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고 그리고, 타이베이 - 이메이의 어반스케치와 펜드로잉으로 기억하는 대만 여행
이명희(이메이) 지음 / 밥북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걷고 그리고, 타이베이]는

 

해외여행 자유화 이후 많은 이들이 해외로 나갔고, 그 만큼 많은 여행 에세이가 쏟아졌다. 그러다 보니 어느새 같은 지역에 대한 에세이를 읽으면 비슷비슷하다는 느낌이 들게 되었다. 타이베이[臺北]이라고 다를 바 없다.

 

그런데 이 책, <걷고 그리고 타이베이>는 기존의 타이베이 여행 에세이와 다소 다른 점이 있다. 첫째, 여행지의 풍경과 현지의 음식을 사진 대신 드로잉으로 만난다는 점이다. 분명 같은 공간, 같은 음식인데도 펜으로 그려진 드로잉으로 만나면 느낌이 달라진다.

둘째, 책 제목에 굳이 ‘걷고’를 붙일 만큼 저자가 많이 걸었다는 것이다. ‘타이완[臺灣]’을 하나의 국가로 인정하지 않더라도, 타이베이는 최소한 수도 역할을 하는 도시라고 할 수 있는데 이곳을 걸어서 여행한다니……. 마치 서울 걷기 여행 같은 느낌이 들어 신기했다. 물론 여기에는 저자가 어반 스케치(Urban sketch)를 위해 적당한 장소를 물색하고 피사체를 그리는 작업을 해야 한다는 점이 작용했을 것이다. 그래도 왠지 걸어서 여행한다는 것은 낭만적인 감상에 젖게 한다. 이제는 찾기 힘들어진, 구불구불 복잡하게 엮인 골목길에 대한 향수(鄕愁)처럼.

 

 

먹고

 

그러면 구체적으로 작가의 눈에 비친 타이베이는 어떤 모습일까?

중국인은 다리가 4개인 것은 의자 빼고 다 먹고, 날아다니는 것은 비행기 빼고 다 먹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중국에 대해 얘기하면서 식도락(食道樂)을 빼고 말할 수는 없다. 타이베이도 마찬가지다. 

그러다 보니 식사와 관련된 에피소드들이 적지 않게 나온다. 예를 들면, 미슐랭 가이드에 소개된 100년 된 역사의 상어 국수 가게를 지나치고 나중에 후회한 얘기를 들 수 있다.

 

타이베이의 골목길, 뜬금없는 장소에 유명한 맛집이 숨어 있었다.

기대하지 않았던 곳에서 보물찾기라도 한 것처럼 신기했다. 그 식당에만 사람들이 북적북적했을 때 눈치를 챘어야 했는데…. 꼭 이럴 때 감이 떨어진다. 아쉬웠다. 한국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상어고기를 맛볼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인데 말이다. [p. 57]

 

저자가 인터넷 검색을 좀 더 하고 갔다면 달랐을까? 왠지 아쉬움이 뚝뚝 떨어지는 구절을 읽으며, 나도 모르게 고개를 끄덕였다.

 

상어고기 국수[?魚麵]가 아니라 우육면(牛肉麵)이지만, 저자는 미슐랭가이드1)에 소개된 식당을 방문하게 되었다. ‘건굉(建宏) 우육면’과 ‘융캉[永康] 우육면2)’이 바로 그 식당이다. 아마도 우육면이 타이베이의 대표적인 요리 가운데 하나라서 그런지 미슐랭가이드에 올라간 식당도 많이 존재하는 것 같다.3) 이렇게 미슐랭가이드에 선정된 식당이라면 맛이 궁금해지는데, 저자의 입맛에는 ‘건굉 우육면’쪽이 맛과 가성비 면에서 더 만족스러웠다고 한다.

 

세계에서 꼭 가보고 싶은 레스토랑 100선에 꼽히기도 한 딘타이펑[鼎泰豊]은 육즙 가득한 샤오롱바오[小龍包]로 유명한데, 저자는 갈 때마다 대기시간이 최소 1시간 30분에서 2시간이어서 들어가지 못했다고 한다. 이 긴 대기 줄에 질려 돌아다니다가 지쳐서 도달한 곳이 ‘항주소룡포’로 이곳도 유명한 맛집이라서 꽤 기다려야 했다고 한다. 여기서 맛본 것이 샤오롱바오와 고소하고 부드러운 새우 살이 감칠맛 나는 새우 사오마이[燒賣]인데, 저자에게는 샤오롱바오보다 새우 사오마이가 더 맛있게 느껴졌다고 한다.

 

원래 여행은 계획대로만 진행되지 않는다. 아니 여행은 계획에서 일탈해야 즐거운 여행이 된다. 왜냐하면 여행 계획과 여행의 목적에 신경을 쓰다 보면, 뭔가 꼭 경험해야 할 것 같고, 놓치지 않고 즐겨야 할 것 같은 불안함에 빠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여행이 가져오는 여유로움은 사라진다. 그래서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 영민이 <당신의 치앙마이는 어떤가요>에서 “가끔은 목적지에 가기 위한 여정이 목적지 그 자체보다 의미를 가지기도 하니까.4)라고 한 것이 아닐까?  

아마도 그래서 저자도

 

언제인가부터 여행을 가게 되면 꼭 가고 싶은 장소 리스트를 만드는 일이 줄어들었다. 어차피 가야 할 곳은 계획을 세우지 않아도 어떻게든 가게 되는 법. 물론 일정이 꼬이거나 예기치 않은 문제가 생겨서 못 가는 상황이 생기기도 했지만 크게 마음을 두지 않았다. 그곳에 못 가서 아쉬운 마음이 생길수록 그곳에 다시 가야 할 핑곗거리가 하나 더 생기는 것 같았다. [p. 260]

 

라고 한 것이 아닐까? 그리고 이런 자그마한 일탈과 우연들이 공장에서 찍어낸 것 같은 여행을 더 값지고 의미 있게 만들어주는 향신료 같은 역할을 해준다. 그래서 여행은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예측불허의 안개 같은 것이 된다.

 

 

걷고

 

내가 경험한 서울, 베이징, 타이베이의 주요 교통수단은 모두 달랐다. 물론 베이징이나 타이베이에 자동차가 적은 것은 아니다. 그리고 내가 방문했던 베이징, 타이베이와 지금의 베이징, 타이베이는 다를 것이다. 하지만 인상적인 것은 도로 위를 달리는 서울의 자동차, 베이징의 자전거와 타이베이의 오토바이였다.

 

대만은 오토바이가 자동차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그러니 오토바이가 많을 수 밖에 없다. 대만도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좁은 국토에 많은 인구가 수도인 타이베이에 밀집되어 있다. 그 탓에 교통체증이 심각해서 오토바이를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한다.

도로와 거리에 오토바이가 많은 점은 이웃 동남아 국가인 베트남과 비슷해 보인다. 하지만 베트남과도 다르다. 베트남의 도로와 거리는 수많은 오토바이의 행렬로 무질서하고 복잡하다 못해 때론 위험해 보이기까지 했다. 반면에 타이베이의 오토바이 부대는 그에 비해 정리가 잘 되어 있고 덜 혼잡해 보였다. [pp. 160~161]

 

누군가 나에게 여행을 제대로 즐기려면, 방문한 곳의 재래시장을 둘러보라고 권한 적이 있다. 아마도 관광객이 아닌 현지인이 생활하는 공간이자 도시의 민낯을 엿볼 수 있는 공간이기에 그런 얘기를 한 것이리라. 물론 그 재래시장이 대놓고 ‘여기는 관광객을 위한 공간’이라고 내세우면 다른 얘기다. 왜냐하면 그것은 가부키[歌舞伎] 공연을 위해 분장한 무용수를 보고 민낯을 짐작하라는 소리가 되기 때문이다. 많은 도시에서 어두워지면 밖에 나가지 말라고 여행사나 가이드가 권고하는데, 야(夜)시장으로 유명한 타이베이의 경우에는 예외에 속한다. 그래서인지 타이베이의 야시장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는 관광객이 현지의 공기를 제대로 느낄 수 있는 공간이라는 느낌이 든다. 그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크고 완벽한 하드웨어를 갖춘 ‘스린[士林] 야시장’, 인기 먹거리 20여 가지를 한 테이블에 차려내는 천세연(千歲宴) 행사로 유명한 ‘닝샤[寧夏] 야시장’, 타이베이 최초의 관광 야시장인 용산사 부근의 ‘화시가(華西街)’가 유명하다.

 

즐기다

 

여행 중에만이라도 마음이 원하는 방향대로 움직이고 싶다는 말은 명소를 배제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래서인지 저자도 여러 명소를 방문했다. 이 책에 그려진 장소 가운데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이나 용산사(龍山寺) 같은 곳은 나도 가본 곳이기에 좀 더 관심을 가지고 보았다. 특히 용산사 정문의 지붕장식을 그린 것은 낡은 인화사진으로만 남아있던, 공간을 꽉 채우는 향냄새로 가득한 용산사를 다시 떠오르게 했다.

 

용산사 정문의 지붕장식

 

출처: <걷고, 그리고 타이베이>, p. 207

 

중정기념당 전경

 

출처: <걷고, 그리고 타이베이>, p. 248

 

쓰쓰난춘[四四南村]은 1949년 이후 대륙에서 건너온 국민당의 군인과 그들의 가족 등이 정착하면서 형성된 오래된 마을이다. 그렇기에 도시 재개발이 진행되면서 철거 대상이 되었다. 다행히 근대문화유산을 보존하려는 도시재생 움직임 덕분에 완전히 철거되지 않고, 복합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했다. 기념품과 굿즈를 파는 ‘굿초[Good cho’s; 好丘]’라는 편집숍은 이런 노력의 결과물 가운데 하나다. 덕분에 이곳을 방문하면, 타이베이의 과거와 현재, 옛 것과 새로운 것이 공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쓰쓰난춘 내부에 이곳에서 살던 사람들의 생활 소품을 그대로 재현해 놓은 자그마한 공간이 있는데, 이런 것들이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이어주는 것이 아닐까?

 

내가 예전에 타이베이를 방문했을 때는 패키지로 가서 그런지 굳이 또 갈 생각은 없었다. 그런데 이 책 <걷고 그리고, 타이베이>를 읽다 보니, 왠지 다시 한번 가보고 싶은 충동이 들었다. 아마도 사진과는 다른 감성의 드로잉 때문에 소개된 장소에 대한 아쉬운 마음이 생겼나 보다.

 

 

옥의 티

 

중국어 표기 방식을 하나로 통일했으면 좋겠다. 건굉(建宏) 우육면’과 ‘융캉[永康] 우육면’처럼 하나는 한자음으로, 다른 하나는 중국어 원음으로 표기되어 있으면 왠지 어색하고 거슬린다.

 

1) ‘미슐랭가이드’로 표시되어 있지만, 정확하게는 가성비가 좋은 식당을 선정한 미슐랭가이드 빕구르망(Michelin Guide Bib Gourmand Table)이다.

2) 이 책에는 ‘융캉 우육면’이 이연복 셰프가 방문한, 현지에서 유명한 맛집으로만 소개되어 있는데, ‘건굉(建宏)우육면’과 함께 미슐랭가이드 타이베이 빕구르망(Michelin Guide Taipei Bib Gourmand Table)에 이름이 올라간 식당이기도 하다.

3) 미슐랭가이드 타이베이 빕구르망 2018을 보면, 36곳의 레스토랑 가운데 淸眞中國牛肉麵食館, 建宏牛肉麵, 老山東牛肉家常麵店廖家牛肉麵, 林東牛肉麵, 劉山東牛肉麵, 牛店精燉牛肉麵, 永康牛肉麵 8곳의 우육면 가게가 포함되어 있다.

4) 영민, <당신의 치앙마이는 어떤가요>, (북노마드, 2022), pp. 71~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밝은 밤
최은영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밝은 밤>. 역설적으로 들리는 두 개의 단어가 얽혀 하나의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듯한 제목이다. 마치 차가운 불꽃처럼.

그래서일까? 이 소설은 이지연의 현재와 1930년대 이정선의 과거가 교차하듯이 얽히면서 전개된다. 현재는 서른 두 살의 이지연이 서울에서의 생활을 정리하고 회령에서 새로운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과거는 백정의 딸로 태어난 그녀의 증조할머니 이정선이 나고 자란 황해도 삼천을 떠나 회령으로 이주해서 새로운 삶을 시작한 1930년대다. 재미있는 것은 과거가 누군가의 입을 빌어 얘기되는 것이 아니라 화자에 해당하는 이지연에 의해 재구성된다는 점이다. 수많은 사료들이 역사가에 의해 재구성되어 역사로 남겨지는 것처럼.

 

지연의 증조모 이정선은 정신대에 끌려갈 뻔한 자신을 구원하기 위해, 자신의 처라고 거짓말을 한 남자 박희수와 결혼하여 개성으로 떠난다. 병든 어머니를 두고 자기 혼자 살길을 찾아 떠났다는 원죄(原罪)에, 백정의 자식이라는 핸디캡까지 있었지만, 남편이 자신을 사랑했다면 그 삶은 행복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녀의 남편은 그저 만민이 평등하다는 기독교 교리를 실천했다는 허영심으로 그녀와 결혼했을 뿐이었다. 심지어 그 의 조상이 신앙을 지키기 위해 순교했지만, 그들이 생각하는 ‘사람’의 범주에는 백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니 박희수의 부모가 그 결혼을 반대할 수 밖에. 이로 인해 박희수는 부모의 뜻을 저버리고 백정의 딸과 결혼했다는 죄책감까지 있었으니 그들의 결혼이 힘겨울 수 밖에. 단지 ‘삼천’이라고도 불린 지연의 증조모가 모든 것을 참고 견딞으로써 그들의 결혼이 이어졌을 뿐이었다.

 

지연의 할머니 박영옥의 삶도 힘겨웠다. 증조부가 1.4 후퇴 때 단신으로 회령으로 내려온 길남선을 마음에 들어 했기에 그와 결혼했다. 길남선을 좋아하지 않으면서도 남들 보기에 정상적으로 살고 싶어서 그와 결혼했는데, 알고 보니 그는 북에 부인과 아들이 있는 상태에서 결혼한 것이었다. 그것도 자신이 할머니를 속였다는 것에 대해 죄책감 하나 없이 자신의 행동이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변명할 뿐이었다.

사실 할머니나 증조모도 그녀의 결혼이 파국을 맞이할 것을 예감하고 있었다. 단지 그 예감이 생각보다 빨리 현실화되었을 뿐.

 

남선인 너이 아바이랑 비슷한 사람이야. 나두 영옥이 너이 어마이가 아니었으면 남선이레 공손하구 괜찮은 사내라구 생각했을지도 모르갔어. 기런데…… 아니야. 너를 귀하게 대할 사람이 아니다

기걸 어마이가 어떻게 알아

같이 밥 먹을 때 보라. 생선이든 고기든 가장 큰 살코기를 제일 먼저 집어가는 기를. 영옥이 너가 귀하면 기렇게 하갔어? 말은 재미나게 하디. 기건 나두 알갔어. 기런데 영옥이 네 말 들어주는 모습을 내레 본 적이 없다.

남자들은 다 기렇디 않아.

영옥아, 내는 다른 거는 몰라두 너레 너를 속이디 않았으면 한다. [pp. 216~217]

 

지연의 어머니 길미선도 정상적인 가족에 대한 로망으로 자신의 엄마가 꺼려하는 결혼을 선택한다. 지연도 마찬가지였다. 모두 정상적인 가족에 대한 갈망을 가지고 있었기에 그저 참고 견디기만 했다. 그나마 지연의 조모가 중혼(重婚)을 한 남편에게 매달리지 않고, 지연이 바람을 피운 남편과 이혼을 하는 선택을 했을 뿐이다.

 

묘하게도 그녀들에게는 모두 힘든 순간 버팀목이 되어 준 벗이 있었다. 지연의 증조모 이정선에게는 새비 아주머니가, 지연의 조모 박영옥은 새비 아주머니의 딸 김희자가, 지연의 어머니인 길미선은 멕시코에 사는 명희 언니가, 지연에게는 지우가 있었다. 어쩌면 그들은 자신의 삶을 온전히 보여주고 속에 담아둔 말을 들어줄 수가 있는 상대방이 있었기에 버틸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사람이 존재하는 것, 혹은 버틸 수 있는 것은 누군가가 기억하기에 존재하는 것이 아닐까? 누군가는 바쁜 삶을 살아가면서 굳이 다른 이를 기억하기 위해 마음과 시간을 쓴다는 것이 쓸데없는 짓이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사람이 사람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 영원히 살아갈 수 있기에 의미 있는 것이 아닐까?

 

그렇지만 그게 다 무슨 소용일까. 사람이 사람을 기억하는 일, 이 세상에 머물다 사라진 누군가를 기억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지 알 수 없었다. 나는 기억되고 싶을까. 나 자신에게 물어보면 언제나 답은 기억되고 싶지 않다는 것이었다. 내가 기원하든 그러지 않든 그것이 인간의 최종 결말이기도 했다. 지구가 수명을 다하고, 그보다 더 긴 시간이 지나 엔트로피가 최대가 되는 순간이 오면 시간마저도 사라지게 된다. 그때 인간은 그들이 잠시 우주에 머물렀다는 사실조차도 기억되지 못하는 종족이 된다. 우주는 그들을 기억할 수 있는 마음이 없는 곳이 된다. 그것이 우리의 최종 결말이다. [p. 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편한 편의점 (벚꽃 에디션) 불편한 편의점 1
김호연 지음 / 나무옆의자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양의 한자문화권에서 사람을 가리키는 ‘人(인)’은 두 사람이 서로 기댄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서양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말한 것과 서로 통한다.

 

그렇다면 사회적 관계를 잃어버리면 사람은 어떤 존재가 될까? <불편함 편의점>에서 나오는 노숙자 ‘독고’처럼 되지 않을까? ‘독고’처럼 자신이 누구인지조차 잊어버리고 하루하루를 생존하는데 급급하게 된다면, 그것을 살아있다고 할 수 있을까?

 

이 소설 <불편한 편의점>은 그런 의미에서 노숙자 ‘독고’가 사회적 관계를 회복하고 다른 이들과 소통하면서 본래의 자신을 회복하는 과정을 그렸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독고’는 어떻게 자신을 찾을 수 있었을까? 이야기는 70대의 염영숙 여사(이하 ‘염 여사’)의 잃어버린 파우치를 곰 같은 치에 말도 어눌하게 하는 전형적인 노숙자 ‘독고’가 돌려주면서 시작된다.

 

단기적인 인연으로 끝날 것 같았던 염 여사와의 관계는 야간의 붙박이 알바인 50대의 실직 가장 성필 씨의 재취업으로 변화했다. 성필 씨의 공백을 메우는 과정에서 ‘독고’는 노숙자에서 알바생으로 사회적 신분이 바꿨다. 그리고 이 변화로 ‘독고’는 타인과의 소통을 시작하고, 자신의 기억을, 아니 과거를 조금씩 되찾게 된다.

 

이 과정을 소설은 일곱 개의 에피소드를 통해 ‘독고’를 보는 편의점을 둘러싼 다양한 인물의 시선을 나열함으로써 알려준다. ‘제이에스 오브 제이에스’라는 소제목으로 오전 알바 시현이, ‘삼각김밥의 용도’라는 소제목으로 오선숙 여사가, ‘원 플러스 원’이라는 소제목으로 매일 밤 야외 테이블에서 참참참(참깨라면, 참치김밥, 참이슬) 세트로 혼술을 하며 하루의 스트레스를 푸는 영업직 회사원 경만이, 불편한 편의점’이라는 소제목으로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청파동에 글을 쓰러 들어온 30대 희곡작가 정인경이, 네 캔에 만 원’이라는 소제목으로 편의점을 팔게 하려던 염 여사의 말 안 듣는 아들 민식이, ‘폐기 상품이지만 아직 괜찮아’라는 소제목으로 민식의 의뢰를 받아 독고의 뒷조사를 하는 곽이 각각 본 ‘독고’의 모습이 그려진다. 11명의 등장인물이 각각 자신의 입장에서 일인칭 서술을 하는 다이 호우잉[戴厚英, 1938~1996]의 <사람아! 아, 사람아!>나 5명의 등장 인물이 각자 독백하듯이 서술하는 마나토 가나에[溱かなえ, 1973~ ]의 <고백(告白)>이 떠오르는 구성이랄까?

 

마지막 장은 ‘ALWAYS’라는 소제목으로 편의점 일에 숙달될수록 기억을 조금씩 되찾는 독고의 독백이 담겨 있다. 그리고 기억을 되찾고 다른 이와의 소통을 제대로 할 수 있게 된 독고의 행동 또한 그려져 있다.

 

모든 사람이 자신에게 닥친 고난을 극복하거나 불편한 진실을 직시하지는 않는다. 아니 그런 사람은 드물다. 그렇기에 우리는 그들을 존중한다. 감히 따라 할 수 없으니까. 소설의 막바지에 그려진 독고를 보면 그도 그런 이 가운데 하나가 되어가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어떻게 보면 독고는 모든 것을 잃었기에 그것을 채우는 과정에서 그렇게 성장한 것일지도 모른다.

 

결국 삶은 관계였고 관계는 소통이었다. 행복은 멀리 있지 않고 내 옆의 사람들과 마음을 나누는 데 있음을 이제 깨달았다. 지난 가을과 겨울을 보낸 ALWAYS 편의점에서, 아니 그 전 몇 해를 보내야 했던 서울역의 날들에서, 나는 서서히 배우고 조금씩 익혔다. 가족을 배웅하는 가족들, 연인을 기다리는 연인들, 부모와 동행하던 자녀들, 친구와 어울려 떠나던 친구들……. 나는 그곳에서 꼼짝없이 주저앉은 채 그들을 보며 혼잣말하며 서성였고 괴로워했으며, 간신히 무언가를 깨우친 것이다. [pp. 252~2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만 읽어도 된다 - 50에 꿈을 찾고 이루는 습관 좋은 습관 시리즈 23
조혜경 지음 / 좋은습관연구소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만 읽어도 된다]의 성격

 

처음 <책만 읽어도 된다>라는 제목을 보았을 때 떠오르는 것은 중국 북송(北宋)의 3대 황제 진종(眞宗, 968~997)의 권학문(勸學文)이었다.

 

집을 부유하게 하려고 좋은 밭을 사려 말라. [富家不用買良田]

책 속에 본래부터 천 종1)의 곡식이 있다네. [書中自有千鍾粟]

편히 기거하려고 높은 집 지으려 말라. [安居不用架高堂]

책 속에 본래부터 황금으로 된 집이 있다네. [書中自有黃金屋]

문 밖에 나섬에 따르는 이 없다 한(恨)하지 말라. [出門莫恨無人隨]

책 속에 수레와 말들이 떨기2)처럼 많다네. [書中車馬多如簇]

장가가려는데 좋은 매파 없다 한(恨)하지 말라. [娶妻莫恨無良媒]

책 속에 얼굴이 옥같이 예쁜 여인 있다네. [書中自有顔如玉]

남아(男兒)가 평소의 뜻을 펴고자 한다면 [男兒欲遂平生志]

육경(六經) 3)을 부지런히 창 앞에서 읽어야 하리. [六經勤向窓前讀] 4)

 

다행히도 이 책은 제목과는 달리 공부해라, 그러면 모든 일이 해결된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이웃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사람이 꿈을 꾸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소개하는 책에 가깝다.

 

그래서인지 저자도 서문에서

 

이 책은 이제라도 책과 친해지고 싶은 사람이 읽어도 좋고, 책은 좋아하지만 글쓰기에 부담을 갖고 있는 사람이 읽어도 좋다. 그리고 300개(현재는 500개) 이상의 서평을 써낸 사람은 도대체 무슨 책을 읽고, 책을 어떻게 고르며, 또 글은 어떻게 쓰는지, 이런 것들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봐도 좋다.

절대 내가 잘 읽고 잘 쓰고 있다는 걸 자랑하겠다는 뜻은 아니다. 나 같은 보통 사람도 하는데, 당신도 하지 못할 게 없다는 것을 말하고 싶을 뿐이다. 무엇보다도, 뭐든지 때가 있는 법이라고 혹시 나처럼 지나간 시간을 후회할지도 모르는 분들에게 내 이야기를 꼭 들려주고 싶은 마음뿐이다. [pp. 11~12]

 

고 말하고 있다.

 

 

[책만 읽어도 된다]의 구성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눠 있다.

 

[1부 현재를 충실히 살게 해주는 독서습관]은 ‘전작주의자가 되는 법’, ‘완독의 강박에서 벗어나는 법’, ‘독서 후기를 잘 쓰는 법’, ‘독서 후기를 꾸준히 쓰는 법’, ‘고전을 읽는 법’, ‘시를 읽는 법’, ‘시간을 쪼개 책을 읽는 법’, ‘독서 모임을 하는 법’, ‘꼬리에 꼬리를 무는 독서법, ‘여러 권을 동시에 읽는 법’, ‘독서에 도움이 되는 운동법’, ‘집중력을 발휘하여 책을 읽는 법’, ‘좋은 책을 발견하는 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소제목들은 Yes24라는 인터넷 서점의 블로그에서 장기간 활동해온 이라면 대부분 한번쯤은 생각해 본 거나 실제로 활용했던 것들이기에 공감이 간다. 그래서 이 책의 ‘서문’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제 책과 친해지고 싶거나 책은 좋아하지만 글쓰기에 부담을 갖고 있는 새내기라면 도움이 될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그것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소개했을까?

가장 먼저 나온 ‘전작주의자가 되는 법’을 보면, 저자가 나쓰메 소세키[夏目 石 1867~1916, 이하 ‘소세키’]의 전작(全作)에 도전하는 과정을 얘기한다. 2013년 가을에 읽은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는 저자가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세계에 빠져들게 된 계기였다. 드라마 <겨울연가>(2002) 방영 이후 일본 등에서 수많은 관광객들이 주요 촬영지였던 춘천의 남이섬, 거제도의 외도 등을 방문했던 것처럼, 누군가의 작품세계에 빠지면 그 작품 속 공간들을, 혹은 작가가 그 작품을 만들던 공간을 실제 살펴보러 가고 싶어하는 것은 당연하다. 다행히 저자는 일본으로 취업을 위한 면접을 보러 가는 아들과 동행해서 도쿄대[東京大] 안에 있는, <산시로>의 주인공 산시로가 산책했다는 연못, 신주쿠[新宿]에 있는 소세키의 산방(山房) 기념관을 방문했다. 누군가의 팬이라면 아마도 이런 이벤트를 경험하면 그 시간 내내 행복한 마음을 만끽할 수 있지 않았을까?

그러니 당연히 전작주의자가 될 수 밖에.

 

무엇보다도 저자에게 있어 소세키와의 인연은 단지 그의 작품에 대한 전작주의자가 되었다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나는 소세키와의 인연이 씨앗이 되어 일본어 공부를 하고 번역가에 대한 꿈을 키웠다. [p. 33]

 

라는 말처럼, 50이 넘어서 꿈을 찾고, 하나씩 이뤄가는 습관을 가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2부 꿈을 찾아주는 독서 습관]은 ‘버킷리스트 작성해보기’, ‘우리에게도 ‘자기만의 방’이 필요하다’, ‘하고 싶은 것을 책으로 대신하기’, ‘지금 힘들다면, 독서에 집중하라’, ‘공부의 목적은 확고하고 구체적으로’, ‘꿈과 목표를 향해 멈추지 않고 나아가려면’ 등에 대해 기술한다. 독서 습관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꿈을 이루고 도전하는 이야기인 셈이다. 누구나 살아가면서 기회를 만날 수 있다. 하지만 찾아온 기회를 자신의 것으로 만드느냐는 다른 얘기다. 기껏 기회가 찾아와도 내가 아무런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그 기회는 헛되이 사라질 뿐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후회만 남아,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뒤만 돌아보게 될 것이다.

 

언제까지 이렇게 남의 책만 읽고 써야 하나?”

나도 이런 생각이 들었을 때 책 쓸 기회를 얻게 되었다. 사람 일이란 게 정말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른다. 그러니 써야 한다. 어떤 장르의 책이든 불문하고 쓸 수 있어야 한다. 읽기만 하고 끝내면 내 것이 되지 않는다. 마음에 들어도 혹은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그냥 습관적으로 쓰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글쓰기 실력이 늘게 되어 있다.

책 읽기를 즐기는 사람이라면 자신의 이름으로 된 책을 내는 것에 로망을 품고 있다. 그럴수록 책을 읽고 후기 쓰기를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다시 강조하지만 독서 후기는 최고의 글쓰기 훈련이다. 나탈리 골드버그는 자신의 책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에서 ‘글쓰기는 자유를 향해 헤엄칠 수 있는 위대한 기회다’라고 하면서 그 기회를 놓치지 말라고 했다. 더불어 ‘글쓰기는 글쓰기를 통해서만 배울 수 있다’고 했다. 대가 열 사람을 만난다 하더라도 그것만으로는 글쓰기를 배우지 못한다고 했다. 얼마나 다행이고 위안이 되는 말인가? 그러니 쓰자. 그렇게 읽고 쓰는 시간이 쌓이면 그 동안의 수고에 대한 보상을 누릴 때가 반드시 온다. 그리고 그때가 당신의 인생을 바꿀 수 있는 ‘터닝 포인트’가 될지도 모른다. 나처럼 말이다. [pp. 61~63]

 

저자는 단순히 이렇게 책을 읽고 독서 후기를 작성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처음부터 내가 번역가라는 꿈을 꾼 건 아니었다. 힘든 시간에 집중적인 독서를 하면서 3년 정도 지나고 나서 독서로 조금 자신감을 찾았을 때, 일본어 공부를 재개하고 소세키의 작품을 읽고 그러면서 서서히 꿈과 목표를 키워나갔다. 아마도 내가 집중적인 독서를 하지 않았다면 번역가의 꿈을 꿀 수 있었을까(되고 안 되고는 나중 문제다)? 독서는 나약했던 자아를 강하게 변화시키고 어렴풋한 꿈을 찾아내고 이룰 수 있다는 자신감을 선물해준다. 그러니 책 읽기는 우리 인생을 구원하는 행위임이 틀림없다. [pp. 185~186]

 

이 리뷰는 저자와의 인연으로 ‘출판사 좋은습관연구소’로부터 무료로 도서를 받아 작성했습니다

 

1) 천종(千鍾)은 많은 양 혹은 가장 높은 관직의 녹봉을 말한다.

2) 떨기는 식물의 한 뿌리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나와 더부룩하게 된 무더기

3) ‘육경(六經)’이라는 명칭은 <장자(莊子)>에 처음 나타나며, <시경(詩經)>, <서경(書經)>, <예기(禮記)>, <역경(易經)>=<주역(周易)>, <춘추(春秋)>, <악경(樂經)>을 가리킨다. 이들은 모두 유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으로, 그 중에서 <악경(樂經)>이 진한(秦漢)교체기에 실전(失傳)되어 나머지 경전을 ‘오경(五經)’이라고 부른다.

4) 황견(黃堅) 엮음, <고문진보 전집 (개정 3판)>, 이장우, 우재호, 장세후 옮김, (을유문화사, 2020), pp. 41~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운몽 문학동네 한국고전문학전집 16
김만중 지음, 정병설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운몽(九雲夢)],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구운몽>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가 있다. ‘일장춘몽(一場春夢) 인생무상(人生無常)이다. 그래서일까? ‘세상의 부귀영화가 한 순간의 꿈과 같이 허무하다는 것은 <구운몽>을 읽은 사람이라면 당연히 느껴야 할 암묵적인 약속처럼 되어 있다.


문학동네판 <구운몽>을 번역한 정병설 교수도 해설에서


대개 <구운몽>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말이 일장춘몽(一場春夢)’이다. ‘인생은 일장춘몽이다라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는 작품으로 보는 것이다. [p. 407]


라고 얘기하고 있다.


그런 생각을 가지게 된 것은 우리가 학창시절에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 1637~1692)이 쓴 <구운몽>에 대해 배운 내용 때문일 아닐까? 인간 세상의 부귀영화가 한낱 꿈이었음을 깨달은, 육관대사(六觀大師)의 제자 '성진(性眞)'이 불법(佛法)에 정진(精進)하고 ‘8선녀가 불교(佛敎)에 귀의(歸依)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소설로 기억하고 있으니까. 그러니 <구운몽>을 인생무상(人生無常)을 얘기하는 소설로 이해하는 것도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여기에는 저자인 김만중이 예학(禮學)의 대가로 조선 중기 서인의 정신적 지주였던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의 증손자이자 왕비의 작은 아버지로서, 또 청요직(淸要職)의 우두머리 격인 사간원의 대사간(大司諫), 사헌부의 대사헌(大司憲)과 홍문관의 대제학(大提學)을 모두 역임한 관료였지만, 당쟁에 휘말려 떠난 유배지에서 이 작품을 썼다는 배경도 한 몫 한다. 유배지에서 그가 느꼈을 유가적(儒家的) 욕망의 허망함도 여기에 담겨있을 테니까.


그런데 생각해보면 이 책을 그렇게만 읽어야 하는가 하는 의문이 든다. 한용운의 <님의 침묵>을 간절한 연애시로 볼 수 있다면, 김만중의 <구운몽>도 다르게 볼 수 있지 않을까? 굳이 <구운몽>을 불교적인 제행무상관(諸行無常觀)에서 온 인생무상을 주제로 한 작품이라고 본 박성의(朴成義)1)<구운몽>의 환몽구조(幻夢構造)<금강경(金剛經)>의 공()사상이 강력하게 반영되었다고 주장하는 정규복(丁奎福)2) 등의 견해를 따를 필요가 있을까?


그래서 문학동네판 <구운몽>을 번역한 정병설 교수가


오랫동안 <구운몽>은 학교에서 잘못 교육되었다. 아니 학계에서 잘못 이해했다. 남녀의 사랑과 인생의 즐거움을 그린 작품을 허무주의적 깨달음을 주는 작품으로 잘못 이해했다. ‘일장춘몽인생무상의 연장선상에 있는 불교의 () 사상’, ‘금강경 사상등이 모두 작품의 주제라기보다 장치 또는 장식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주제로 보았으니 본말이 뒤바뀌어 작품을 제대로 읽을 수 없었던 것이다. [p. 408]


라고 얘기한 것에 공감하게 된다.


다만 나는 저자가 소설을 쓰게 된 배경 등을 다 치워버리고 순수하게 <구운몽>의 주인공 성진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조금 더 다르게 얘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무리 자신이 원해서 그 길을 선택하고 걸어간다고 해도, 살다 보면 이 길이 맞을까?’ 걱정하고 머뭇거릴 때가 있다. 성진이 8선녀를 만나 마음이 흔들렸던 것도 그런 순간이었을 것이다. 그런 순간 마음을 다시 잡고 자신이 선택한 길을 걸어가는 모습을 그린, 일종의 성장 소설로 볼 수도 있지 않을까?


가수 아이유의 노래 <분홍신>


내 운명을 고르자면,

눈을 감고 걸어도 맞는 길을 고르지


라는 구절이 있다. 이 노래의 작사가인 김이나는 이 가사에 ‘아이유에게 보내는 최선의 응원’을 담았다는 얘기를 했다. 아이유 본인도 힘들 때마다 이 구절을 떠올리며 버텨낸다고 한다. 우리도  <분홍신>의 가사처럼 내가 선택해서 걷는 길이 맞다는 확신을 늘 가질 수만 있다면, 살아가면서 만나는 인생의 굴곡을 보다 쉽게 버티고 지나갈 수 있지 않을까?


또 하나 더 얘기하자면, 이 소설을 장르소설에서 흔히 사용하는, 환생 등의 방법으로 이세계(異世界)를 여행했다가 귀환하는 이야기로도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현실과 꿈의 설정이 다소 역전적(逆轉的)이기는 하지만, 양소유(楊少游)로 환생한 성진(性眞)당시 사대부가 꿈꿔왔던 이상적인 삶을 누렸던 것은 명백하다. 이런 점으로 볼 때, 당시의 독자들은 <구운몽>의 주인공 양소유가 현실적인 욕망을 끝없이 누리며 즐기는 모습에서 대리만족 같은 것을 느끼지 않았을까? 어쩌면 양소유의 활약을 읽으면서 매일매일의 고단한 삶에서 벗어나 순간의 위안을 받았을지도 모른다.


사실 <논어> <맹자> 같은 인문고전도 아닌데 소설을 읽으면서 무엇을 배울까 혹은 어떤 교훈이 있을까 찾는 것도 이상한 일이다. 입시 혹은 시험을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그렇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입시 혹은 시험이 끝났다면 더 이상 평가를 위해 소설을 읽을 필요가 없다. 억지로 꿈을 가지라고 강요하는 것처럼, 소설을 읽고 무언가 배울 것이 없나 눈에 불을 키고 바라볼 필요가 있을까? 그저 소설을 읽으며 작품에 몰입하고 즐거움을 느꼈다면 그것으로 만족할 수 있지 않을까? 소설은 그저 소설일 뿐이고, 독자의 수만큼 그 소설에 대한 해석 혹은 감상도 존재할 테니까.



[구운몽(九雲夢)]은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구운몽>은 흔히 현실--현실의 구조로 이루어진, 몽자류(夢字類) 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환몽구조(幻夢構造)의 작품은 <구운몽>이 최초는 아니다. 시간적으로 앞선 것만 해도, <삼국유사>에 실린 조신(調信)의 꿈’, 중국의 철학자 장자(莊子)호접몽(胡蝶夢)’ 이야기와 불경(佛經) 중 하나인 <잡보장경(雜寶藏經)>에 실린 사라나비구(娑羅那比丘)>’ 이야기 등이 존재한다. 또한 <구운몽>에 보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는, ()나라의 전기소설(傳奇小說)인 심기제(沈旣濟, 750~800) <침중기(枕中記)>도 있다.


그렇다고 <구운몽>이 일방적으로 영향을 받은 것만은 아니다. 우선 국내만 따져도 전체적인 구조가 남영로(南永魯, 1810~1857) <옥루몽(玉樓夢)>, 탕옹(宕翁) <옥선몽(玉僊夢 혹은 玉仙夢)> 등 몽자류(夢字類) 소설에, 양소유의 여장탄금(女裝彈琴)’ 에피소드는 <임호은전(林虎隱傳)>, <장국진전(張國振傳)>, <여자충효록(女子忠孝錄)> 혹은 <김희경전(金喜慶傳)> 등 영웅 소설 혹은 군담(軍談) 소설에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구운몽>은 일본으로 건너가 고미야마 텐코[小宮山天香, 1855~1930]에 의해 <무겐[夢幻]>(1894)으로 번안(飜案)되기도 했다.


전통을 묵수(墨守)하지 않고 계승, 발전시키는 것이 전통을 제대로 지키는 것처럼, <구운몽>환몽구조에 영향을 받되, <구운몽>의 번안에 그친 고미야마 텐코의 <무겐>과 달리 자기 것으로 소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구운몽>은 소설 자체로도, 영향력으로도 꽤나 독특한 지위 혹은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1) 박성의, “<구운몽>의 사상적 배경 연구 한국고전문학 배경론의 일환으로서 –”, <아세아연구> 12 4(1969), p. 51

2) 정규복, <구운몽 연구>, (고려대출판부, 1974), p. 2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