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으로 읽는 변신이야기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오비디우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Narcissus], 미켈란젤로 메리시 다 카라바조, 1594 ~ 1596, 로마 국립고대미술관

 

 

 

소년은 사냥에 대한 열성과 더위에 지쳐

이곳에 누워 있었으니, 그곳의 생김새와 샘에 끌렸던 것이다.

그는 갈증을 식히려다가 그사이에 또 다른 갈증을 느꼈다.

물을 마시다 물에 비친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 그것에 끌려 실체 없는

희망을 사랑하게 되었고, 그림자에 불과한 것을 실체로 여겼던 것이다.

그는 자기 자신을 보며 찬탄했고, 파로스 산 대리석으로

만든 조각상처럼 꼼짝 않고 같은 표정을 짓고 있었다.

그는 땅바닥에 옆드려 쌍둥이별자리와도 같은 제 눈들과,

박쿠스나 아폴로에게나 어울릴 제 머리털과,

아직 수염이 나지 않은 턱과, 상아 같은 목과, 우아한 얼굴과,

눈처럼 흰 색조와 어울린 홍조를 바라보고 있었다.

그는 자신을 찬탄의 대상으로 만드는 그 모든 것을 찬탄했다.

그는 저도 모르게 자신을 열망했으니, 칭찬하면서 스스로 칭찬받고,

바라면서 바람의 대상이고, 태우면서 동시에 타고 있었던 것이다.

그의 눈을 속이는 샘물에다 입맞춘 것이 그 몇 번이었으며,

눈에 보이는 목을 끌어안으려고 물속에 두 팔을 담갔다가

거기서 자기 자신을 껴안지 못한 것이 그 몇 번이었던가!

그는 자신이 보고 있는 것을 알지 못했으나, 그가 보고 있는 것이

그를 불태웠다. 그리고 그의 눈을 속인 바로 그 착각이

눈을 흥분시켰다. 잘 믿는 자여, 왜 그대는 달아나는 허상을 헛되이

붙잡으려 하시오? 그대가 좇고 있는 것은 어디에도 없소.

돌아서 보시라. 하면 그대가 사랑하는 것도 없어질 것이오.

그대가 보고 있는 그것은 반사된 모습의 그림자에 불과하며

그 자체로는 실체가 없소. 그것은 그대와 함께 오고 그대와 함께

머물러 있으니, 그대와 함께 떠날 것이오. 그대가 떠날 수 있다면.

 

 - 오비디우스, 『원전으로 읽는 변신 이야기』, 제3권 205∼224

 

 

 

[나르키소스와 에코], 니콜라 푸생, 17세기 전반경, 드레스덴 국립 미술관

 


"오오! 숲들이여, 사랑의 고통을 일찍이 나보다 더 잔인하게

느껴본 자가 있는가? 너희들은 많은 애인들에게 편리한 은신처였으니

잘 알리라. 너희들은 그토록 여러 세기를 살았거늘,

기나긴 세월 동안 이처럼 초췌해진 자를 본 기억이 있는가?

나는 사랑하여 바라보지만, 내가 바라보고 사랑하는 것을 찾을 수가

없구나. 나는 사랑으로 인해 그만큼 큰 혼란에 빠져 있구나.

그리고 나를 더욱더 슬프게 하는 것은, 우리를 갈라놓는 것은

대해(大海)도, 길도, 산도, 성문 닫힌 성벽도 아니라는 것이다.

약간의 물이 우리를 떼어놓고 있는 것이다. 그 자신도 안기기를

원하고 있다. 내가 맑은 물을 향하여 입술을 내밀 때마다

그도 얼굴을 위로 한 채 나를 향하여 입술을 내미니까 말이야.

그대는 내가 그에게 닿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겠지. 사랑하는 자들을

갈라놓는 것은 하찮은 것이니까. 그대가 뉘시든 이리 나오시오.

비길 데 없는 소년이여, 왜 나를 속이며, 좇는 나를 피해 어디로

가는 거요? 확실히 내 외모나 나이 때문에 그대가 나를 피하는 것은

아닐 것이오. 요정들도 나를 사랑했으니까. 그대는

상냥한 얼굴 표정으로 내게 뭔가 희망 같은 것을 약속하고 있소.

내가 그대에게 팔을 내밀면 그대도 내밀고,

내가 웃으면 그대도 따라 웃고, 내가 울 때면 그대의 볼에서도

가끔 눈물이 비쳤소. 신호를 보내면 그대도

고개를 끄덕여 대답하오. 그리고 그대의 아름다운 입의

움직임으로 미루어 그대는 내 말에 대답하는데도 그 대답은

내 귀에까지 닿지 못하는구려. 그는 바로 나야. 이제야 알겠어.

내 모습이 나를 속이지는 못하지. 나는 나 자신에 대한 사랑으로

불타고 있는 거야. 내가 불을 지르고는 괴로워하고 있는 거야.

어떡하지? 구혼 받아? 구혼해? 한테 구혼은 왜 해?

내가 바라는 것이 내게 있는데, 풍요가 나를 가난하게 만든 거야.

아아, 내가 내 몸에서 떨어질 수 있다면 좋으련만! 사랑하는 자의

기도치고는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내가 사랑하는 것이 내게 없었으면

좋겠어. 벌써 괴로움이 내게서 힘을 앗아가니, 내 인생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고 나는 초년(初年)에 요절하고 마는구나.

내게 죽음은 아무렇지도 않아. 죽게 되면 나는 괴로움에서

벗어나게 될 테니까. 나는 사랑 받는 그가 더 오래 살기를 원하지만

이 하나의 숨이 끊어지면 우리는 둘 다 함께 죽게 되겠지."

 

 - 오비디우스, 『원전으로 읽는 변신 이야기』, 제3권 442∼4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전으로 읽는 변신이야기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오비디우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여인으로 변신한 예언가 티레시아스], 피에트로 델라 베치아, 17세기경, 낭트 미술관

 

 

 


운명의 섭리에 따라 지상에서 이런 일들이 일어나고

두 번 태어난 박쿠스의 요람이 안전한 가운데, 마침 윱피테르는,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신주(神酒)에 거나하게 취해

무거운 근심걱정들을 내려놓고는 역시 짬이 난 유노와

부담감 없이 농담을 주고받았다. "물론 그대들 여인들이 느끼는

사랑의 쾌감이 우리들 남편들에게 주어지는 것보다 더 크겠지요."

유노는 그렇지 않다고 했다. 그래서 그들은 현명한 티레시아스의

의견을 물어보기로 했다. 그는 양쪽의 사랑을 다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그는 푸른 숲 속에서 흘레하고 있던 큰 뱀 두 마리를

지팡이로 쳐서 폭행한 적이 있었다. 그러자 놀랍게도

그는 남자에서 여자로 변하더니 그런 모습으로

일곱 가을을 보냈다. 팔 년째 되던 해 그는 같은 뱀들을 다시

보고는 말했다. "너희들을 치는 행위에 치는 이의 성(性)을

반대의 것으로 바꿀 수 있는 그토록 큰 능력이 있다면,

이번에도 나는 너희들을 치련다." 그리고 그가 뱀들을 치자

그가 타고났던 이전의 형태와 모습이 되돌아왔다.

그래서 그는 우스꽝스런 논쟁의 중재판관으로 임명되자

윱피테르의 말이 옳음을 확인해주었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사투르누스의 딸은 티레시아스의 판결에 과도하게 속상해하며

그의 눈이 영원한 어둠 속에 머물도록 저주했다고 한다.

하나 전능한 아버지는 (어떤 신도 다른 신이 행한 일을

취소할 수는 없기 때문에) 티레시아스에게 빼앗긴 눈 대신 미래사를

알 수 있는 힘을 주어 명예로써 그의 벌을 가볍게 해주었다.

 

 - 오비디우스, 『원전으로 읽는 변신 이야기』, 제3권 316∼338

 

 

 

 

[제물을 바치는 오디세우스 앞에 나타난 테이레시아스], 요한 하인리히 퓌슬리, 1780~1785

 

 

아직도 정신이 온전한 눈먼 예언자 테바이의 테이레시아스

 
내가 말하자 여신들 중에서도 고귀한 그녀가 지체없이 말했소..

'제우스의 후손 라에르테스의 아들이여, 지략이 뛰어난

오뒷세우스여! 그대들은 이제 더 이상 그대들의 의사에 반해 내 궁전에

머물지 마세요. 하지만 그대들은 먼저 다른 여행을 마쳐야만 해요.

그대들은 하데스와 무서운 페르세포네의 집으로 가

아직도 정신이 온전한 저 눈먼 예언자 테바이의 테이레시아스의

혼백에게 물어보아야 할 것이오. 그가 슬기롭도록 페르세포네는

오직 그에게만 죽은 뒤에도 분별력을 주었으니까요.'

 

 - 호메로스, 『오뒷세우스』, 제10권 487∼4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전으로 읽는 변신이야기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오비디우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윱피테르와 세멜레], 귀스타브 모로, 1895년, 귀스타브 모로 미술관

 

 


보라, 묵은 이유에 새 이유가

추가되었으니 그녀는 세멜레가 위대한 윱피테르의 씨를 밴 것을

알고는 마음이 괴로웠던 것이다. 그래서 그녀는 종종 험담을 하곤 했다.

하지만 그녀는 말했다. "내가 그토록 자주 험담을 해서 얻은 게 뭐지?

이번에는 아예 그녀를 혼내줘야겠어. 암, 그녀를 말이야.

내가 위대한 유노라고 불리는 것이 정당하다면,

내 오른손으로 보석이 박힌 홀을 휘두르는 것이 합당하다면,

그리고 내가 하늘의 여왕이자 윱피테르의 누이이자

아내라면 말이다. 누이라는 것은 확실치 않은가! 하지만 그녀는 은밀한

사랑으로 만족하고 있고, 내 침상에 대한 모욕은 잠깐 동안일지도 모르지.

하나 그녀는 설상가상으로 임신을 하여 남산만 한 배로 명백한

유죄 증거를 드러내고 있고 같은 윱피테르에 의해 어머니가 되려고

하는데 그런 행운은 내게도 가까스로 주어지지 않았던가!

제 미모에 대해 어찌 그리 자신만만할 수 있는지. 내 그 자신감에

배반당하도록 만들어주겠어. 윱피테르에 의해 그녀가 스튁스의 물속에

잠기지 않는다면 나는 사투르누스의 딸이 아니지."

 

 - 오비디우스, 『원전으로 읽는 변신 이야기』, 제3권 258∼2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전으로 읽는 변신이야기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오비디우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사슴으로 변한 악타이온](부분), 프란체스코 알바니, 16세기경, 루브르 박물관

 

 

 


카드무스여, 그대가 그토록 번영을 누릴 때 그대에게 처음으로

슬픔의 원인을 제공한 것은 그대의 손자 가운데 한 명인 악타이온과

그의 이마에 난 이상한 뿔과 주인의 피를 실컷 빤 너희들 개 떼였다.

하지만 그대가 잘 살펴보면, 그에게서 운명의 잘못이라면 몰라도 죄는

발견하지 못할 것이오. 그럴 것이 길을 잃은 것이 무슨 죄란 말인가?

 

 - 오비디우스, 『원전으로 읽는 변신 이야기』, 제3권 138∼142

 

 

 


그곳에서 티탄의 외손녀가 친숙한 물에서 멱 감고 있는 동안,

보라, 카드무스의 외손자가 이날의 사냥을 뒤로 미루고는

알지 못하는 숲 속을 자신 없는 걸음걸이로 헤매다가

그 임원으로 들어섰다. 운명이 그를 인도했던 것이다.

그가 샘물에 젖은 동굴에 들어서자마자 남자의 출현에 깜짝 놀란

요정들은 발가벗은 그대로 가슴을 쳤고, 갑작스런 비명으로

온 숲을 메우며 디아나 주위로 몰려가 자신들의 몸으로 여신의 몸을

가리려 했다. 하지만 여신은 그들보다 키가 더 컸고,

그들의 위로 머리 하나만큼 우뚝 솟아 있었다.

디아나는 옷을 벗은 자신의 모습이 드러나자

마치 기울어지는 석양에 물든 구름 또는

자줏빛 새벽의 여신처럼 얼굴이 빨개졌다.

······

여신은 화살을 준배해두지 않은 것을 후회하면서

가진 것은 물밖에 없어 물을 떠서 남자의 얼굴에 끼얹었다.

그리고 여신은 그의 머리털에 복수의 물을 뿌리며

그의 불행한 미래를 예고해주듯 이렇게 덧붙였다. "자, 이제는

옷 벗은 날 보았다고 말해도 좋다. 말을 할 수 있다면 말이다."

여신은 더 이상 위협의 말은 하지 않은 채 물이 뿌려진

악타이온의 머리에 오래 사는 수사슴의 뿔이 돋아나게 했고,

목은 길게 늘였으며 귀의 위쪽 끝은 뾰족하게 만들었다.

손은 발굽으로, 팔은 긴 다리로 바꾸었으며 그의 몸에 얼룩덜룩한

모피를 입혔다. 이에 덧붙여 여신은 그의 마음에 공포를 불어넣었다.

아우토노에의 영웅 아들은 황급히 달아나며

그토록 빨리 달아날 수 있다는 데 스스로 놀랐다.

그는 물에 비친 제 얼굴과 뿔들을 보고는 "아아, 맙소사!" 하고

탄식하려 했으나, 말이 따라주지 않았다. 그는 한숨을 쉬었다.

 

- 오비디우스, 『원전으로 읽는 변신 이야기』, 제3권 173∼201

 

 

 


그는 돌아가자니 부끄럽고, 숲 속에 숨어 지내자니 무서웠다.

그는 망설이고 있다가 개 떼의 눈에 띄었다.

먼저 멜람푸스와 영리한 이크노바테스가 짖어대며 신호를 보냈는데,

이크노바테스는 그노소스 산(産)이고, 멜람푸스는

스파르테 품종이었다. 이어서 다른 개들이 바람보다 더 빨리

돌진해왔으니, 팜파고스, 도르케우스, 오리바소스,

이들은 모두 아르카디아 산이었다.

탄탄한 네브로포노스, 사나운 테론, 라일랍스,

발 빠른 프테렐라스, 냄새 잘 맡는 아그레,

얼마 전에 멧돼지에게 찢긴 적이 있는 거친 휠라이우스,

아비가 늑대인 나페, 양 떼를 지키던 포이메니스,

새끼 두 마리를 데리고 다니는 하르퓌이아,

옆구리가 날씬한 시퀴온 산 라돈,

드로마스, 카나케, 스틱테, 티그리스, 알케,

털이 눈처럼 흰 레우콘, 검은 털의 이스볼로스,

힘이 절륜한 라콘, 달리기에 능한 아엘로, 토오스,

날랜 뤼키스케와 그 오라비인 퀴프리우스, 흰 반점이 있는

하르팔로스, 멜라네우스, 털이 거친 라크네, 딕테 산

아비와 라코니케 산 어미에게서 태어난 라브로스와 아르기오두스,

날카롭게 짖어대는 휠락토르가 곧 그들이다.

그 밖에 다른 개들의 이름을 다 말하자면 시간이 한참 걸릴 것이다.

 

 - 오비디우스, 『원전으로 읽는 변신 이야기』, 제3권 205∼2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전으로 읽는 변신이야기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오비디우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 용과 싸우는 카드무스], 지아코모 델 포(1652∼1726), 1710년경, 피카르디 미술관

 

 


카드무스여, 비록 추방당했지만 그대는 이제 행복한 것처럼 보일 것이오.

그대에게는 마르스와 베누스가 장인 장모가 되었소.

거기에다 그대는 그토록 훌륭한 아내한테서 태어난 자녀들을,

그토록 많은 아들딸들을, 그리고 사랑의 소중한 담보인 손자들을

보태시오. 이들도 어느새 성년이 되었소. 하지만 우리는 언제나

한 인간의 마지막 날을 기다려봐야 하며, 죽어 마지막 장례식을

치르기 전에는 어느 누구도 행복하다고 말해서는 안 되는 법이오.

 

 - 오비디우스, 『원전으로 읽는 변신 이야기』, 제3권 131∼1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