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링크로스 84번지
헬렌 한프 지음, 이민아 옮김 / 궁리 / 200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 ☆도서정가제 반대!★ ★♡+
 

먼저 좋은 책을 만났으나 태클한번 걸고 가련다..

책표지...깔끔하고 볼수록 좋다...그런데 재질은 영 아니다...가방속에 넣었다 빼니 긁힌 자국이 수없이 보인다..가슴아프다...표지를 쌀껄하는 후회가 든다....남들 다하는 것처럼 책표지위에 반짝이 표지 한장 덧입혀서 보고난후 벗겨놓으면 다시 새것처럼 보이게 만드시지.....

 

1949년 11월 3일   미국책들의 창백한 백지와 딱딱한 마분지 표지만 보아온 저로서는 책을 만지는 일이 이런 즐거움도 줄수 있다는것은 미처 몰랐답니다.

지금내가 만지고 있는 책도 딱딱한 마분지 표지인데...부드러운 고급 피지와 뽀얀 상앗빛 책장은 어떤 느낌일까?

1949년 12월 8일  저는 전 주인이 즐겨 읽던 대목이 저절로 펼쳐지는 중고책이 참 좋아요

난 헌책이 싫다.  90년대 초반 커다란 가방에 책을 가득담아 짊어지고 다니면서 책을 대여해주던게 유행한적이 있었다.   그때 회원가입하면 주던 도서목록은 경이로울정도로 많은 책들이..그래서 첫 책을 빌렸던날 나는 기절하는줄 알았다.  비닐로 책커버를 싸기는 했지만 구겨질대로 구겨진...게다가 책장을 넘기려고 하자 버석거리는 느낌...

헉 그것은 다른 사람들이 책을 보면서 침을 묻혀 책장을 넘기곤 했던 그 흔적이었다...

난 이후로 헌책은 돌아보지도 미련을 갖지도 않게 되었다.

1950년 4월 10일 관광객들은 영국에 어떤 고정 관며을 가지고 가기 때문에늘 자기가 원하는 것만을 찾는대요

유럽으로 여행가면 버버리공장...(이름 아침부터 줄서있는 사람이 있다면 한국사람과 일본사람이라고 하던데...) 에 갈까 생각했는데... 고쳐먹어야겠다...

1955년 9월 2일 누가 빌려가서 돌려주지를 않네요. 다른 것을 훔치는 것은 꿈도 꾸지 않는 사람들이 어째서 책 도둑질은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는 거죠?

아 정말 공감하는 말입니다..제게 책 빌려가서 안돌려 주는 분들...돌려주세요... 제일 아까운 책은 신이현의 숨어있기 좋은방이랍니다.    헌책방에 알아봐야겠어요...이책을 찾을수 있다면 좋을텐데...

 

미국과 영국에서 오가는 편지들을 모은 이글은 책이라는 ...중요한 매개체가 있었기에 20년간이나 지속될수 있었다고 한다.

얼마전 기증이라는것에 대한 페이퍼를 읽었었다.

그 페이퍼에 100%공감하면서 우리나라도 기증문화가 정착되길 바라는 마음이 간절해졌다.

공공장소에 기증된 소중한 책들이 얼마 지나지 않아서 길을 잃고 어딘가에서 울고 있다니..마음아프다

책이 귀하던 시절...(뭐든 다 귀했던 시절일꺼다..)

학년이 바뀌거나 학기가 바뀔때 새로 타오는 책은 엄마가 모아두었던 깨끗한 달력종이로 표지를 감싸고 혹시나 누구랑 바뀌진 않을까 하여 도장으로 꾹꾹눌러 찍어 놓았던 기억이 난다.

나중에 그 달력종이를 벗겨내면 속지는 손때가 묻어 얼룩덜룩해도 표지만큼은 새로 받았던 때 그때 그모습 그대로 일때 느끼면 기분좋음..

요즘은 비닐이 환경문제있다고 해서 책표지를 싸지 않는데 이책을 받고 가방에 넣었다가 흠집이 생기는걸 보면서 다시 책을 싸서 가지고 다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어 기분 좋은 아침을 맞는다...

나도 헌책방에 가보고 싶다.  비록 사지는 않는다 해도 그 손때묻은 책들에게 동지감을 느껴보고자... 행복한 하루를 L.J.Y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5-04-20 1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에 취해 헌책방을 간 적이 있지요. 큭.. 기대와 달랐던 헌책방...;;;

인터라겐 2005-04-20 17: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두 요즘 헌책방얘길 유난히 많이듣고 있는데 한번쯤 가보고 싶어요...품절된 책을 하나 찾고 있는데 인터넷으론 상태를 알수없으니 말예요..
비숍님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로드무비 2005-04-20 18: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빨리도 읽으셨군요.
깨끗이 읽은 헌책은 새책보다 좋아요.^^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파울로 코엘료 지음, 이상해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 ☆도서정가제 반대!★ ★♡+

연금술사로 너무 유명한 파울로 코엘료...그와의 첫만남이었다..   이책이 처음 출판되었을때 제목이 눈에 들어와서 볼까 하다가 기회를 놓쳤다.   이후로도 계속 내 주변을 빙빙돌던 작품이었는데 드디어 내손에 들어왔고...이제 그녀를 놓는다.

베로니카...너무 많은것을 가졌기에 자신의 뻔한 삶이 지겨워서 자살을 결심했단다. (솔직히 24살에 젊음이 가고 나면 너무 뻔한 내리막길 인생이 눈에 선했고, 남는 것은 노쇠와 질병들 뿐. 살수록 오히려 고통만 더해진다느니  세상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나쁜 일들을 개인이 막을 도리가 없어 자신이 쓸모없는 존재로 여겨진다는것을 이유로 자살을 결심했다는건 이해할수 없다..)

살면서 죽음에 대해 생각해본적은 없지만 이책을 읽는동안 주변에서 일어나는 죽음에 대해 생각했다.

베로니카처럼 뻔한 삶이 지겨워서라기 보다 사랑에 실패해서..사업에 실패해서...성적이 떨어져서....온갖 이유로 자살을 결심하고 실행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많으니깐....

단 차이가 있다면 그렇게 자살을 시도한 사람들중엔 결국 이겨내지 못하고 죽음의 길로 들어선 사람이 있는가 하면 치명적인 상처로 남아 평생을 고통속에 살아야만하는 이들도 있는데 반해 다량의 수면제를 복용하고도 베로니카는 별다른 상처없이 살아있다는것이다.

아니 타의였지만 그녀는 시한부 삶이란 상처를 받았다..... 죽고싶었으나...살아남은 그녀.. 정신병원으로 후송된후 미쳤다는 사람들속에서 삶에 대한 의지를 불태우는 그녀에겐 하루 하루가 너무 소중하고 버려서는 안될것들이란걸 깨달으니 말이다.

베로니카의 삶에 대한 의지를 보면서 정말 미친것인지 아니면 정상인데 그들과 생각하는게 달라서 미친소리를 듣는것인지 모르게 살아가는 빌레트정신병원의 환자 제드카.. 마리아..에뒤아르...이들 또한 삶에 의지를 찾아 스스로 병원을 나서게 했다.

의사의 논문속 실험대상이 되었다고는 하나 베로니카는 삶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깨달았을것이다...

마지막 베로니카가 떠난것을 알고 박사가 더이상 거짓말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안도하는 모습이 기억에 남는다.

죽음이 모든것을 해결해 주는것은 아니다.   죽음으로 인해 우리가 해야할것들이 줄어드는 것같다.

빌어먹을 힘만 있어도 세상은 살만하다고 하는데...주변에서 스스로 목숨을 버리는 일은 더이상 일어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소중한 하루를 L.J.Y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리 2005-04-20 1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수면제는 많이 먹어도 죽기가 힘들죠.... 죽음이 모든 것을 해결해 주는 것은 정말 아니지요. 하지만 오랫동안 생활고에 시달리고, 삶에 대한 비젼이 전혀 없는 사람이라면 그 길을 택하는 게 이해가 안되는 건 아닙니다. 그렇긴 해도, 일시적 충동으로 자살하는 사람을 보면 안타까워요.

인터라겐 2005-04-20 17: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두요.....정말 죽겠기에 자살을 선택하겠지만 살고 싶다고 버둥거려도 목숨이 다하는 그런 분들을 봐서 자신의 생명을 소중히여겼으면 하는 바램이랍니다.

로드무비 2005-04-20 18: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상하게 저 책은 안 땡겨서......
이 책에 대한 감상은 호오가 반반이더군요.
인터라겐님은 재밌게 보셨나봐요.^^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실록 시리즈 8
박영규 지음 / 들녘 / 199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시대물을 좋아하긴하지만 제목에서 이책은 무지 지루할것이란 선입견을 갖게해서 쉽게 구입결정을 못하고 있던 찰나 인***서점에서 50%할인을 하고 있었고 마침 쿠폰을 사용할 금액을 맞춰야 했기에 혹시나 하는마음으로 구입한 책이었다.

목록을 보자니 국사시간에 조선시대 연보를 외우기 위해 태정태세문단세...이렇게 지겹도록 외우던 생각에 휴 하는 한숨이 먼저 시작되었다.

학교다닐때 억지로 외우려 했던것들이 이렇게 재밌었던가 싶을정도로 푹 빠져서 보았지만  이책의 중간 중간에 있는 가계도가 없었더라면 정말 이책은 하얀종이위에 빼곡한 검정글씨만 있었을것같을정도로 너무 여백이 없다.

조선의 6대임금 단종.. 부인1명에 자손없음.  9대임금 성종..부인 12명에 자손이 28명(16남 12녀) .....아무리 정략적이라고는 하지만 너무한거 아닌가? 

조선왕조에 관한것들은 우리가 드라마를 통해 너무도 많이 듣고 봐왔지만 그래도 부분적인것에 국한된것이 아닌 전반적인 시대상을 알수 있기에 즐겁게 봤다. 오늘은 토요일L.J.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팝콘심리학 - 개정판, 톡톡 튀는 9가지 맛 영화 속 심리이야기
장근영 글.그림 / 제이앤북(JNBOOK) / 2006년 1월
평점 :
품절


재밌고 흥미롭게 읽은책이다.

이책 바로앞에 읽은 정혜신의 사람VS사람에 놀라서 심리란 말에 혹시 이것도 영화를 속속들이 파헤쳐 다시 붙인다해도 상처남을 그런 이야기기 아닐까 하는 두려움(?)이 있었지만

이정도의 질책은 영화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리라..

읽으면서 끄덕여지는 부분도 많았지만 난 엉뚱하게도 심리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이 불쌍하게 느껴졌다.

그냥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웃고 눈물흘리면서 보면 좋을 영화에 대해 저렇게 분석이 들어가진다니..

물론 직업병탓도 이겠지만 그건 그 학문으로 인해 남들이 누리는 그런 작은 행복을 빼앗긴게 아닐까한다.

팝콘에 콜라한잔...영화를 보면서 쉴새없이 집어먹는 팝콘처럼 이책의 내용도 그렇게 유쾌하게 읽혀나간다.

영화이야기다 보니 1관 ~9관까지 멀티플렉스 영화관처럼 1관은 로맨스와 소통의 심리에 대해 2관에서는 변화심리에 대해... 골라먹는 재미도 있지만 상영작이 내려질때 막간을 이용해 올라오는 한 컷 심리이야기도 고개를 끄덕이면서 재밌게 읽었다.

나는 그냥 장면 장면에 울고 웃을수 있는 관객이기에 감사한다.  즐거운 주말을 L.J.Y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리 2005-03-26 19: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화 평론가도 비슷한 것 같아요. 영화가 취미가 아니라 직업활동이 되어 버리니 재미를 못느낄 게 아니겠어요? 그래서 맨날 안좋다는 평만 쓰는 듯...^^

인터라겐 2005-03-26 2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정말 영화평론가도 그렇네요... 예리하십니다^^

마태우스 2005-04-13 14: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리가 예리한 걸 알아채신 님이 더 예리합니다^^

인터라겐 2005-04-13 14: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마태우스님...제가 달리 소머즈겠어요...^^
 
사람 VS 사람 - 정혜신의 심리평전 2
정혜신 지음 / 개마고원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일단은 내가 아는 사람들을 그것도 최고의 위치에 있어 부러울것 없는 사람들에대한 비교라서 재미는 있게 봤다. (그런데 이벤트를 하니 조금은 속상하다..)

그저 단순히 재미있게 읽었지만 읽는 내내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사람들에 대해 무슨 감정있나 왜 이런걸 책으로 낸걸까..   이렇게 얘기하면 참 단순하다고 할지 모른다..그렇지만 너무나 치우쳐진듯한 인상을 지울수가 없었다.   그 사람에대해 몰라도 좋을듯한것까지 알게 되어서 좋은건 없으니깐.

내가 워낙 단순해서 그런지는 모르지만 보는데로 믿는 경향이 짙다.  그러기에 이런 말들을 통해 기존 쌓아온 이미지가 더 확고해지는 경우도 있지만 반대로 너무 많이 무너져서 다시 추스르기 힘든경우도 있다.    그다지 좋은 인상을 받지 못했던 사람이 이글을 통해 새롭게 다가오기도 하고 어쩜 이사람이 이런경향이 있었나 하면서 내몰기도 한다.

그래서 나는 이런책을 읽으면 안되는것인가 보다.

만약 정말 그들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에게 이책을 읽혔을때 그들이 생각하는 책속의 주인공들 모습은 어떻게 그려질까가 몹시도 궁금하다. 행복한 하루를 L.J.Y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터라겐 2005-03-26 09: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간단한 태그입니다.. 소스 보내드릴까요?

부리 2005-03-26 19: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시군요. 저는 다른 사람의 시각을 아는 것도 괜찮은 일이라고 생각해요. 저같이 편협한 사람은 좀 그럴 필요가 있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