지?
혹시 내가 죽은 다음에 모든 것이 내가 태어나기 전과 똑같지 않을까?
어쩌면 죽음이 우리 기억을 싹 지워 버리는지도 몰라, 우리가 다른 곳에서
다시 태어날 수 있게!
우리는 아마도 사람이 아닌 완전히 다른 존재로 이 세상에 태어나게 될지도몰라!
죽은 다음에 아무것도 없다면 어떡하지?

 
이 동화책에 나오는 물음들이다. 책을 한 시간 만에 볼 수 있지만 다시 그림과 글을 매치시
켜서 보니 거의 매장을 멈춰있게 된다. 하나 하나의 물음들이 심오한 철학적 물음들이기 때
문이다. 돌아버리겠는건...천둥치는 하룻밤 사이에 한 아이가 자기의 개와 함께 침대에서 이
런 물음을 던지는 것이다...도무지 잘 것 같지 않은 아이는 이런 심각한 물음들을 던져놓고는...
 

우리가 영원히 산다면?
그러면 모든 신비를 이해할 수 있을 텐데
지구의 신비와
우주의 신비를
그리고 난 어디에서나 친구를 사귈 수 있을 텐데!
그려면 정말 신날거야!

 

 "그러면 정말 신날거야!"라는 말로 마무리 하면서 침대속 속 들어가는 것이 아닌가! 나에게는 머리를 쥐어 뜯으며 도리도리 머리를 좌우로 흔들면서 잠을 설치게 하는 난제를 던져주고는 정말 무책임하게도 잠이 든다.  

그리고 해가 뜨는 그림과 함께 더 넘길 책장이 없어진다. 이런이런이런~~ 아이다운 무책임한 마무리에 어안이 벙벙해진다.

책 읽는 내내...얘야, 잠 좀 자라...넌 잠도 없니? 애가 왜 이리도 어려운 것만 무책임하게 묻고 나서...어른이 심각하게 고민하게 해 놓고 그제서야 자는 거니...니가 던져 놓은 물음들을 생각하느라 나는 밤잠을 설쳤는데..개하고 먹을 것을 먹으면서 하나도 심각하지 않게 어떻게 그런 물음들을 던질 수 있는 거니?  

아~ 넌 정말 무책임한 애구나. 어쩌자구 나는 천둥치는 밤을 나기 위해 아이가 하는 이런 말에 넋을 놓고 읽게 되었을까. 

아이가 던지는 철학적 질문들을 형상화하는 그림들은 세상을 새롭게 보는 아이의 세계였다. 하지만 이 그림들은 어른들의 머리가 얼마나 굳었는지, 그리고 얼마나 상상력의 빈곤을 들어내는지 단박에 알 수 있게 해 주는 바로미터 역할도 해 주고 있다.   

천진하지만 난해한 질문들을 표현하는 그림들은 우리세계의 희로애락과 애오욕을 상상력있게 펼쳐보이는 삶 자체였고, 색다른 차원의 재미를 선사해 주고 있다.  

지금까지 배워왔던 진리라는 체계, 당위, 상식 그리고 통념을 뛰어넘어 어렸을 때 막연히 생각했던 '진리의 원형'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간 느낌이다.  

어른이 아이의 눈으로서 사물을 보고 이해한다는 것은 투박하지만 삶에 직관적인 통찰을 주는 것 같다. 성경에도 있지 않은가. 너희가 어린아이가 되지 않는한 결단코 천국에 들어갈 수 없다고.  

때묻지 않은 삶의 순수함이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보고 느낄 수 있는 진귀한 여행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